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복잡한 내러티브 그러나 단 하나의 감정

형부와 처제 사이에 벌어지는 금단의 사랑 이야기 – 지고지순한 쪽이든 살색 향연이 펼쳐지는 쪽이든 – 로만 기대한다면 적잖이 실망스러울 수 밖에 없을 것이고, 더군다나 두 주인공의 미래에 대한 명확한 결말 – 둘이 행복하게 잘 살게 되는 쪽이든 둘 중에 하나 또는 둘 다 죽어 슬퍼지는 쪽이든 – 을 필요로 하는 관객이라면 매우 황망한 기분을 안고 상영관을 나설 수 밖에 없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누군가들처럼 박찬욱 감독의 적절하게 홍보되지 못한 이상한 영화로 잘못 알고 보는 것이 아니라 <질투는 나의 힘>(2002)의 박찬옥 감독이 7년만에 내놓은 장편이라는 정도만이라도 정확히 알고 본다면 전형적인 멜로 드라마의 틀에서 빗겨 나갈 수 밖에 없는 이 한 편의 영화를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감상할 수 있으리라 – 그런 준비만 되어 있다면 크게 실망할 일은 없으리라는 얘기다. 오히려 다른 영화들에서는 좀처럼 맛보기 힘든 꼼꼼한 연출의 힘을 만끽하길 원한다면 <파주>는 올해 하반기 반드시 봐두어야 할 작품들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한 치 앞을 알 수 없을 만큼 짙은 안개의 거리 풍경이나 수도권 재개발을 둘러싼 험상궂은 투쟁의 현장 등이 등장 인물들의 복잡한 감정과 맞물리며 구구절절한 대사를 대신한다 – 문어체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채 사용되는 대사들에 비해 차라리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였다고 할까. 다소 작위적으로 느껴지기도 하지만 중식(이선균)과 은모(서우)가 약 8년의 시간에 걸쳐 겪게 되는 사건들은 <파주>를 의외로 매우 복잡한 내러티브의 영화로 여겨지게 만드는 이유가 되는데, 감독의 의도는 역시 미스테리로 관객들의 관심을 끌어당기는 일 보다 등장 인물들의 감정을 화면 곳곳에 촘촘하게 새겨넣는 쪽이었던 것 같다.

그리하여 <파주>는 복잡한 내러티브 속에서 단 하나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영화라고 하겠다. 그러나 <파주>가 표현하고 있는 그 감정의 실체는 사실 매우 모호한 것이어서 단순히 욕망이라고만 정의할 수도 없고 질투와 불안, 죄의식과 두려움의 감정 따위가 마구 뒤섞인 무엇이다. <파주>가 어렵다고 하는 것은, 줄거리가 어렵다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을 헤아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중식의 이야기로 전개되는 것처럼 보였던 영화는 어느새 은모의 이야기 – 정확히 말하자면 은모의 입장과 감정으로 그 중심을 이동한다. 중식의 입장에서 본다면 <파주>는 마치 자신을 십자가에 못박은 자들을 위해 기도하며 순교적인 사랑을 실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은모의 입장에서 그 사랑은 구원의 손길이기는 커녕 매우 의심스럽기만 한 구속일 따름이다. 은모가 원했던 것은, 죽은 언니의 남편이면서 동시에 자신에게 유일하게 남겨진 보호자 중식과의 결합 – 연인으로서라기 보다는 부모의 죽음 이후 한번도 가져보지 못했던 안정적인 생활의 터전으로서 – 이기도 하지만 그 보다는 언니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그 진실이 갓 스물의 은모로서는 절대로 감당하지 못할 수준의 것이라는 데에 있다.

은모는 감당못할 진실을 알지 못한 채 중식을 오해하고, 그 오해를 뒤로 한 채 친구와 함께 50cc 스쿠터에 의지해 다시 한번 자신의 길을 찾아나서지만 그 길이 얼마나 불안한 것인지를 암시하는 지점에서 영화는 끝을 맺는다. <파주>는 은모가 감당못할 진실을 결국 알게 될 것인지, 그런 이후에 중식과의 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이후의 이야기를 관객의 몫으로 남겨두었다기 보다는 바로 그 시점에 은모가 경험하고 있는 상황과 감정의 복합성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이 바로 영화 <파주>의 실체다.

영진공 신어지

““파주”, 복잡한 내러티브 그러나 단 하나의 감정”의 한가지 생각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