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쿵푸팬더], 협(俠)이 없어서 재밌고 좋았다능 … ^^

 


<쿵푸팬더> … 어릴 때 부터 길러진 무협언니가 이 영화를 마다할 수는 없었답니다.

목소리 연기는 논외로 할께요. 아주 훌륭했으니깐요. 특히 ‘귀여운 얼굴’의 마스터에 후까시 잡는 더스틴 호프만 목소리. 죽음이었어요. 잭 블랙 팬더목소리 완전 듁음이었고, 안젤리나 졸리나 바이퍼 맡은 루시 리우는 분량이 적어서 아쉬웠죠. 몽키마스터 목소리가 성룡이라더니 이건 좀 속은 기분.

일단 저는 ‘팬’더의 ‘팬’심이 맘에 들었어요. 방안에 액션 피규어 있고, 포스터 덕지덕지 붙어있고. 딱 성룡포스터 붙어 있는 우리네 중고생때 방을 보는 것 같고. 국수 꿈 꾸라는 팬더 아버님 말씀은 용꿈 꾸고 학력고사(혹은 수능)잘 보라는 우리네 아버지 말씀 닮았고, 내려와서 국수 서빙하라는데 방에서 되도 않는 무술흉내 내고 있는 것도 넘흐 좋았고. 팬더의 수련장면 실망하지 않았어요.

예고편에서 만두먹는 걸로 훈련하는 장면에서 부터 그 생각이 들었는데요. 예전 성룡이 아주 어린시절 작품보면, 취권이었나? –;;; 그 무공 센 할아버지하고 나와서 할아버지는 대충대충하는데 성룡은 완전 용쓰고. 물동이도 나르고, 그러면서 훈련하는 그런 장면들 있잖아요. 암튼 딱 그거 생각이 들었는데 정말 비슷했어요. 넘흐 귀엽잖아요.

무는 있되, 협은 없어서 진짜~ 좋았어요. 저는 무협영화 좋아하는데요. 무협영화에서 별로 안 좋아하는 대목이 두 대목이 있어요. 첫번째가 ‘넘흐나 범접할 수 없이 알흠다흔 여힌네에 대한 무우사~의 순정’ 저 이런거 나오는 거 정말 싫어해요. 여자애들 좋아하는 천장지구 같은 것도 정말 싫어하고.

암튼, 두번째가 좀 아이러니하기는 하지만 바로 ‘협(俠)’이에요. 아놔… 제발 그 ‘의협심’, ‘형제애’, ‘복수심’, ‘가문을 일으키겠다는 굳은 결의’ 이따위 것 없으면 안되는 겁니까? 쿵푸팬더가 보통 무협지의 줄거리를 그대로 답습하면서 아주 빠져있는 대목이 있으니, 그건 그가 무사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俠”이 전혀 없었다는 거에요. 아시죠 보통 무협지 줄거리?

hk26.bmp
1) 강호의 명문가가 멸문지화를 당한다.
2) 명문가의 먼 친척, 혹은 그 집의 충실한 종이 어찌 어찌 하여 어린 아이 하나를 살려낸다. 3) 어린 아이는 자신의 신분을 모른 채 자라난다.
4) 어느 날 자신의 정체성을 알게 되고 고뇌한다.
5) 산으로 들어가 우연한 기회에 스승을 만나 고수가 된다.
6) 원수를 만나 우여곡절 끝에 원수를 물리치고,
7) 그 과정에서 원수의 사연을 알게 된다.
8) 모든 것이 무상함을 깨닫고 초야에 묻힌다. or 강호를 평정하고, 정의가 찾아온다.

