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볼루셔너리 로드”, 현실과 이상이 서로 만날 수 없는 길

샘 멘더스가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한 가족영화 <레볼루셔너리 로드>를 만들었다고 했을 때 <아메리칸 뷰티2>를 만들 건줄 알았다. 샘, 아카데미상이 그렇게 그리웠던 거야, 라고 비웃음을 약간 섞어서. (작품상과 감독상을 비롯하여 다섯 개 부문을 수상했던 <아메리칸 뷰티>(1999)와 달리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주요 부문에 후보조차 올리지 못했다!)

근데 영화를 보니 중산층 가족을 주인공으로 삼았다는 점을 제외하면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전혀 다른 작품이었다. 사실 중산층 가족이라기보다는 ‘부부’라고 해야 될 정도로 남편과 아내 둘의 관계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애초 <아메리칸 뷰티>와는 선을 긋고 출발한다. 

휠러 부부는 뉴욕 인근에 위치한 레볼루셔너리 로드의 선망의 대상이다. 부부 모두 선남선녀인데다가 동네에서 최고로 치는 새하얀 이층집까지! 그야말로 당시 미국인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삶에 다름 아니었더랬다. 문제는 이들의 삶이 미국인 모두가 바라마지않는 꿈이라는 것. 모든 사람이 같은 목적지를 향해 똑같은 길을 걷는다는 건 얼마나 숨 막히는 일인가. 깔끔한 중절모와 수트를 입고 가족의 배웅을 받으며 회사로 출근하는 남편, 남편과 자식을 출근시킨 후 집안일에 몰두하는 부인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비추는 카메라의 모습은 어딘지 모르게 꽉 막혀 있는 인상을 준다.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이 같은 장면을 극 초반 전면적으로 노출하며 영화의 주제가 일상(日常)과 이상(理想) 사이의 갭이 만들어내는 가족의 붕괴를 주제로 삼을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이 영화의 배경이 2차 대전이 끝난 1950년대 중반이란 사실이 중요해진다. 소비와 풍요의 시대, 즉 미국에서는 ‘현대’가 시작된 것이다. 하여 여성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른바 ‘신여성’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니. 반복된 일상에서 내가 진짜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의문에 휩싸이는 여자와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남자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충돌이 일어날 수밖에 없음은 자명하다. 에이프릴 휠러(케이트 윈슬럿)가 배우를 꿈꾸는 인물로 등장하는 건 그래서다. 더군다나 재능이 받쳐주지 못해 배우의 꿈을 접을 수밖에 없었던 그녀의 이상향에 대한 동경이 얼마나 컸을지는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심지어 ‘파리’에 가본 적 있다는 이유만으로 프랭크(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자신이 만나본 가장 흥미 있는 남자라며 결혼까지 하지 않았던가. 결혼과 함께 미국을 떠나기로 약속했지만 계획에 없던 아이가 생기고(그것도 둘이나!) 남편은 일에 치여 꿈이 뭔지 잊은 것 같고 배우의 꿈은 종치고. 휠러 부부의, 아니 에이프릴의 유일한 해결책은 단조로운 레볼루셔너리 로드를 벗어나 총천역색의 프랑스 파리로 떠나는 것.

허나 에이프릴처럼 특별한 사람들에게 삶은 외로운 법. 1950년대 중반이라는 미국의 시대적 분위기에서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다른 삶을 이해하지 못했고 일탈을 인정하지 않았다. 모두가 선망하는 레볼루셔너리 로드의 새하얀 이층집을 버리고 파리로 떠난다? 그것은 정신이상과 다를 바 없었다. 물론 이를 이해해주는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휠러 부부에게 멋진 집을 소개해준 기빙스 부부에게는 정신이상자 아들 존(마이클 셰넌)이 있는데 그만이 휠러 부부의 계획을 찬성할 정도로 파리 행은 당시 정서로 보건데 미친 짓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잘 살겠다는 삶의 종착역이 같았음에도, 이를 향하는 무수한 다양한 길이 있었음에도 하나의 길 이외의 길은 인정하지 않는 집단적인 무의식이 휠러 부부의 파국을 잉태했던 것이다. 

특기할만한 것은 샘 멘더스 감독이 이를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남녀의 문제, 즉 러브스토리의 화법으로 풀어냈다는 점이다. 앞서 살짝 언급했듯, 그 당시 가족의 해체는 가족 전체의 문제가 아닌 남녀의 위상 변화에 따른 결과였다. 한마디로 신여성의 도래에 따른 남성의 심리적 불안감 표출이라고 할까. 샘 멘더스는 어느 인터뷰에서 “남녀가 만나 완벽한 가정을 꾸리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판타지의 상실과 비루한 현실의 긴장관계를 다루고 싶었다.”고 했는데 안 그래도 직장 상사에게 능력을 인정받고 20년간 한 회사에서 근무해온 아버지를 일종의 롤 모델로 삼고 있는 프랭크의 삶의 태도는 정확히 에이프릴과 대척점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현실에 안주하려는 프랭크와 이상을 꿈꾸는 에이프릴 사이에 좁혀지지 있는 간극이 결국엔 비극적인 러브스토리를 만들고 만 것이다.

이는 시대가 만들어낸 러브스토리이지만 샘 멘더스 감독은 시간 묘사에는 별 관심이 없다는 투의 태도를 취한다. 그로 인해 시대와 이야기의 상호작용이 주는 사회학적 밀도가 헐거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의도를 파악하는 건 어렵지 않다. 바로 현대와의 연관성 때문이다. 현대 역시 모든 이들이 출세와 돈, 성공이라는 하나의 꼭짓점을 향해 부나방처럼 뛰어드는 시대다. 미국의 1950년대 중반과 다르지 않다. 그런 점에서 영화의 제목이 주는 뉘앙스는 의미심장하다. ‘레볼루셔너리 로드‘(Revolutionary Road), 혁명적인 길. 모두가 꾸는 꿈은 현실이다. 하지만 다른 꿈을 꾸는 것은 이상이다.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삶의 혁명일 수 있다. 삶보다 더 큰 무엇, 즉 에이프릴이 꿈꾸던 파리.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이상을 실현하는 길은 멀지 않다고 말한다. 문만 열면 바로 밟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한 길. 하지만 승진, 임신, 아이 등등 안주하는 생활이 어깨에 축적된 일상의 무게는 혁명의 길을 희미하게 만든다. 그리고 거기에 파멸의 함정이 있다. 그것은 1950년대 중반이나 현재나 크게 달라진 것은 없어 보인다. 가까이 두고도 밟지 못한 길, 그것이 바로 <레볼루셔너리 로드>다. 

영진공 나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