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절 공부는 어따 써먹는 것일까?


 


 

 


 








 



난 어려서부터 책을 좋아했다. 그리고 다행(?)스럽게도 개인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직업 덕택에 계속해서 이 호사스런 취미를 누릴 수 있었다. 나의 독서취향은 시절에 따라 바뀌어갔다. 10대에는 소설책을, 20대에는 인문학 책을, 30대인 지금은 과학서에 푹 빠져 있다. 특히 과학서는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과 앞으로 하고 싶은 일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요즘엔 그림은 뒷전에 던져두고 열독하고 있는 중이다.


 


그 결과 과거엔 방문자의 90%가 여성이었던 그림작가의 아기자기한 블로그(http://bung015b.egloos.com/)였지만 지금은 자연과학 전공자의 고비사막 같은 블로그로 전락하였고, 방문자의 90%가 남자라는 씁쓸한 통계가 선물로 주어졌다.


 


그렇게 많이 읽어왔고 또 읽고 있지만 누군가 나에게 유식해졌냐고 묻는다면 난 쥐구멍이 아니라 우주로 도망칠지도 모르겠다. 분명 20대 때부터 지금까지 인문학서나 과학서를 읽은 것은 책을 통해 지식을 쌓으려는 것이었다. 솔직히 다른 사람 앞에서 유식한 말로 잘난 척도 하고 싶었고 누군가 질문을 하면 막힘없이 술술 답해주는 전문가스러운 자태도 뽐내고 싶은 속물적인 욕심도 있었으리라.


 


근데 나이가 들어선지, 술을 많이 마셔서인지, 아님 그냥 머리가 후져서인지 도무지 여태까지 읽었던 수많은 인문서, 과학서들의 내용 대부분이 기억나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 잘난 척은 고사하고 혼자 집구석에서 글을 쓸 때도 분명 읽었고 공부했던 내용임에도 또다시 책을 찾아 정리해야만 한다. 그럴때면 정말 짜증스럽지 않을 수 없다.


 


대체 그 오랜 시간 책을 읽어서 얻은 것이 결국 방문자의 90%가 남자라는 통계치 뿐이란 말이던가.


 


 



 


 



이런 망각의 저주(?)는 영혼을 쥐어짜며 공부했던 우리의 순수했던 학창시절마저 무의미하게 느껴지게 만든다. 아오지 탄광의 강제노역에 버금가는 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내며 오로지(!) 학문에만 매진했지만 그 수많은 지식들은 학교를 졸업하면서 모두 깡그리 휘발되어 날아가 버린다. 왜 우린 어김없이 까먹고 말 것을 알면서 그렇게 애써 공부하는 것인가.


 


가장 큰 이유는 먹고 살기 위함일 것이다. 지금 시대에서 공부의 목적은 대학 진학과 취업의 수단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특히 학교 당국이 앞장서서 어린 시절부터 ‘공부=대학=성공=돈’이라고 끊임없이 주입시켜주고 있지 않던가. 그 결과 우리는 과정이야 어떻든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10대를 가진 나라가 되었지만 더불어서 가장 책 안 읽는 어른들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


 


공부가 실용적인 목적으로 국한되면서 사람들은 대학에 진학하거나, 취직을 하고 나서는 대부분 책을 놓아 버린다. 우리 출판시장의 판매량은 이러한 세태를 확연히 보여 준다. 유아책에서 성인책으로 올라갈수록 판매량은 뚝뚝 떨어지며 그 중에서도 인문학서와 특히 자연과학서는 고사 직전에 이르게 되었다. (인문학서 쪽은 언제나 위기라고 떠들지만 자연과학서 쪽은 위기라고 떠드는 사람조차 없다.)


 


기껏 공부해도 시간이 지나면 싸그리 까먹게 되고 그나마 취업하고 진급하는데 말고는 필요없는 공부를 우린 왜 해야 하는가. 


  

이러한 의문은 앞으로 내가 공부를 계속하기 위해서도, 그리고 나보다 공부할 시간이 더 창창히 남아있는 내 딸을 위해서도 꼭 풀어야만 할 문제다. 나 스스로도 공부를 왜 하는지 모르면서 딸아이에게 공부를 권할 배짱은 없기 때문이다.

 


 




 


 

다행히 일본의 수학자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이런 나의 고민을 알았다는 듯 멋진 책을 집필하여 출간하였다. 수학계의 노벨상이라는 필드상을 수상한 저자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그의 저서 ‘학문의 즐거움’에서 공부를 하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나는 ‘지혜’를 얻기 위해서라고 말하고 싶다. 배워 나가는 과정에서 지혜라고 하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살아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이 지혜가 만들어지는 한, 배운 것을 잊어버린다는 것이 결코 손해 만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단 잊어버린 것을 필요에 의해 다시 한번 꺼내려고 할 때, 전혀 배워 본 적도 없고 들어 본 경험도 없는 사람과는 달리, 최소한 마음의 준비는 되어 있고, 어느 정도 시간을 들이면 별 고생 없이 그것을 이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지혜에는 그런 측면이 있다. 나는 그것을 ‘지혜의 넓이’라고 한다.


 


더 나아가 지혜에는 대상을 깊이 살펴보는 ‘깊이’라는 측면이 있다. 그리고 결단력을 유도하는 ‘힘’이라는 측면도 있다. 그러므로 나는 ‘왜 배워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이러한 ‘지혜’를 얻기 위해서라고 대답하고 싶다.



 


 


참 좋은 말이다. 내가 책을 읽고 공부를 하는 것도 앎에서 오는 즐거움을 통해 많은 지식을 쌓고자 함이었지만, 더 나아가서는 그 지식들을 통해 좀 더 현명해지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고 싶었다. 하지만 뭔가 2% 부족함을 느낀다.

 

우리는 지식이 지혜로움을 담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오늘 책 한 권 더 읽었다고 내일부터 책 한 권 분량만큼 더 현명해지는 것은 아니다. 주위에 널려있는 학력 좋은 바보들이나 책은 많이 읽어 유식한데 언행은 시정잡배와 다름없는 이들을 우린 쉽게 볼 수 있다. 나부터도 그렇게 많은 책들을 읽고 있지만 딸아이의 작은 도발에도 이성을 잃는 저질 인격의 소유자이지 않던가.


 




 


 


2012년 6월 TED강연에서 Margaret Heffernan (http://www.mheffernan.com/biography.shtml) 는 매우 인상깊은 강연을 하였는데 특히 마지막에 언급한 구절은 히로나카 헤이스케가 채워주지 못한 2%를 채워주었다.


 


정보의 개방은 환상적입니다.


오픈 네트워크는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진실을 이용할 기술과 습관을 익히고 

재능을 계발하며 그리고 도덕적 용기를 내기 전까지는

진실이 우리를 자유케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개방’이 끝은 아닙니다.

그건 ‘시작’입니다.

 


지혜로운 말들은 보편성의 힘을 가지고 있다. 이 구절에서 몇 단어만 바꾸면 또다른 깨달음을 우리에게 선사한다. 


 





우리가 지식을 이용할 기술과 습관을 익히고 



재능을 계발하며 그리고 도덕적 용기를 내기 전까지는



지식이 우리를 현명 하게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지식’이 끝은 아닙니다.



그건 ‘시작’입니다.


 


 


 


 


영진공 self_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