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에 <레지던트 이블>이 처음 개봉되었을 때에는 혹평 일색이었습니다. 게임 원작으로 만들어진 또 한 편의 지루한 액션 영화라는 얘기가 많았었고 그래서 당시에는 어느 누구도 이 영화가 4편씩이나 계속 만들어지게 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었죠. 2년 뒤에 만들어진 <레지던트 이블 2>(2004) 는 그나마의 신선함마저 사라진 속편 영화의 전형을 보여주면서 시리즈의 종말을 예고했더랬습니다.
하지만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는 제작비의 3배 이상을 전세계 상영관에서 벌어들이는 꽤 내실있는 성적을 거두고 있었고 특히 부가판권 시장을 통해 그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었지요. 애초부터 대단하다고 할 만한 작품은 못되었지만 일단 보기 시작하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빠져들게 되는 괜찮은 영화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고 할까요.
그리하여 2007년에 <레지던트 이블 3 : 인류의 멸망>이 다시 나왔을 때에도 작품에 대한 평가는 특별히 나아질 이유가 없었습니다만 역시나 탄탄한 흥행 기록을 세우며 시리즈를 이대로 끝내버리기에는 너무 아까울 정도로 그 브랜드 가치가 성장했음을 입증했습니다. 비유하자면 1억불 이상의 제작비를 쏟아부어 그 이상의 호평과 흥행 성적을 올리는 초대박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3 ~ 4천만불 규모로 매번 쏠쏠한 재미를 거둬들이는 건실한 중견기업으로 자리를 잡은 것이죠. 놀랄 만한 수익률을 보여주는 일 보다 중요한 건 역시 리스크 없는 착실한 성장이니까요.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인 이번 <레지던트 이블 4 : 끝나지 않은 전쟁>은 첫 편과 비교할 때 제작비 2배에 흥행 수익 역시 2배 이상으로 훌쩍 커지면서 이제는 아무도 무시하지 못할 블루칩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영국 뉴캐슬 출신인 폴 W. S. 앤더슨 감독은 시리즈의 첫 작품을 제작, 각본, 감독한 이후 2편과 3편의 연출을 계속 다른 감독들에게 맡겨오다가 이번 네번째 작품을 통해 촬영 현장에 직접 나섰습니다. 앤더슨 감독의 연출은 T-바이러스의 창궐로 인류가 멸망하면서 전편에서는 거의 <매드 맥스>(1979)의 사막 풍경처럼 변모해버린 시리즈에 다시 한번 사이버펑크의 숨결을 불어 넣었다고 할 수 있을텐데요, 영화 초반을 장식하는 도쿄 지하 기지에서의 총기 액션은 누가 보더라도 <매트릭스>(1999)의 장면들을 연상할 수 밖에 없을 만큼 닮아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액션 영화 팬들에게는 그리 낯설지 않은 이미지들이 넘실거리는 편인 <레지던트 이블 4 : 끝나지 않은 전쟁>은 워쇼스키 형제나 제임스 카메론 감독, 또는 마이클 베이 감독과 같이 선구자적인 위치에 서기 보다는 남들이 이미 완성해낸 기법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되 간결한 편집을 통해 영화 전체의 속도감을 부여하는 폴 W. S. 앤더슨 감독의 연출 방식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작품입니다.
드라마적인 측면에서는 절대로 높은 점수를 줄 수 없는 영화이지만 – 그런 점에서는 3편 <레지던트 이블 3 : 인류의 멸망>이 가장 나은 작품이라 하겠습니다 – 오직 액션 영화의 기술적인 완성도 면에서만 놓고 본다면 당대의 어느 영화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는 매우 잘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여전히 내러티브 자체가 게임 진행 방식을 따르고 있고 – 마지막에는 언제나 보스전이 기다리는 – 관객들 충분히 납득시키지 못하는 대충 건너뛰는 허술함도 엿보이긴 합니다만 3D 포맷의 트렌드에 맞춰 블럭버스터급 영화로서 새롭게 시작하려는 이 시리즈를 굳이 마다할 이유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5편의 예고편이나 다름이 없을 만큼 유난스럽기까지한데 <레지던트 이블>(2002)을 의외로 꽤 재미있게 보았던 이후로 줄곧 앨리스(밀라 요보비치)의 액션 씨퀀스를 즐겨왔던 관객들이라면 오히려 시리즈의 팬들을 위한 확실한 약속 쯤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앞에서 언급한 <레지던트 이블 4 : 끝나지 않은 전쟁>의 첫 액션 씨퀀스는 시리즈의 한 축을 이루는 좀비 호러의 흔적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 지경이었지만 어쨌든 앨리스의 얼굴이 처음 드러나는 순간 만큼은 박수를 쳐주고 싶을 만큼 정말 즐거웠습니다.
음.. 레지던트 시리즈에 애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중에 한명으로써 공감가지 않는 리뷰네요… 사실상 레지던트이블은 1편이 가장 큰 호평을 받았습니다. 그 중심에는 엔더슨 감독이 있었구요.. 후속이 제작되고 2편 3편으로 거듭될수록 스토리는 안드로메다로 향하고 기존의 아슬아슬한 좀비물의 근본적인 매력을 3편에서는 완전히 잃어 버립니다.. 강력한 사이킥 파워의 등장때문이죠. 엔더슨 감독은 (밀라요요비치의 남편이기도한) 이 시리즈의 큰 애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안드로메다로 간 레지던트이블을 다시 좀비물로 4편에서 회귀 시키고 시리즈를 장기화 하기위해 약간 무리한 설정을 넣은거죠.. (허무한 주인공 능력의 리셋이라던지..) 3편이 비쥬얼적으로는 제일 낳았을진 모르지만 바이오하자드 원작을 기반으로한 영화라고 봤을때는 최악의 시리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