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창, [GP506] – “사회적 메시지를 위해 호러의 공식을 이식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약한 아버지와 죽음의 위기에 몰린 아이들.
비무장지대 내 최전방 경계초소인 GP 506에 전 소대 몰살사건이 벌어진다. 진상을 조사할 노수사관(천호진)을 위시해 수색대가 들어가서 목격한 것은 내무반 내에 널부러진 피투성이 시체들과, 온몸에 피칠갑을 한 채 광기의 눈을 번득이며 도끼를 들고있는 강진원 상병(이영훈)의 모습. 노수사관은 곧 수사를 시작하고 총 20구여야 할 시체가 19구밖에 되지 않음을 알아채는데, 수색대원들은 뜻밖에 패닉 상태에 빠진 채 생존해있는 GP장 유중위(조현재)를 발견한다. 계속해서 초소 밖을 나가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는 유중위는 도무지 입을 열 생각을 안 하고, 용의자인 강상병은 의식불명 상태다. 폭우 때문에 길이 막혀 수색대원들마저 경계초소 안에 고립된 와중 이들은 괴이한 사건들이 바로 눈앞에서 일어나는 것을 직접 목격하게 된다.


군대 안의 이야기라는 점, 그리고 미스터리 형식으로 시작해 호러영화의 문법을 차용한다는 점뿐 아니라, 영화 안에서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단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영화가 위치하고 있는 외적 맥락 때문에 결국 사회적, 정치적 의미로 해석되는 메시지를 담고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그러나 <GP 506>은 <알포인트>보다 호러의 외양은 더 많이 내되(피와 시체들의 향연!) 호러로서의 구성은 느슨하며, 그렇다고 미스터리 스릴러로서 꽉 짜인 플롯을 보여주는 것도 아니다. 대신 이 영화는 ‘군대’를 둘러싼 보다 비극적인 정조를 강화한다.


대체로 평가가 높았던 <알포인트>에 대해 약간의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던 부분이 있는데, <GP 506>을 통해 조금 더 확인한 부분이 있다면 공수창 감독이 호러장르의 문법을 사용하는 방식은 호러 본연의 코드를 익숙하게 사용한다기보다 저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위한 비유의 차원에서 호러의 공식을 이식해서 쓰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호러영화들이 그 어떤 다른 장르의 영화들보다 당대 대중들의 무의식을 사회적인 맥락에서 통찰해볼 수 있는 텍스트를 제공하는 게 사실이지만, 장르영화 안에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사회적 의미를 담는 것과 특정한 사회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장르의 공식을 가져가는 건 영화제작의 방향이 정반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알포인트> 역시 분명 후자였음에도 미스터리 – 호러의 측면에서 구조가 탄탄했기에 전자로 오인되었다. 그러나 <GP 506>은 명백히 후자이고, 감독은 굳이 호러의 장르문법에 그렇게 얽매여있지도 않다. 호러영화의 팬들에서 이 영화에 대해 악평이 나오는 건 당연한 것이, 감독이 ‘그 설정’을 사용하는 방식은 이야기를 위해 억지로 끌어온 듯한, 낭비되고 있는 듯한 측면이 분명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영화가 다른 지점을 가리키고 있는데도 굳이 호러영화의 틀에서 이 영화를 형편없다고 평하는 것 역시 핀트가 살짝 어긋났다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처럼 호진 님이 주인공으로 나오셨어!!!! 꺄악!!!!


굳이 GP 506 초소가 아니더라도, ‘군대’라는 것이 한창 호르몬 왕성하고 자신의 인생을 설계해야 할 청춘들을 세상과 고립시킨 채 ‘사람을 효율적으로 죽이는 기술’을 가르치는 곳이라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군대라는 집단의 그 폐쇄성과 배타성은 굳이 GP 506 초소가 아니더라도 외박과 휴가가 자주 보장되는 부대라 해도 지워지지 않는 특성이다. 이것을 좀더 강조하고자 선택된 공간이 GP 506이라는 초소인 셈인데, 이곳에서 비록 군 장성의 아들로 어릴 적부터 군인의 정서로 자라왔다고는 하나 여전히 어린 청춘에 불과한 유중위의 손에 다른 20명의 운명이 맡겨져 있다는 것이 얼마나 지나치게 무거운 책임인지, 어른들이 지고 어른들이 해결해야 할 짐이 어린 청년의 어깨에 얼마나 과도한 무게로 억지로 지어져 있는 것인지가 영화 속에 명확히 드러난다. 아울러 이 모든 사태를 결국 자기희생이라는 방식을 통해 해결하려 한 강진원 상병의 해법 역시 아이가 지고가기엔 지나치게 무거운 짐이자 너무나 안쓰러운 결단이다. 잘못된 역사를 끊어내기 위한 역사적 사명을 감당하기에 강진원 상병은 너무 젊고 앳되며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들이 훨씬 더 많이 남아있는, ‘어린아이’에 불과하다.


