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영화 그 노래] 이웃집 미쿡 토토로 ^^

 

 


 


 


 



 


 


 


영화 좋아하시는 분들, 애니 좋아하시는 분들, 그리고 근래에 아이 키우시는 분들 중에 “이웃집 토토로”(미야자키 하야오, 1988)를 모르시는 분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토토로에 대한 설명은 생략~ ^^


 


 


“이웃집 토토로”는 미국에서도 1993년에 최초 개봉하였고 다른 지브리 스튜디오 작품들과 함께 그쪽의 애니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래서인지 “토이 스토리 3″에 우정 출연하기도 하였고 …


 


각설하고, 오늘은 금요일이기도 하고 비도 오고 해서 그냥 즐기시라고 미국 버전으로 “이웃집 토토로”의 사운드 트랙 중 “산보”와 “이웃집 토토로”를 준비해 보았다.


 


먼저, 미국에서 비디오와 DVD로 처음 출시된 건 Fox 라벨을 달고 나갔는데, 일단 그 버전으로 “산보”는 요렇게 불렀다.


 


 


 





 


 


그리고 Fox의 판권이 만료되자 Disney에서 2006년에 다시 DVD를 발매하였는데, 그때에는 다코타 패닝과 엘르 패닝 자매가 사츠키와 메이를 더빙하였다. 그럼 그 버전에 있는 “산보”를 들어보자.  


 


 


 





 


 


그렇다면 이제 오늘의 하일라이트! … (응?) … 는 아니고,


“이웃집 토토로”의 메인 테마를 미국 버전별로 들어보도록 하자.


 


우선, Fox 버전 …


 




 


 


그리고 Disney 버전,


 


 


 




 


 


 


확실히 영어로 부르는 토토로는 뭐랄까 … 맛이 좀 밍밍하달까 … 그렇긴하다.


그런데 사실 미야자키 하야오가 미국판이라고 해도 원어를 최대한 반영하고 어감이나 토씨 하나라도 바꾸길 원치 않았다 하니 … 그래서 그런가보다 해야지 싶다.


 


암튼, 좋은 작품은 어디서든 어떻게든 사랑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매우 뻔한 말과 함께 디즈니 버전 중에서 비오는 버스 정류장 장면을 감상하시는 걸로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영진공 이규훈


 


 


 


 


 


 


 


 


 


 


 


 


 


 


 


 


 


 


 


 


 


 


 


 


 


 


 


 


 


 



 


 


 


 

[그 영화 그 노래] “A Love Idea”, 브룩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1978년 당시 그야말로 혜성과 같이 등장했던 그룹 Dire Straits.


데뷔곡 “Sultans of Swing”은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전 세계 챠트를 휩쓸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있었던 기타리스트, 마크 노플러 (Mark Knopfler).


1949년 스코틀랜드 출생인 그는 특유의 멜랑콜리한 기타 연주와 중얼대는 보컬로 전 세계 음악팬들의 많은 사랑을 꾸준히 받고있다.


 


 


 



 


 




 


 


 


마크는 그룹과 솔로 활동 이외에도 의외로 꽤나 많은 영화음악을 작업하곤 했는데,


 [마크 노플러의 사운드트랙 목록 보기]


 


그 중 많은 이들의 기억에 남아있는 작품 중 하나가,


“브룩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Last Exit to Brooklyn).


 


이 영화는 1989년 개봉작으로 감독은 울리 에델, 그리고 주인공인 트랄라라 역은 제니퍼 제이슨 리가 맡았다. 혼돈과 폭력에 물들어있던 1950년대 미국 브룩클린을 무대로 암울한 현실을 벗어나려 몸부림치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비정한 사회를 묘사했던 원작 소설을 영화화한 이 작품에서 마크 노플러는 영화음악 전곡을 작곡하였다.


