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워즈 에피소드 3: 시스의 복수”, 아들의 발목을 잡은 애비의 한계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의 태생적 한계란 참 거시기 하다.

하다못해 신약의 첫 구절부터 마태복음에는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는 것으로 해서 줄줄이도 낳아 44번째 가서야 예수의 족보를 이야기 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무려 1절에서 25절 까지다.

광산 김씨였던 내 친구 용준이는 자신이 사귀던 여자친구가 3종백숙부의 외3종질이라는 이유만으로 여자와 헤어지는 (여자로서는 참 다행스러운)결과를 도출하며 핏줄의 상관관계가 무에 그리 집착의 대상인지를 궁금케 하기도 했다. (이유가 참 자질구레스럽기도 하다) 요컨대 어디서 태어나고 누구의 핏줄이냐는 우리나라뿐만이 아닌 인류가 짱돌을 들기 시작한 이래로 전지구적인 관심사인 것이라 하겠다.

흔히 현대를 정보의 유목민(유비쿼터스) 시대라 한다. 모든 인간의 창조물들이 디지털 컨버전스 되면서 정보는 곧 돈이 되었다. 뉴스를 만들 수만 있다면 돌팔매질만 잘해도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는 세상이 된 것이다. 방대하고 다각적인 정보의 수용은 예기치 못한 정보의 생산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 부작용으로 ‘탤런트 김모양이 지난주부터 테니스를 배운다’는 둥, ‘최근 결혼한 톱가수 A양의 아들이 두 돌이 되기도 전에 걷는다’는 둥 하는 약에 쓰이는 쥐똥만큼도 값어치 없는 기사가 당당히 신문의 한 면을 큼지막하게 장식하는 지금이다.

따라서 나는 요즘은 정보제공자 자신의 노력여하에 따라 마태복음과 3종백숙부의 그늘을 벗어날 수 있는 세상이 된 것으로 믿고 있었다. 정보는 위에 나열했듯 ‘누가’ 만드는 게 아니라 정보 자신의 자가발전에서 만들어지는 세상임을 철썩 같이 믿었다. 인간이 정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정보가 정보를 만드는 세상! 그런데, 대관절 이런 마당에 핏줄에 집착할 이유가 무엇이 더냔 말이다!

어찌 되었든 이러한 혈연과 지연의 관계를 다시금 소 막창에 짱박혀 있던 여물을 다시 씹듯 곱씹게 된 건 다름 아닌 20세기와 21세기를 관통하는 SF 서사극의 대표이자, 현대 종합 엔터테인먼트의 총아이며, 미래를 예언하는 환타지의 교과서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 때문이었으니, 세상은 참으로 생뚱맞다.

“뉘신지?”
“내가 니 애비”

다스베이더의 마지막 고백은 스타워즈 시리즈 전체를 갈무리하는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개봉 당시에 운위된 ‘방대하며 유려하고 놀라운 3D’는 솔직히 30여년의 맥락에 따른 디자인 한계에 의해 별로 감탄사를 자극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애비와 자식의 갈등구조를 제공해야 하는 중간자적인 입장의 성격은 마지막편이라는 장엄한 타이틀만큼의 스케일을 이끌어내는데 실패하고야 만다. “조지 루카스”가 언제부터 한시를 즐겨 읽으며 수미쌍관에 심취하셨는지 “니 애비의 갈등도 꼭 독고다이 맞짱으로 정점에 서리라”를 엔딩으로 가야만 했는지는 무척 궁금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인트로 부분의 거함들이 격돌하는 장면에서 우리가 생각한 스케일은 ‘본 것 이상’을 갈구함이 자명하다. 우리는 말 그대로 『스타워즈』의 스펙터클을 기대한 것이지 『다찌마와리』의 합을 갈구한 것은 아니다.

문제의 요인은 또 있다.

우리는 이미 『인디펜던스 데이』의 1대 다수의 맞짱 스케일을 경험한 바, 대통령도 미지의 절대세력을 응징할 수 있다는 플롯을 감상한 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외계인도 MS 기반의 윈도우를 쓴다는 아무도 모르는 사실을 알려주고야 만 『인디펜던스 데이』의 충격은 이미 한번 겪은 터, 그러기에 한 『다찌마와리』 하시는 아나킨 스카이워커옹께옵서 ‘다스 시디어스’의 명에 따라 몇 타스는 족이 넘어 보이는 포스 기사단을 독고다이로 정리 하시는 거나 충직한 시디어스의 늙다리 부하들을 정리해대시는 모습은 어제 본 코미디 오늘 또 보는 것 수준의 심심함을 넘어서지 못한다. 그렇다. 아나킨옹이 무슨 잘못이랴? 몇 년 먼저 나와 설친 『인디펜던스 데이』가 나쁜 놈이지.

