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칠드런>, 불륜 로맨스 너머로 확장된 시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격정 불륜 로맨스 영화라길래 꽤나 끈적한 분위기일 것으로 예상했는데 겉포장에서 풍기는 이미지와 실제 내용물이 다른 또 한편의 영화가 <리틀 칠드런>이었습니다. 유부녀 사라(케이트 윈슬렛)와 유부남 브랫(패트릭 윌슨)의 이야기는 분명히 불륜 로맨스가 맞습니다만 <리틀 칠드런>의 시선은 두 사람의 심리와 행동에만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적지 않은 러닝타임이 두 주인공의 주변 인물들에게 할애되고 있는 것은 이야기의 전개를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영화의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선택된 방식입니다. 구태여 공영방송 스타일의 전지적 나레이션까지 사용한 것도 불륜 드라마의 전형성을 탈피하기 위한 장치라고 생각됩니다.

잘생긴 애아빠에 환상을 갖고 있으면서도 보수적인 사고방식을 벗어나지 못하는 젊은 주부들, 온 동네를 긴장하게 만드는 성도착자 로니와 그를 보살피는 어머니, 성인 인터넷 사이트에 심취한 사라의 남편, 총기 사고로 경찰직에서 쫓겨난 후 로니에게 화풀이 하는 전직 경찰, 그리고 현실로부터의 탈출 욕망에 시달리는 두 주인공 사라와 브랫… 겉 보기와 달리 알고보면 우리 주변에도 ‘정상적’이라고 할만한 인물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을 상기시키는 영화가 <리틀 칠드런>입니다. ‘정상적이고 바람직하다’는 통념적인 기준에서 보면 누구나 무언가에 중독되어 있거나 변태이거나, 신경쇠약에 걸려있거나 다스리기 힘든 욕망에 시달리며 사는 것이 현대인의 자화상 아니겠습니까. 이와 같은 미국 중산층들의 풍경을 느슨한 블랙코미디의 느낌으로 담고있다는 점에서 <리틀 칠드런>은 <아이스 스톰>과 <아메리칸 뷰티>, 그리고 <크래쉬>(특히 이야기를 매듭짓는 방식에서)와도 일맥상통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여기에 완전한 주변 인물이거나 악인으로만 다뤄지기 쉬운 로니(와 어머니, 그리고 소개팅 상대)를 영화의 중심으로 끌어들인 과감한 플롯은 <리틀 칠드런>만의 강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틀 칠드런>은 톰 페로타의 원작 소설을 각색한 작품인데, 톰 페로타의 다른 작품으로는 놀랍게도 알렉산더 페인 감독, 리즈 위더스푼과 매튜 브로데릭 주연의 <일렉션>(1999)이 있어 기억해둘만 합니다. <인 더 베드룸>(2001) 이후 두번째 연출작을 내놓은 배우 출신 감독 토드 필드는 스탠리 큐브릭의 유작 <아이즈 와이드 셧>(1999)에서 톰 크루즈의 재즈 뮤지션 친구(밀교 장소에서 올갠을 연주하는)로 출연했더랬습니다. 케이트 윈슬렛이나 브랫의 아내로 출연한 제니퍼 코넬리는 <리틀 칠드런>을 통해 영화 고르는 안목이 상당한 배우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