 


 


 




 


 


 


영화에 나오는 음악 중 가이 플레쳐가 연주한 “A Love Idea”는 지금도 여전히 많은 이들의 애청곡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 곡을 들어보도록 하자.


 


 


 




 


 




 


 


 


마크 노플러의 영화음악 중 개인적으로 무척 좋아하는 곡을 하나 더 소개하며 포스팅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그 곡은 1984년 개봉작 “칼의 고백” (Cal)에 삽입되어있는 “The Long Road”.


 


 


 




 


 


 


 


 


영진공 이규훈


 


 


 


 


 


 


 


 


 


 


 


 


 


 


 


 


 


 


 


 


 


 


 


 


 


 


 


 


 


 


 


 


 


 


 


 

“위대한 개츠비”, 그 뒷 얘기가 궁금하신가요?

 

 


 


 


개츠비를 떠나보내고 닉은, 출생배경이 계급이 되어버린 암담한 사회현실과 그 현실에 굴복한 삶을 사는데 급급한 사람들에 대한 절망감으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그저 목적없이 방탕한 삶 속으로 빠져들고야 만다.


 


술과 도박 등에 빠져 이리저리 부유하던 닉은 급기야 정신병원에까지 도달하게 되고, 거기서 의료진의 도움으로 몸과 마음을 추스릴 수 있게 되었다. 그는 그 곳에서 개츠비에 대한 이야기를 글로 정리하였고 그 글들을 책으로 엮어 출판하려 하였다.


 


 


 



니콜라스 캐러웨이


 


 


그리고 그 글을 완성하던 날, 책 제목인 “Gatsby”에다가 “The Great”를 덧붙이던 닉은 불현듯, 이게 다 무슨 소용이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암흑가와 결탁하여 부를 쌓은 개츠비였지만 그 역시 넌덜머리나는 지긋지긋한 가난을 벗어나고자 아둥바둥 몸부림치는 여느 젊은이와 다를 바 없었고, 그런 과정에서 손에 쥐어진 부를 이용해 주류에 인정받고자  온갖 노력을 다했지만 결국 자신이 그리도 오르고자 했던 기존 상류층에게 거절당하고 마침내 목숨까지 잃은 것이 아니었던가.


 


자신들의 것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 어떤 악행도 마다하지 않는 기득권층과 그들에 의해 이용 당하면서도 그들을 두려워하며 오히려 비슷한 이들에게로 분노의 창끝을 돌리는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는 현실에 이 책을 던져 놓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이라고 닉은 마음을 굳혔다.


 


그래서 그는 개츠비을 위해, 그리고 자신을 위해 이 세상과 이 세상을 장악하고 있는 기득권층을 향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복수를 감행하기로 결심하였다. 닉이 복수를 위해 맨 처음 한 행동은 얼굴을 바꾸는 것이었다.


 


 


 



성형 후의 닉, 톰 리플리


 


 


이름도 톰 리플리로 바꾸고 신분증도 위조한 닉은, 뷰캐넌가 만큼이나 부유하고 집안이 서로 사이도 돈독한 그린리프가의 손자 필립을 복수의 대상으로 정하였다.


 


필립 그린리프는 전형적인 철부지 부잣집 도련님인지라 토마스, 데이지 그리고 개츠비와 함께 어울리며 그들의 생활양태를 깊숙이 체험하였던 닉, 아니 톰에게는 매우 쉬운 공략대상이었다.


 


그닥 오래지않은 기간에 말하자면 노리개감이 되어주는 친구관계를 형성하여 필립의 경계심을 무너뜨리고 동시에 신뢰를 얻어내며 기회를 노리던 닉은, 필립이 이태리로 떠난 시점에 드디어 행동을 개시하였다.


 


 



닉과 필립의 이야기는 후에 영화로 만들어졌다.