<경고!!!  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가 다수 출몰하오니 각별한 주의를 요합니다.>

근데 팬더 얘를 보면,
1) 강호의 명문가가 멸문지화를 당한다… 따위는 없다.
2) 팬더 아빠가 오리인게 이상하기는 하지만, 암튼 데려다 길렀건 어쨌건 간에 충실한 종이 길렀는지 어쨌는지는 모르겠다.
3) 팬더는 액션피겨를 보며 무사가 되는 꿈을 꾸며 자라난다.
4) 어느날 자신의 정체성을 알고 열라 신나한다(!!!)
5) 스승이 뻗대다가 자기를 받아줘서, 먹으면서 신나게 훈련하다가 고수가 된다.
6) 얼떨결에 원수인지 뭔지 알수없지만, 암튼 타이렁을 만나 물리친다.
7) 주민들을 구한다.
8) 무상하긴 뭘. 더 신나한다.


팬더 얘는 애초 부터 뭘 바라고 무공을 익힌 애가 아니라서, 용의 문서에도 관심이 없었고. 타이렁이 마을을 망치고 간 과거가 있지만 그렇다고 ‘정의를 되찾겠다’는 멋진 모토도 없구요. 중간에 마을사람들이 대피하고 이런 소동이 있긴 했지만, 팬더가 무슨 꼭 마을 사람을 구하려고 한 것도 아니고, 그냥 좋은 스승과 좋은 사람들을 보호하겠다는 마음 30%에, 잘 배운 무공 한번 머찌게 써보자 하는 순수한 후까시 70% 정도만 있었던 듯 …

얘는 원래부터 적개심으로 무공을 키운 것도 아니거든요. 그래서 나중에 다 이기고 나서도 무상하니 어쩌니 하는 것 없고, 그냥 더욱 신나는 무술세상이 된 것 같아요. 저 이거 정말 좋아요. 류승환 감독 말 마따나 저는 액션 그러니까 사람의 움직임이 주는 쾌감 자체를 좋아하거든요. 그런데 거따대고 뭔 꼴 같잖은 복수심, 형제애, 문파를 일으키겠다는 각오, 고독함. 이런 거 같다 붙이는 거 심히… 걸리적 거렸어요. 그래서 아마 제가 성룡을 특히나 좋아하는 듯. 늘 즐겁잖아요. 위트있고. 성룡이 되도 없는 후까시 부리지 않고 온 몸을 던지는 게. 그게 정말 맘에 들었었죠.


어쩌면 영화가 말하는 ‘순리’란, ‘운명’이란 ‘즐길 줄 아는 평범한 사람이 해 낸다.’ 라는 것이었는지 모르겠어요. 시푸가, 그리고 furious 5가 타이렁을 막을 수 없었던 건, 바로 그들이 Furious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그 다섯은 순수하게 武를 즐기는 게 아니라, 사실 예전에 타이렁과 동료였던 시기에는 타이렁을 이기고 용의 전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 그리고 타이렁이 간 후에는 타이렁을 물리치겠다는 생각으로 훈련을 해왔다는 거에요. 수동적(상대를 막겠다)목적론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훈련하는 사람들은 당근 더 큰 목표를 가진 적극적 대상 그 자체(막아야 할 대상)를 막을 수가 없지요.

‘막긴 뭘 막냐’ 이게 대사부 거북이 할아버지가 했던 예언인 것 같아요. 평범한 팬더 포가 그야 말로 ‘사심이 없어서’ 드래곤 워리어가 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국수에 특별재료도 안들어 간다. 용의 문서(그러니까 궁극의 필살기)는 빈칸이다. 이런거. 다 평범한 사람이 순수하게 할 때 뭐든 할 수 있다는 게 순리다. 이런거 아닌가요?


암튼요!!! 협이 없어서 좋다구요!!!

영진공 라이

<베오울프>, “디지털 실사보다 더 감탄스러운 건 …”

내용보단 볼거리를 추구하는 영화를 난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300’에 대해서 관객의 평가가 극과 극인 건 나같은 사람도 여럿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오울프를 본 건 순전히 미녀가 원하기 때문이었다.
그나마도 메가박스의 3-D 상영이 종영되었기에 일말의 기대도 없이 영화를 봤다.