요컨대 콩심은 데 콩 나야하는 “조지 루카스”의 수미상관 식 영화구조는 심히 용두사미스러운 클라이막스로 봉착한 바 ‘자식이기는 애비 없다’는 끈적한 혈연의 정을 다시 확인하는 영화로 갈무리 되었다. 이야기의 처음부터 중간까지를 마무리해야 하는 태생적 한계를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웅장한 전편의 아우라의 끝을 보고 싶어하는 관객들의 소구욕은 충족시키지 못한 한계를 가진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는 아무래도 아쉽고 종결의 맛이 나지 않는다.

문득 생각하건대, 스타워즈의 자랑스러운 마무리는 좀 더 일찍 나왔어야 했다. 우주적 『다찌마와리』는 이미 『인디펜던스데이’에서 확인했고, 지난 영화사 연작 시리즈의 점층적 스케일 상승감의 극한은 『반지의 제왕』에서 경험했으며, 무엇보다 무술의 합은 “쇼브라더스”가 이미 30년 전에 보여줄 건 다 보여주지 않았냐는 말이다. 하물며 그 후세대인 “성룡”, “이연걸”, “홍금보”, “원화평” 형님들이 그만큼의 것들을 할리우드에서 소비하지 않았는가?

영진공 그럴껄

애플의 기억






1984년,
아버지가 이상한 놈을 들고 오셨다.
그리고 금성 칼라티브이에 이놈을 꼽더니 말씀하셨다.

“니가 말한 게 이거냐?”
“아니, 이게 아니라 MSX라니까 아빠.”

애플2와의 첫 만남이었다.

MSX는 카세트테이프로 게임을 로딩시킬 수 있었던 반면 애플은 팩이 있어야 했다.
기껏 국민소득 1000불(이건 명확치 않다.)을 갓넘긴 대한민국 보통의 중산층 가정에서 게임팩 가격은 어린이가 지불할만한, 혹은 어린이를 위해 지불할만할 금액이 아니었다.

산 걸 무를 수는 없었다.

cfile23.uf.13455E4A4E92438F323033.bmp

베이직이었는지 아니면 다른 이름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아버지는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래밍 책을 한권 더불어 사주셨다.

한달 가까이 실수와 실수의 반복을 계속하면서 만든건 무슨 양궁게임 같은 거였다.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 프로그래밍이었다.
명절 때 모은 돈으로 한 두어개 팩을 산 뒤 그 놈이 어디갔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아마 이사갔을 때 버리지 않았을까 짐작할 뿐이다.

MSX도 애플도 사라져갔다.

이들의 뒤를 이었던 건 IBM이었다.
XT에서 AT로 그리고 대망의 386 시대가 나의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열렸다.

1992년 16mhz 클럭속도의 AT, 50메가 하드, 8비트 스테레오 애드립, 2400bps mnp모뎀, 메가VGA로 중무장한 컴퓨터를 80칼럼 삼성 도트프린터와 함께 구매했을 때 가격은 150만원이었다. 아래한글 1.2, 경북대에서 만든 이야기 4.0, 도스 5.0, 그리고 M이 나오기 전까지 활개를 쳤던 L과 함께 신세상이 열렸다.

케텔은 1200bps, 피씨서브는 2400bps속도로 통신서비스를 했다. 통신인구는 94년 군대 입대할 때까지 2만명이 되지 않았다. 피씨서브 유머동에서 나는 웹상 최초로 방망이 깍던 노인, 허생전을 패러디 해 꽤 유명해지기도 했다. 별사랑 동호회에서 로마 신화를 외웠다. 게오르규만큼의 신화에 대한 안목이 있을 수는 없었지만 여자를 꼬시기에 이만큼 좋은 스킬은 또 없었다.

케텔은 코텔에서 하이텔로, 피씨서브는 천리안으로 이름을 바꿨다. 천리안은 국내선 전화요금으로 웹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행했다. 모자이크. VGA급 사진 한 장을 받는 데 8시간이 걸렸다. 당연히 전화요금은 끊임없이 올라갔으며 전화요금 고지서 때문에 엄마에게 맞는 일이 잦아졌다.