 


 


이태리에 있던 필립과 합류한 톰은 계획한대로 필립을 유희와 환락의 구렁텅이로 끌어들였고, 스스로 그 나락으로 걸어들어간 필립은 톰이 그를 해꼬지해도 될만한 수준으로까지 끌어내려지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톰은 개츠비에게도 개인적인 의미가 있는 공간, 요트에서 일을 치르고야 말았다. 바다 위에서 필립을 제거한 톰은 뭍으로 돌아와 그간 준비해왔던 바에 따라 자신이 필립인 것처럼 신분을 도용하고 필립의 애인인 마지를 설득하여 그린리프 가문의 돈을 마지에게로 증여한다는 필립의 유서까지 만들었다.


 


완벽해 보였던 톰의 계획은 거의 성공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만 불의의 실수로 인해 그가 저지른 복수의 속살이 만천하에 드러날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그리고 경찰은 그를 소환하였다.


 


허나 여기에서 주저앉을 닉이 아니었다. 닉은 그 시점에서 과감히 그린리프 가문과 마지와의 일은 다 포기하고 위조여권으로 이태리를 떴다.


 


 


 



이태리의 일이 수포로 돌아가자 다시 성형한 닉


 


 


닉이 선택한 다음 행선지는 바로 개츠비와의 추억이 어려있는 뉴욕이었다. 닉은 이름을 다시 이녹 존슨으로 바꾸었고 후에 애칭으로 넠키라 불리우게 되었다.


 


이태리를 떠나 뉴욕 바로 밑에 있는 뉴저지의 부두에 발을 내린 닉은, 특유의 감각과 뉴욕증권사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닥치는대로 이런저런 일을 하며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었고 지역유지들과의 관계를 돈독히하며 마침내 뉴저지 지방재정관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되었다.


 


그리고 닉은 개츠비의 죽음 이후로 항상 간직하고있던 그의 후계자라는 마음 속 목소리에 따라 밀주사업에 진출하여 동부권 밀주사업의 가장 큰 공급자가 되었다.


 


마침내 돈과 명예를 한 손에 쥐게된 닉이었지만, 아직도 그의 목표는 만족되어지지 않았다. 그것은 바로 개츠비와 자신을 절망시켰던 기득권과 주변 인물들에 대한 통쾌한 복수였다.


 


그래서 그는 밀주사업을 통해 바로 뉴욕의 마이어 윌샤임(일명: 아놀드 로스틴)을 정조준하였고, 정치에 손을 뻗어 자신이 후원한 후보가 대통령에 선출되는데 큰 공을 세우기까지 하였다.


 


 




닉의 말년인 너키 존슨 이야기는 절찬리에 드라마로 방영 중이다.


 


 


허나 모든 시작에는 끝이 있고 모든 욕망은 찌꺼기를 남기듯, 복수를 위해 전진만을 거듭하던 닉도 결국엔 세월과 함께 사그라들고 말았다.


 


기득권과 그들의 욕망에 대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통쾌한 복수를 가하고자 했던 닉은 그 과정에서 스스로가 기득권이 되었고, 그러자 그는 자기도 모르는 새에 그가 복수하고자 했던 그들의 방식을 따라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해서 멈출 수는 없었다. 타인의 욕망을 이용하여 자신의 부를 쌓고 그 부를 더 불려야 자신이 존재할 수 있는 굴레와 그 굴레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다른 이들에게 전가해야 자신이 살아남는 그 사슬에서 닉은 헤어날 수 없었다.


 


그렇게 이전보다 더 치열하게 숨가쁜 삶을 살아야만 하다가 결국 기득권 사이의 경쟁에서 도태된 그는, 이후 자신의 생을 마무리하게된 요양원에서 예전에 자신이 썼다가 출간을 포기하고 고이 간직하고 있던 “The Great Gatsby” 원고를 꺼내어 마지막 구절에 다음 문장을 덧붙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개츠비가 위대한 건 그가 더 이상의 욕망을 펼치기 전에


그의 삶이 강제로 멈추어졌기 때문이다.”


