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하느님>

 

작가의 명성에 기대어 책을 살 당시, 난 <오 하느님>이 종교에 관한 소설인 줄 알았다. 하지만 이 책은 2차 대전을 온몸으로 겪어내야 했던 조상 한 분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인데, 읽다보니 왜 그런 제목이 붙었는지 이해가 갔다. 여러 부대를 전전하는 주인공의 기구한 운명에 기독교를 믿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하느님!’이란 탄식을 해야 했고, 마지막 대목에선 ‘오! 하느님!’ 소리가 절로 나왔으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여년 전 외환위기가 터졌을 때, 우리 언론들은 ‘단군 이래 최대 위기’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우리 민중의 삶이 가장 피폐했던 시기는 일제시대가 아닐까 싶다. 부도가 날 나라가 있는 것과 없는 건, 나름의 차이가 있을 테니 말이다. 하지만 지인에게 ‘단군 이래 최대 위기가 언제라고 생각하냐?’라고 물으니 6.25 때가 아니냔다. 그럴 법도 하다. 우리 민족끼리 총부리를 겨눈 것도 모자라 열강들의 대리전으로 우리나라가 붉게 물들었으니.

이런 생각을 하다보니 몽고가 쳐들어와 왕이 강화도로 피신한 사건이 떠오르고, 인조가 나름의 명분을 지킨답시고 남한산성에서 버티다 머리를 아홉번 찧는 굴욕을 겪은 일도 떠오른다. 수년간 국토가 황폐화되었던 임진왜란이 이 리스트에서 빠질 리 없고, 역사를 더 거슬러 올라가다보니 삼국이 땅 따먹기를 한다고 걸핏하면 싸웠던 시절도 결코 평안하진 않아 보인다. 그러니 우리 역사는 민중이 살기 가장 힘든 시기를 따지기가 어려울만큼 어려움으로 점철되어 있다.

여기까지 생각을 하다가, 그럼 지금은 살기가 괜찮냐 하는 데 생각이 미치고, 결국 답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는 지극히 보수적인 걸로 내려진다. 외환위기 때 “이대로!”를 외쳤다던 특권층들이 6.25 때라고 해서 어려웠을 것 같진 않고, <아리랑>을 읽어보니 일제시대 때도 죽어나는 건 하층 계급뿐이었지 독립운동을 하지 않는 한 양반들의 삶은 그래도 괜찮았던 듯하니 말이다.

늘 민중의 삶에 천착한 작품을 쓰는 조정래 선생의 작품답게 <오 하느님>의 주인공들도 가난한 소작인이다. 포로로 끌려간 그네들이 오전 작업을 마치고 든 것도 없는 국과 더불어 “흙 묻은 손에 빵을 받”고, “맨땅에 주저앉아 허겁지겁 국부터 마시기 시작했다”는 구절들을 읽노라면, 마음이 짠해 책장이 넘어가지 않았다. 우리는 앞으로 어떤 세상을 만들어야 할까? <오 하느님>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한번쯤 해봤으면 좋겠다. 쿨함을 주창하는 소설들이 대세를 이루는 요즘인지라 조정래 선생의 가치가 더 빛나는 듯하다.


영진공 서민

“<오 하느님>”의 2개의 생각

  1. 잘 읽고 갑니다.
    저도 책을 읽고 나름의 글을 써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거든요.
    결국 역사의 흐름에서 고통받는 것은 민중인데, 누구도 그들에게는 관심이 없다는 것에 대해서요.

    조정래 쌤은 참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것 같아요.

벙어리냉가슴에게 댓글 남기기 댓글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