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빅터스”, 내게 정복 당하지 않는 영혼 주셨음을

미국 서부영화를 상징하는 인물에서 이제는 그 존재 자체가 세계 영화사의 한 페이지가 되어버린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배우로서나 감독으로서나 미국이라는 물리적, 정서적 영토로부터 크게 벗어나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 이력에 비춰볼 때 일본인 배우들이 일본어로 연기했던 2차 대전 영화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2006)는 나름의 큰 파격으로 느껴지기도 했지만 같은 해에 만들어진 <아버지의 깃발>(2006)과 함께 묶이게 되면서 그 의미가 다소 퇴색되었던 감이 있습니다. 그렇게 가장 미국적인 배우이자 감독으로 남아있던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이번엔 <우리가 꿈꾸는 기적: 인빅터스>를 통해서 확실하게 미국을 벗어난 다른 곳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우리가 꿈꾸는 기적: 인빅터스>는 넬슨 만델라가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당선된 시점에서 시작되어 스프링복스라고 불리는 국가대표 럭비팀 – 인종차별 정책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 을 통해 용서와 화해, 나아가 사회 통합의 메시지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만델라가 정치범으로 26년간 수감되었던 일화도 중간에 다뤄지고 있습니다만 무엇보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특유의 기교를 부리지 않는 담담한 연출이 드라마의 사실성을 부각시키며 묵직한 감동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여전히 비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밖에 없는 일들이 세상에는 많이 있지만 남아프리카에서 있었던 최근의 일을 통해 인류의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가져볼 수 있다는 점이 <우리가 꿈꾸는 기적: 인빅터스>를 감상한 가장 큰 보람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나 최근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둔 국가대표 선수단과 그 주변의 일들이 겹쳐지면서 영화를 보고난 뒷맛이 그리 깔끔하지만은 않았습니다. 스포츠를 통해 인종간의 화합을 이끌어내는 정책과 국민들의 사회 정치적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고자 하는 우민화 정책은 기껏해야 종이 한 장 차이에 불과하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국민들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러 일으켜준 훌륭한 선수들에게는 마땅히 고마워해야 할 일이나 이들의 성과를 마치 자신들이 한 일인양 주둥이를 내미는 위정자들의 모습이 고까워서 영화 속 실화의 감동을 제대로 추스리지 못했다는 것이 제 솔직한 고백입니다. 실제로 올림픽 기간 동안에 이들이 한 일이라곤 “그들의 유산을 인정해주는” 바람직한 방향과는 정반대 편의 일들 뿐이었으니까요.

다른 한 편으로 돌아가신 노무현 대통령의 집권 기간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였는지는 모르겠지만 5년 내내 기득권 세력과 불화를 겪었던 일은 결과적으로 차기 대통령 선거를 통해 역사의 퇴보라는 안타까운 결과를 낳고야 말았지요.

그런 맥락에서 <우리가 꿈꾸는 기적: 인빅터스>를 통해 보게된 넬슨 만델라의 사례는 뼈아픈 반성의 계기를 제공해줍니다. 억압과 차별, 비합리와 불평등에 굴하지 않고 끝까지 저항하는 일과 마침내 새로운 역사의 발걸음을 내딛는 일만으로는 충분하지가 않았다는 겁니다. 새로운 방향으로 내딛게 된 발걸음이 더 나은 미래로 멀리까지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의의 회복과 개혁의 바탕 위에 용서와 화해의 정책 또한 필요하다는 사실을 <우리가 꿈꾸는 기적: 인빅터스>가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정서로는 여전히 비타협입니다. 그들도 함께 가야 할 한 식구라는 의식 보다는 깨끗하게 청산하길 바라는 쪽입니다. 하지만 국가 권력을 손에 쥐게 되면 칼같은 정리 보다는 먼저 포용을 해야만 하는 모양입니다. 영화라서 그렇게 비춰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우리가 꿈꾸는 기적: 인빅터스>에서의 넬슨 만델라는 솔직히 사람 같지가 않습니다. 감방에서 보낸 26년의 세월이 그를 살아있는 성인군자로 만들었던 것일까요.

어찌되었거나 <우리가 꿈꾸는 기적: 인빅터스>는 억압받던 넬슨 만델라가 아닌 권력자가 된 이후의 넬슨 만델라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정치 권력이 지향해야 하는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스포츠를 통해서건 다른 무엇을 통해서건 통합과 번영을 추구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하지만 앞에서 하는 일과 뒤에서 하는 일이 달라서는 결국 다 드러나게 되어 역풍을 맞을 수 밖에 없습니다.

넬슨 만델라가 그랬던 것처럼, 이 땅 위에도 윌리엄 어네스트 헨리의 시를 필요로 하는 이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온 세상이 지옥처럼 캄캄하게
나를 뒤엎은 밤의 어둠 속에서
나는 그 어떤 신이든, 신께 감사하노라
내게 정복당하지 않는 영혼 주셨음을

운명의 몽둥이에 두들겨 맞아
내 머리는 피 흘리지만 굴하지 않노라
나는 내 운명의 주인
나는 내 영혼의 선장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모건 프리먼, 맷 데이먼 (왼쪽부터)

영진공 신어지

“원티드 (Wanted)”, 당신은 요즘 얼마나 처량한 놈이었나?

 

그래, 이 맛이야!!!!!!

벅찬 감동, 폐부를 찌르는 리얼리티, 관조적 시선, 숨이 멎을듯한 전율 …
이런 거 음~따.

출생의 비밀, 부모를 죽인 원수, 천골지체, 사악한 마두, 어설픈 반전, 몹쓸 도덕론 …
이런 거 다 있다.

그냥 즐겨라.  차가운 지성 같은 거 어울리지 않는다.
줄거리 따위에 몰입하지 마라.  재밌자고 보는 영화다.
인물과 갈등에 신경 꺼라.  휙휙 날라다니는 것들에 탄성 날려주시면 된다.

무협지에서 “협”이 빠지니 좋더라는 라이 님의 포스트가 있었다만( http://0jin0.com/1389 ),
무협의 세상에서 이 피도 눈물도 없는 살인자들에게 “협”이 없다면,
잠깐 한 눈 파는 새 목숨이 위태로워지는 총질과 칼쌈 속에서 그들이 느낄 심리적 공황과 생명경시에 따른 갈등을 무엇으로 해소하리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크 밀라 원작, J.G. 존스 그림의 6부작 만화를 원작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 “원티드 (Wanted)”.  제임스 매커보이, 안젤리나 졸리, 모건 프리먼 등이 출동해 주신다.

지키자고 정해놓은 윤리와 도덕에 충실하려는 안젤리나 언니의 모습이나,
분명 미국산임이 분명한 쇠고기 스테이크를 맛있게 썰어 먹는 모건 형아의 모습은,
현재 우리 나라의 상황을 연상시키는 듯도 하지만 … 아무런 과학적 상관 관계 없다 …

그대,
나날이 짜증만 쌓여가는 일상을 잊어보고 싶거나,
두 시간 남짓 아무 생각 없이 즐기는 걸로 내일의 전투력 증강에 보태고자 한다면,
이 영화 강추다!

즐기라 그리고 영화관을 나서는 순간 당신이 본 모든 걸 잊어버리라.
두고두고 머리에 담아놓고 곱씹을 무언가 따위는 없으니.

단, 이후 당신이 세상을 즐기며 살아갈지  아니면 그저 평소처럼 조*튼 삶에서 허우적 거릴지는 전적으로 그대의 선택이다.

What the f**k have you been lately?
(당신은 요즘 얼마나 *까튼 놈이었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