 


 


 


영진공 이규훈


 


 


 


 


 


 


 


 


 


 


 


 


 


 


 


 


 


 


 


 


 


 


 


 


 


 


 


 


 


 


 


 


 

뉴라이트 역사교과서, 성폭행은 있었으나 결과는 긍정적이라고?

 


 

 


 


 


“강제병합 후 일제에 의한 근대제도의 이식과 우리 민족의 수용을 역사교육과정에 명시할 것을 요구 … 일제가 한국 근대화가 끼친 긍정적 역할도 인정하자고 주장”하는 한국현대사학회가 집필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교학사)가 검정심의 본심사를 통과했다고 한다. [기사 원문 링크]


 


그러니까 이들의 주장을 나름대로 해석하자면 … 성폭행을 당해 그 결과로 아이를 출산한 여성에게 ‘네 꼴로는 원체 좋은 남자 만나서 결혼할 수가 없었는데 그나마 그렇게 해서라도 아이를 얻었으니 다행’ 이라는 것이고, ‘그 사내가 너를 강간한 건 사실이지만 그렇게 얻어진 아이가 건강하고 귀여운 것도 사실’이라며 어거지를 부리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강간을 당했어도 결국 괜찮은 유전자가 섞인 아이를 얻었으니 형식은 부정적이지만 강간한 행위는 긍정적이거나 불가피했던 것이라는 요상한 소리를 지껄이는 것이다.


 


무슨 이런 일이 있을까.


자신의 의사에 반해 주권, 인권, 자원을 강제로 수탈한 자가 끼친 긍정적 역할을 인정하자는 주장이 그저 음지에서 간혹 보이는 것도 아니라 대놓고 버젓이 우리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과서로 채택이 된다니 말이다.


 


잃어버린 10년을 되돌리겠다더니 … 이제 나라는 반민특위가 강제로 해체되던 1949년으로 되돌아 가는 중이다.


 


 


 



1949년 당시 남대문로에 있던 반민특위 청사.


이후 이 건물은 국민은행 건물로 사용돼 왔다 [사진 출저: 블로그 보림재]


 


 


 


기독교에는 인간이라면 저지르지 말아야 할 죄악에 대한 가르침이 있다. 이를 ‘일곱가지 대죄’ 또는 ‘죽음에 이르는 일곱가지 죄’라 일컬으며 항상 이를 경계하여야 하고, 그러지 못할 시에는 지옥에 떨어지게 된다고 한다.


 


이 일곱가지 대죄의 리스트는 역사 속에서 조금씩 수정되어 오다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정해져 내려오는데,


 


1. 교만(Pride), 2. 질투(Envy), 3. 탐욕(Greed), 4. 분노(Wrath), 5. 탐식(Gluttony), 6. 욕정(Lust), 7. 나태(Sloth) 이다.


 


사실 리스트를 보면 굳이 기독교가 전하는 교훈이라고만 할 수도 없는, 인류의 역사가 진행되고 생산이 발달할 수록 인간이 빠져들기 쉬운 모든 유혹을 나열해 놓은 것이라고 해도 된다.


 


개인적으로는 이 일곱가지 대죄에 한 가지를 더하고 싶은데, 그것은 바로 … 무지(Stupidity)이다. 여기서 무지라 함은 저학력을 일컫는 것이 아니다. 자신만의 욕망에 따라 움직이며 목적하는 바를 어떻게든 취하기 위해 저지르는 고집만 남은 멍청함, 맹신, 의도적 외면, 계산된 왜곡, 곡학아세 등을 말하는 것이다.