군대를 가고 제대를 했다.
사람들은 GUI 환경에 익숙해지고 있었다.

‘아니, 도스는?’


애플을 만들던 회사에서 제안한 GUI는 윈도우에서 꽃을 피웠다.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샀던 컴퓨터와는 이별을 하기로 했다.

펜티엄이 지배하는 세상이었다. 133클럭의 씨피유와 16메가 부두 3D, 그리고 250메가에 이르는 하드디스크는 운동장이었다. 모터레이스2, 울프3D, 그리고 툼레이더는 과거 인디아나존스, 킹스퀘스트, 울티마에 받았던 충격 이상을 주었다.

56k  속도로 동작하는 모뎀은 과거 통신환경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켰다. 유니텔, 천리안, 하이텔 그리고 엘지(이름이 기억 안남.)가 브라우저 시장에 뛰어들었다. 나우누리는 대학생들을 타깃으로 한 서비스에 집중했다.

수도 없는 벙개를 나가 끊임없는 내상을 입으며 내린 결론은 ‘이쁜 여자는 만날 놈도 많은데 왜 채팅을 하겠냐?”였다. 미련이란게 쉽게 떨어지면 미련이 아니었다. 하느님이 불쌍해서 천당에 보내줄만큼 폭탄들을 제거했다. 심지어 집에까지 바래다 준 적도 있었다. 술에 취해 몸을 가누지 못하는 어는 여인네를 부축하면서 누가 볼까봐 고개를 못든 적도 많았다.

1999년. 1년을 작정하고 모은 돈으로 산건 씽크패드 버터플
라이 키보드가 달린 70* 모델이었다. 350만원짜리 중고. 발표수업 때 빔프로젝트로 연결된 노트북을 본 순간 120명의 학우들이 경외의 눈빛으로 나를 봤던 건 잊지 못하겠다. 당연히 A+일줄 알았던 학점은 D였다. 출석미달. ㅅㅂ.

졸업을 하고 입사 첫해까지 썼던 그 노트북과의 인연으로 X30, X31, T40까지 아이비엠 빠돌이 역할에 충실 했던 삶이 바뀐건 2005년이었다.

SD에서 HD로 넘어가는 방송환경에서 과거의 편집장비는 방송사에서도 큰 부담이었다. 프리미어는 턱없이 부족했고 에딧박스는 기존 장비와 가격차가 없었고 아비드는 방송용 편집과 어울리지 못했다. 파이널컷프로는 이러한 방송환경의 요구를 적확하게 꿰뚫고 있었다. 페이드 아웃시 한 프레임이 빠지는 문제가 디졸브 시 한 프레임이 비는 몇몇의 문제가 있었지만 장비 가격은 0이 하나 두개 빠지면서도 동급의 효과를 낼 수 있게 구현되었다.

애플은 맥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나는 아범 빠돌이에서 최초로 조우했던 애플과 다시 만났다.

2006년,
20년이 넘게 지나서 나는 다시 애플과 만났다. 맥북.


6개월만에 키보드 하단이 뭉개지는 취약점이 있던 망할놈이었지만 키노트와 파이널컷프로의 매력을 버릴 수는 없는 놈이었다.

키노트는 PT계에서 절대강자였다. PT 승률의 50%는 키노트 때문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이폰이 나왔다.

이루어질 것 같지 않던 데이터 요금이 거짓말처럼 무제한 요금제로 바뀌었다. 피쳐폰은 유물이 되었다. 불쌍한 내 전지현폰 미니스커트는 6개월만에 애물단지가 되었다. 미니스커트를 사면 전지현이 혹여나 한번 나타나 주지나 않을까 하는 속된 욕망이 부끄러워졌다.

어디서나 이메일을 요금걱정 안하고 보게 되었고 웹을 돌아다닐 수 있게 되었다. 기다리는 게 지루해지지 않았다. 한게임 고스톱을 치건, 헬키드를 하건 팔라독을 하건 엠파이어워를 하건 할 건 넘쳐났다.

사이즈의 차이가 효용의 차이를 만든다는 걸 아이패드를 통해 배웠다.

맥북프로로 업무를 보고 파이널컷프로로 편집을 하고 키노트로 PT를 진행하고 아이폰으로 전화를 하고 아이패드로 시간을 때우는 나는 완벽한 앱등이가 되어 있었다.