하지만 이건 내용보단 볼거리를 추구하는 영화는 아니었다.
CG가 워낙 강렬해서 그렇지 스토리도 나름 짜임새 있었고
세대를 이어가며 대물림되는 저주라는 발상도 마음에 들었다.
어떤 이는 ‘안젤리나 졸리가 겨우 5분 나온다’며 별 하나를 줬고
네이버의 평점도 6점대에 불과하던데,
내가 원했던 건 영화 속에서 대충 다 구현이 되어 있어 다행이었다.
‘폴라 익스프레스’에서 혹평을 받았던 CG는 거의 사람에 가까워졌는데,
그냥 사람을 쓸 것이지, 왜 배우들이 연기한 걸 다시 디지털로 재현하는,
어려운 말로  ‘퍼포먼스 캡쳐’를 했는지 내 머리로는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공부를 조금 해보니 이 방식의 장점은 여럿 있었다.
일단 잔혹한 장면이 나오더라도 CG니까 관객에게 그다지 징그럽게 다가오지 않으며
전라가 나오더라도 야한 느낌보단 신기하단 생각이 더 많이 든다.
눈을 찌르는 등의 잔인한 장면이 나옴에도 미국에서 이 영화가
15세 등급을 받은 이유가 거기에 있었단다.
혹자는 ‘베오울프’를 ‘영화의 미래’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는가본데,
기발하긴 해도 대단하단 생각은 하지 않았던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이 이렇게 대단한 야심가인지 예전엔 미처 몰랐다.
미래의 영화가 다 이런 식으로 바뀐다면,
실제 배우들의 연기를 더 좋아하는 나같은 사람에겐 좀 서운한 일이 되겠지만 말이다.

디지털 실사보다 더 감탄했던 건 베오울프의 성기 가리기였다.
이 베오울프란 자는 뻑하면 전라 장면을 연출하는데,
괴물과 싸우던 날에는 자기만 갑옷을 입으면 괴물한테 미안하다고 전라로 잠을 청한다.
아니 갑옷 대신 나이트 가운이라도 입을 것이지 왜 그런 희한한 일을 할까?
전라로 달려 본 사람은 알겠지만, 막상 다 벗고 싸우려면 거기가 덜렁거려 여간 힘이 드는 게 아닌데.

필경 그건 미모가 좀 되는 왕비한테 그것의 크기를 과시하기 위함일 것이다.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크기를 가지고 으시대는 사람들이 있고,
그것의 크기를 키워주겠다는 메일이 나한테도 아주 많이 온다.
말이 잠깐 딴데로 샜는데
하여간 베오울프가 전라로 마루에 누울 때는 오른쪽 다리를 살짝 구부려 성기노출을 피하고
누운 뒤에는 다른 병사의 머리가 화면 중앙에 위치해 절묘하게 성기를 가린다.
천장에 올라갈 때는 샹들리에에 가려서 안보이고, 나무 틀에 가리고…
어쩜 그렇게 절묘하고 자연스럽게 성기를 가리는지, 정말 감탄이 절로 나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부터 스포일러.
베오울프가 죽여야 했던 괴물은 이전 왕의 업보인데
베오울프 역시 이전 왕이 저지른 죄를 답습해 또다른 괴물을 만든다.
이렇게 세대를 이어가며 왕들이 죄를 저지르는 이유는 단 하나,
안젤리나 졸리의 미모가 워낙 탁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졸리는 단 5분만 나왔어도 극 전체의 주인공인 듯 강한 카리스마를 남기는데
스토아 학파에 속하는 편인 나도 졸리의 유혹을 받는다면 눈을 딱 감아버릴 것 같다.
그 역에 졸리 대신 다른 여배우를 썼다면, 스토리의 치밀성에 큰 구멍이 뚫렸으리라.
다른 여배우는 대체 배우가 있지만, 세상에서 졸리는 하나 뿐이니까.
들켜 버렸다. 내가 졸리 빠라는 사실을.


영진공 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