 


사실을 비틀고 궤변을 덧붙이다 못해 종내는 다른 큰 죄악을 찾거나 만들어 내어 당장의 자신의 허물을 덮어버리거나 합리화하는 작위적 무지는 그 중 악질이라 하겠지만, 이러한 행위에 멋모르고 동조하거나 방치하는 것도 그 못지 않은 죄악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영화 속 음악은 바하의 “G선상의 아리아”

 


 


 


일곱가지 죄악을 모티브로 한 영화 “세븐” (1995, 데이비드 핀쳐 감독)을 보면, 죄악에 대한 심판을 명분으로 무고한 사람들에 대해 연쇄살인을 저지르는 범인이 나온다. 그리고 이 범인에 대해 형사 윌리엄은 시종일관 냉철하게 대처하지만, 열정적인 파트너 형사 데이비드는 범인의 교활함에 넘어가 분노의 죄악에 이르는 함정에 빠진다.


 


그리고 영화 “미션” (1986, 롤랑 조페 감독)을 보면, 자유롭게 살아가는 원주민에게 가해지는 침략자들의 공격에 맞서는 가브리엘 신부와 로드리고가 나온다. 가브리엘 신부는 권력자들에게 읍소한다거나 해보지만 결국 기도를 올리는 걸로 갈 길을 정하지만, 로드리고는 거대한 폭력 앞에 턱없이 부족하다해도 원주민들과 함께 무기를 들고 맞선다.


 


 


 



영화 속 음악은 널리 알려진 “가브리엘의 오보에”

 


 


 


윌리엄 형사가 옳으냐, 데이비드가 그르냐, 가브리엘 신부의 방식이 나은 거냐, 로드리고가 맞느냐 … 이런 논쟁은 각자의 견해에 따라 다른 결론이 날 거고, 달리 보면 어떤 식으로든 행동을 한다는 걸로 봤을 때는 큰 차이가 없을 수 있다. 중요한 점은, 뭐라도 한다는 데 있는 것이다.


 


큰 죄악을 저지른 이들은 절대, 한때 실수에 의해 작은 죄를 저지른 이들처럼  죄책감에 힘들어하거나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며 속죄를 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의 죄가 드러나면 오히려 더 길길이 날뛰며 합리화와 정당화를 위해 말 그대로 분골쇄신한다.


 


친일이 드러나면 그땐 다 그랬다며 오히려 그 친일로 인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우기면서 우리에겐 현재 더 큰 위험과 적이 있는데 과거에 집착하지 말자 한다. 위법과 탈세, 착복이 드러나면 그땐 모두 다 그랬다며 오히려 그보다 다른 중요한 일을 해냈다고 자랑하면서 우리에겐 현재 더 큰 위험과 적이 있으니 거기에 집중하자고 한다.


 


지난 역사를 돌아봐도 큰 죄를 저지른 이들이 스스로 뉘우쳐 잘못을 되돌리고자 노력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누군가 나서서 계속 훈계를 하든, 지속적으로 매를 들든 아니면 죄인들이 기를 못 펴게 사회 주도층이 형성되든지 해서야 비로소 잘못을 인정하고 더 이상의 패악질을 안하게 되곤 하였던 것이다.


 


이제는 저들이 스스로 정신을 차려 뭔가를 하거나 아니면 안하거나를 바랄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런 상황이 더 악화되기 전에 나부터 스스로 뭔가를 해야겠다. 공부를 더 하든, 주변 사람들과 자주 진솔하게 대화를 하든, 뜻이 같은 이들과 적극적으로 함께 널리 알리든 말이다.


 


 


 


영진공 이규훈


 


 



 


 


 


 


 


 


 


 


 


 


 


 


 


 


 


 


 


 


 


 


 


 


 


 


 


 


 


 


 


 


 


 

[그 영화 그 노래] 탐 웨이츠(Tom Waits)를 아시나요?

 

 


 


 


탐 웨이츠(Tom Waits),


최후의 비트족이라 불리우는 1949년 생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이 가수의 이름을 들어본 이는 그리 많지 않을테지만, 그의 노래를 어떤 식으로든 들어본 사람은 의외로 많을 듯 하다. 왜냐하면 이 아저씨의 노래는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수 없이 많은 TV 프로그램과 영화에 삽입되었기 때문이다.