사건을 수사하러 온 노수사관이 결국 그런 식의 엔딩을 내는 것을, 나는 어른 세대가 자신들 세대에서 발생한 비극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으로 읽었다. 그가 이미 죽어 나자빠진 아이들, 지금은 살아있으나 자기 손으로 죽여야 할 아이들, 그리고 그 무거운 짐을 혼자 감당하려 한 강진원 상병에게 느꼈을 슬픔과 고통과 죄책감이 어떤 것이었을지, 조금은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아울러 기자시사 후 간담회에서 천호진 씨가 ‘웃음소리’가 나는 객석을 향해 왜 그리 날카롭게 반응했는지도.) 지나간 역사에 대해 자기희생을 감수하고서라도 책임을 지려는 어른이 등장하는 흔치 않은 한국영화가 또 한 편 추가된 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긴 하지만 어딘가 좀 뻣뻣한.


그럼에도 이 영화의 엔딩은 석연치 않은 찜찜한 뒷맛을 남긴다. 괴질은 손쉽게 전염되고 이곳은 외따로 고립된 곳이지만 과연 바깥세상으로 나가는 것이 병의 전염만을 의미하는가, 하는 것. 책임을 지려는 어른이 등장한 것은 너무나 소중하지만, 그리고 그에게 주어진 시간이 너무나 짧은 것도 사실이었지만, 과연 그런 ‘자폭’만이 유일한 해결방식이었는가에 대해선 의문의 소지가 있다. 내게는 이 엔딩이 한편으로는 책임을 지는 것인 반면, 또 한편으로는 지독한 자포자기와 패배주의의 방식으로 읽히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냥 우리 다 죽어버리자”라는 건 오히려 가장 손쉬운 해법이기도 하지 않는가. 강진원의 입장에선 젊은 혈기에 그런 결론을 내리는 게 어쩌면 당연했겠지만, 노수사관의 입장에서 그런 결론을 내리는 건 군당국과 고위 장성들, 나아가 그들이 속한 이 사회 시스템 전체에 대한 처절한 불신이 먼저 읽히고, 어쩌면 바깥세상에서 괴질의 연구에 뒤따른 치료의 기회가 있을 수도 있었던 다른 아이들에 대해 애초부터 기회를 차단하며 희생을 강요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읽히기 때문이다. 밖으로 나가기 위해 그토록 필사적으로 굴었던 의무병이나 다른 수색대원들의 행동들은 그 어느 누구에게도 이기적이라는 손가락질을 당할 수 없고, 당해서도 안 된다.


또한 이 영화가 요구하는 ‘어른이 책임을 지고 과거의, 역사의 과오를 끊어내야 한다’는 명제의 그 ‘어른’이, 공수창 감독이 속한 세대가 아닌 그 윗세대라는 점도 찜찜한 맛을 더한다. 이 사회에서 일반적인 386 세대들이 전형적으로 보이는 태도 중 하나가 자신의 윗세대에겐 책임을 요구하고 불평하며 아랫세대에겐 희생을 강요하는 것 아니었던가. 바로 이 한계가, 영화를 보고 한편으로 젊은 아이들이 속절없이 쓰러져 가는 것에 눈물을 흘리면서도 그 눈물의 뒷맛이 그닥 개운치 않았던 이유이다.


그럼에도 이 영화가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하고 있는 에너지, 그리고 이 영화가 어쨌든 성공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억지로 청춘시기에 군대에 끌려가야 하는 아이들의 비극의 묘사라는 측면에서 그렇게 홀대받거나 함부로 폄훼당할 만한 영화는 분명 아니다. 전작인 <알포인트>에서보다 더 직설적이어서 재미없어진 면과 장르영화의 공식이 잘못 사용된 면이 분명 있지만, <GP 506>은 <알포인트>보다 전반적으로 세련되었으며 또 한편으로 상업영화의 틀 속에서 사람들이 입밖에 내기 꺼려하는 문제를 과감하게 지적하고 비판한 용기, 나아가 이를 ‘그림’의 측면에서 꽤 인상적으로 펼쳐놓은 미학적 성취가 분명히 존재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후회하지 않아>에 이어 메이저 영화로도 진출한 이영훈.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배우.





영진공 노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