그리고 잡스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

서른 아홉해 중에 20년을 컴퓨터와 함께 살았고 그중 7년을 애플과 함께 살았다. 마이크로소프트와 IBM이 이룬 저변 위에서 애플이 바꾼 건 환경이었다.

고맙고 감사하다. 그 덕분에 나는 훨씬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다.


영진공 그럴껄

“인크레더블”, 재밌지만 비아냥 거리고 싶은 ……



맨!『스쿨 오브 락』의 잭 블랙 옹께옵서 그리 저항하려 했던 매엔!

우린 미디어에 비해서 늘 부질 없는 존재다.
우리가 미디어에 등장할 때는 늘 ‘국도를 달리던 버스와 24톤 트럭이 충돌해 사망18명 부상 27명’에 일부가 될 때, 혹 운이 좋으면 능력없는 애비의 비애가 절절한 ‘아빠의 도전’ 따위에서 말도 안되는 곤봉 돌리기 단 1회로 ‘그나마 능력있는 애비’가 되거나 아니면 ‘그것조차 못하는 무능력한 아빠’에 줄타기 때. 혹 운이 더 좋다면 연말 불우이웃돕기 행사에 돈 만원 자선냄비에 넣을 때 느닷없는 카메라에 선건 맞으며 별 생각도 해본적 없는 ‘불우청소년의 미래’ 따위를 읊어줄 때다.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그래, 도대체 얼마를 벌어오라는 거냐?
‘외로워도 슬퍼도 나는 안울어’ 가뜩이나 연말 경기 심란한데 어따대고 약올려?

어리광도, 격려도 삐딱하게 볼 수 밖에 없는 처연한 세상에 부딪혀 살아가는 샐러리맨들, 자영업자들의 비애가 나만의 문제라고 볼 수 없다.

초능력자 집안의 알콩달콩한 살이를 마음편하게 못보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제발 2등만 하라는 아빠, 미모에 아량에 아이들 뒷치락거리용으로 고무처럼 온몸이 늘어나는 초능력을 가사용으로 소모하는 엄마, 주체할 수 없는 능력을 가진 아이들. 90년대의 맨들이 자아에 대한 고독으로 몸부림을 잠시 쳐 주신 뒤 역시 ‘맨’은 맨이야를 외치며 치기어린 자기번민의 시간을 성장통처럼 가져온 맨님의 변화는 이제 인크레더블에서 그 절정을 보여주고 있다.

영화, 재미있다. 엄청 웃긴다. 재치 있고 오, 당시의 그 놀라운 3D능력. 내가 3D 오퍼레이터가 아니라서 모르겠는데 거 뭐냐? 폴리곤이라고 하나? 놀랍도다.

근디 말이다. 저 모든게 나한테는 마치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라고 노래부르며 비아냥 대는 처자식마냥 얄미워 보이냔 말이다. 그보다 차라리 잭블랙이 아이들에게 ‘니들은 맨을 쳐부셔야!”라고 외치던 자본주의 공교육 시스템에서는 절대 해서 안될 말들이 절절히 들리냔 말이다. 왜, 루저의 감정이 나에게 가슴 절절해 지는 거냔 말이다.



‘공부가 제일 쉬웠어요’하며 노가다 잡부에서 사시에 합격한 누구를 저주했던 고등학생들이나,
‘초능력이 미워요’를 남발하던 (배트,스파이더)맨들을 아니꼽게 보는 나나,
‘인크레더블’의 초능력 가족의 푸념에 절망해야 하는 이 땅의 샐러리맨들이나



어디 도.망.칠.데.가.없.다.

부대끼는 건 지금도 벅차고 낙타의 등이 부러지는 건 언제나 마지막 한 짐 때문이다.

이노래가 이럴 땐 딱이다.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 스끼다시 내 인생


영진공 그럴껄

“피구의 제왕”, 진부하되 웃기는데 성공한 개그의 제왕


코미디 영화는 웃기면 된다.

좀처럼 기억에서 떠나지 않는 『에어플레인』, 『폴리스 아카데미』, 『총알 탄 사나이』, 『덤앤더머』의 슬랩스틱 개그는 심상의 복잡한 광경을 제로베이스로 만들어주는 일등 공신감이다.

최근에는 우울할때면 찾아보는게 『러브 액츄얼리』로 바뀌었으나 그 전에는 단연 『총알 탄 사나이』와 『에어플레인』이 톱랭크 되어 있었다.

