<좋지 아니한가>, 뭐 그리 썩 좋지만도 아니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편 데뷔작 <말아톤>(2004)으로 첫 타석 홈런을 때린 정윤철 감독의 두번째 작품입니다. 다시 한번 “지금 아니면 못해볼 영화였기 때문”이라고 <복수는 나의 것>(2001) 의 제작 동기를 밝힌 박찬욱 감독의 인터뷰 내용을 떠올리게 만드는군요. 그러나 박찬욱 감독이 정말 망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복수는 나의 것>을 만들었다고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세상에 어느 영화감독이 관객들로부터 외면받을 생각을 미리 하면서 영화를 찍겠습니까. 영화를 만들 때에는 누구나 최소한 ‘예상 밖의 큰 호응’을 기대한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세번째 장편 <슈퍼맨이었던 사나이>(2008)를 개봉한 정윤철 감독도 <좋지 아니한가>를 만들 때 “자신이 슈퍼맨이라고 생각했다”더군요. 데뷔작을 통해 얻은 성공으로 영화 감독으로서 뭐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충천했었고 그리하여 정말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정말 하고 싶은 방식으로 만들었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작년 3월에 개봉했던 이 영화를 2007년의 베스트로 꼽으신 분들도 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영화는 좋으면 “열라 좋다”는 식으로 해야지 “좋지 아니한가?” 하는 애매한 표현으로 제목을 잡으면 안된다고 어떤 분이 농담삼아 얘기하던 기억이 납니다. 사실 <좋지 아니한가>라는 제목은 “이 얼마나 좋으냐”라는 뜻의 질문형 제목인 거죠. <좋지 아니한가>는 제목 만큼이나 두리뭉실하는 간접 화법으로 초지일관하는 작품입니다. 상식적인 의미에서는 전혀 좋지 아니한 가족 구성원들이지만 그럼에도 그런 가족이 있다는 건 역시 좋은 일이 아니냐고 묻는 영화입니다. 달의 이면에 숨겨져 있는 비밀에 관한 은유처럼 진실은 보이지 않는 저 너머에 숨겨져 우리의 삶을 떠받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다수 관객들에겐 이런 은유나 간접 화법이 영 어색했던 모양입니다.

전반적으로 흠잡을 데 없이 잘된 연출이긴 합니다만 영화 전체적으로는 그리 높은 점수를 주기 어렵습니다. 영화 속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아버지(천호진)와 하은(정유미) 간의 원조교제 스캔들을 그대로 뭉개버린 채 끝내고 있다는 점과 다른 영화평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가족 구성원들 간의 유대를 다른 이들과의 패싸움으로 퉁 쳐서 봉합하고 있는 모양새가 그리 개운하지가 않습니다. 매우 기발한 상징과 예상을 깨는 유머 감각이 전편에 깔려 있습니다만 전체적인 내러티브가 후련하지 않은 관계로 전부 그 빛을 잃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영화가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가 않으니 캐스팅과 그에 따른 등장 인물들의 캐릭터 구성에서도 허술했다는 인상 마저 남기고 마는 작품이 <좋지 아니한가>입니다. 한국영화 중에 이런 영화 하나쯤 있어도 좋지 아니한가, 맞는 말입니다만 사실 이런 정도의 한국영화는 80, 90년대에도 적지 아니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

“<좋지 아니한가>, 뭐 그리 썩 좋지만도 아니하다”의 2개의 생각

  1. 상당히 재미있게 본 영화인데 이런 시각으로 설명해주시니 그런 부족한 부분도 있었구나 싶군요. 은근히 날카로운 영화평 잘 읽었습니다.

    1. 익히 들어왔던 호평에 비해 그다지 만족스럽지가 못해서 그게 무엇 때문인지 생각해봤습니다. 감상하시는 분에 따라 얼마든지 재미있게 보실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한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아빠-밥솥-엄마-커피메이커의 사각관계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보고 있는 중입니다. ^^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