<참고: IMDb 사운드트랙 목록>


 


그의 노래가 삽입되어 있는 영화 중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를 들자면, “파이트 클럽” “12 몽키즈” “슈렉 2” 등이 있다.


 


 



영화 “파이트 클럽” 삽입곡, “Goin’ Out West”

 



 


 





영화 “슈렉 2” 삽입곡, “Little Drop Of Poison”

 


 


그리고 그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에 종종 출연하기도 하였다.


1984년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의 코튼 클럽”,


1986년 짐 자무쉬의 “다운 바이 로”,


1992년 역시 코폴라 감독의 “드라큘라”,


1993년 로버트 알트만의 “숏컷”,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2010년 영화 “일라이”에 출연한 나름 중견연기자이다.


 


가수로서의 그의 경력을 보자면,


1973년 데뷔앨범 “Closing Time”을 시작으로 최근작인 “Bad As Me” (2011)까지 19개의 정규앨범, 3개의 라이브앨범, 2개의 영화사운드트랙 앨범을 발표하였고,


<참고: allmusic.com 디스코그라피>


 


여러 시상식에 후보로 노미네이트 되거나 수상하기도한 매우 성공한 그리고 존경받고 있는 뮤지션 중의 하나이다.


 


 





탐 웨이츠의 곡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Maria Tecce 커버 버전 

 


 


 


사실 그의 음악을 몇 개의 단어로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은 그리 쉬운 건 아닌데,


칙칙하고 우울하고 울컥하고 냉소적이고 빈정대고 사회현상에 대해 정곡을 찌르는 그의 음악은 우리가 기꺼이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그런데 그보다 더 우리에게 그의 음악을 낯설어지게 하는 것은 바로 그의 노랫말 때문일 터이다. 풍자, 은유, 비어, 속어, 직설 등 그의 노랫말은 사실 그걸 그대로 우리말로 옮겨 놓기가 거의 불가할 정도로 미국 정서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아저씨는 자신의 곡이 무단으로 쓰여지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민감한데,


직접 인용 또는 누군가에게 다시 부르게 한 경우까지 저작권 소송 관련 소송을 여러 차례 진행하기도 하여 대부분 승소하였고 합의금은 거의 자선단체에 기부하곤 하였다.


 


 





매니아 층을 형성하기도 했던 미국 드라마 “The Wire” 오프닝 테마,

오리지날은 탐 웨이츠의 노래 Way Down In The Hole”

다시 부른 이들은 The Five Blind Boys of Alabama


 


 


외모로만 보면 제 멋대로 살고 할 말 안 할 말 다하고 다닐 것 같은 이 아저씨,


그런데 은근히 정의감도 있고 제 할 일 착실히 잘 하면서 사는 분이다.


 


이 아저씨 노래 중에 그래도 나름 우리 정서에 슬쩍 걸쳐 볼만한 곡들을 추천하자면,


“Please call me, baby”,


“Tom Traubert’s Blues”,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The piano has been drinking”,


“Foreign affair” 등이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찾아 들어보시길 권하는 바이다.


 


글을 마무리하면서 탐 웨이츠의 음악으로 가득한 영화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1982년 개봉하였다가 2003년에 다시 리마스터 되었던 영화, “One From The Heart”.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이 영화가 “마음의 저편”이라는 제목으로 국내 개봉하였다고는 하는데 긴가민가하다.


 


어쨌든 탐 웨이츠의 탁성과 크리스탈 게일(Crystal Gayle)의 미성이 너무나 잘 어울리는 노래들로 가득한 영화이니 한 번 쯤 찾아 감상하셔도 좋을 듯 하다.


 


그럼 즐감~ ^^


 


 



“마음의 저편” (One From The Heart) 2003년 판 예고편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