슬랩스틱. 우리나라에서는 슬랩스틱=저질=심형래=(나아가서는)영구 시리즈의 이상한 공식으로 이해되는 부분이 없지 않다. 웃긴걸 어쩌라구? 웃긴게 죄야? 넘어지는게 유치해?

늘상 코미디를 영화의 하위분류가 아닌 저질의 하위분류로 놓고 이야기하는 몇몇 지인들의 머리통을 캔뚜껑으로 따주고 싶을 때 나는 또 우울해진다. 도대체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를 편가르는 의도가 궁금하거니와 그런 인식을 바탕으로 어떻게 좋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건지도 웃기다.

코미디를 사랑한다고 모두 건강한 정신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건강한 정신을 갖고 있는 자는 모두 코미디를 사랑한다! (역시 ‘안믿으면 말구’투 대사다.)


『피구의제왕』(원제: Dodgeball, 2004)은 “빈스 본”과 “벤 스틸러”가 대립하는 영화다. 하나는 가난하고 하나는 부자이나 둘다 갑남을녀의 보편적인 기준에서 본다면 전문용어로 “쪼다”에 속하는 인물들 … –;;;

피터(“빈스 본” 분)는 5만달러를 벌기 위해 피구시합에 얼떨결에 나가게 되고 특별한 플롯없이 우승한다. 미국 전역에서 모인 쟁쟁한 팀들과의 피튀기는 대결 따위는 애초에 없다. 그냥 이긴다. 이 허망하고 진부한 내용은 다시 곱씹어 보면 미치도록 웃긴 설정이다.

저 『소림축구』에서 봤던 마지막 시합의 비장감 따위조차 웃음의 방해요소라면 그냥 무시해버리는 내공. 영화에서 나오는 그 어떠한 장치(예를 들자면 “밴스틸러 사타구니”에 들어있는 뽕빤쓰, 중간중간 까메오로 등장하는 “데이빗 핫셀호프”, 심판장인 “척노리스”, “랜스 암스트롱”의 깜짝출연, 피터 관원들의 쪼다행각)도 그저 들러리 웃음 뿐이다.

그렇다고 출연자들의 캐릭터가 죽어 있느냐? 절대 아니다. 캐릭터 하나하나의 개그는 내 정신세계 수준에서 개그의 절대치를 보여주게 웃기다.

어쨌든, 뭣이 됐든 ……

이 영화. 웃겨 죽는줄 알았다.

영진공 그럴껄

니코, 니코 삐라스마니, 너의 장미는 어디서 났는가?





니코 삐라스마니 (1862 ~ 1918)
[조지아의 원초주의 화가, 그의 생애와 약력]

 간판장이 니코, 니코 삐로스마니는 가난한 간판장이었다.
1800년대 말. 그루지야(지금의 조지아)에 살던 니코는,
 마르가리타와 사랑에 빠져버렸다.


사랑에 빠진 니코는이기적이고 잘나가는 그녀를 잡기 위해,


모든 것을 던진다.

 
마르가리타

니코는 수많은 마차를 빌려
마르가리타의 집과 정원에
장미꽃을 채워놓기 시작한다.

니코는 자신의 집과 그림, 가재도구를 몽땅 팔아
그녀의 집앞 한가득 꽃으로 채워 자신의 사랑을 증명한다.

마르가리타가 나왔을 때
집과 정원이 온통 장미로 덮힌 것을 보았고
그녀는 결국 니코에게 키스하며 결혼을 약속한다.

그리고

.
.
.
.
.

마르가리타는
가난뱅이 니코를 버리고 부자와 결혼한다.

그는 1918년 5월 5일 죽기 좋은 날에 죽었고

니코의 사랑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노래를 불렀다.


알라 푸가체바(Alla Pugacheva)의 노래,
가사가 노래의 사연을 그대로 말해주고 있다.

그리고 이 슬픈 사연의 노래가,
 우리나라에서는 ‘어린 왕자’의 이야기로 불려지고 있다.


사실 이 노래의 원곡은 라트비아의 국민작곡가인 레이몬즈 파울즈의 곡으로,
원제는 ‘Dāvāja Māriņa’이며 우리 말로 하면 ‘여신 마라의 선물’이다.

곡의 내용은 강대국 사이에서 신음하는 라트비아의 현실을, 자신이 낳은 아이를 제 손으로 키우지 못하는 여신 마라가 그 아이가 고초를 겪는 모습을 바라보는 것에 빗대어 노래한 것이라고 한다.




영진공 그럴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