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 슬럼버”, 재미와 감동을 보장합니다.


평범한 택배 기사 아저씨가 하루아침에 일본 총리 암살범으로 몰리게 된다는 설정의 이야기다. 국가 권력 또는 그 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군림하는 세력에 의해 개인의 삶이 위협을 받거나 파괴된다는 식의 줄거리는 그리 낯선 것이 아니지만 – 비단 영화 속에서만의 이야기가 아닌 이유도 있고 – <골든 슬럼버>의 경우 암살이나 음모에 의한 스릴러 보다는 그와 같은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도 끝내 살아남아야 할 이유와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작품이다.

도입부에 “인간의 가장 무서운 무기는 습관과 신뢰”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영화는 이 말이 무슨 뜻인지를 주인공 아오야기(사카이 마사토)의 사례를 통해 입증하면서 매우 보편적이면서도 인간적인 감동을 전달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습관과 신뢰”를 추억과 신뢰로 바꾸면 <골든 슬럼버>의 실제 분위기와 메시지에 좀 더 가까운 키워드가 되지 않을까 싶다.

영화는 총리 암살범으로 몰린 아오야기의 현재 시점과 함께 대학 시절의 아련한 추억들을 번갈아가며 보여준다. 온 세상이 총리 암살 사건의 용의자로 아오야기를 지목하며 떠들썩한 상황에서도 아오야기를 “알고 있는” 사람들은 아오야기가 총리 암살범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신한다는 점은 – 주인공을 암살범으로서 공증하기 위한 CCTV 영상이 방송을 통해 공개된 상황에서조차 – <골든 슬럼버>의 분위기를 서스펜스 스릴러가 아닌 지극히 인간적인 감동의 드라마로 만들어가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차라리 죽어버리는 것이 마음이라도 편할 것만 같은 상황에서 자신의 결백을 믿어주는 주변 인물들의 존재가 어떻게든 반드시 살아야겠다는 의지를 심어주고 실제로 여러 차례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감동의 포인트가 후반부의 어느 한 지점에만 집중된 것이 아니라 – <타인의 삶>(2006)의 경우는 영화 마지막 시퀀스가 감동의 핵폭탄 – 영화 전반에 걸쳐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것이 매번 극적으로만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매우 일상적이면서도 코믹한 방식으로까지 표현되곤 하기 때문에 영화 전반적으로 극적인 긴장감의 수위가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확실히 <골든 슬럼버>는 엄청 심각하게만 보이는 포스터의 이미지와는 다른 영화다. 사지에 내몰린 도망자의 죽고 싶은 상황과 절박한 심정 속으로 깊숙히 들어가기 보다는 코믹한 상황 전개와 과거의 추억담을 통해 부지런히 긴장을 이완시키며 희망을 가져야 할 이유와 방법론에 집중하는 편이다.

요즘 대중영화의 트렌드라고 할 수 있는 수퍼히어로급 주인공의 활약이나 끔찍한 피칠갑 액션의 전시가 없다는 점은 <골든 슬럼버>의 장점이자 단점으로 이야기될 수 있을 듯 하다.

어찌보면 일본 총리 암살 사건의 용의자로 몰려 쫓기는 신세가 된다는 설정 자체가 우리가 살면서 실제로 겸험할 수도 있는 ‘당장 죽고싶은 상황과 심정’을 대표하기 위한 비유법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영화는 가공할 음모의 배후를 파헤치거나 국가 기관에 의한 도청 행위나 언론 조작에 대해 날선 비판을 쏟아내는 데에 시간을 할애하기 보다는 지인들이 주인공의 결백을 믿어주고 응원해줄 때마다 쏟아지는 눈물과 감동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사소하게 보이는 디테일 하나까지 과거와 현재를 꼼꼼하게 이어주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이사카 코타로의 원작은 아이디어의 탁월함을 넘어서 정성스러움이 한껏 묻어나는 느낌을 전해준다. 이사카 코타로 원작으로 나카무라 요시히로 감독이 연출한 작품은 이번 <골든 슬럼버> 이전에 <집오리와 들오리의 코인로커>(2007)와 <피쉬 스토리>(2009)가 있는데 아직 보지 못한 <피쉬 스토리>를 챙겨볼 필요가 있겠다.

영화 속에서 많은 것들이 반복되지만 그 중에 하나가 “이미지다”라는 대사다. 모든 것이 이미지에 불과하지만 우리가 의지할 수 있는 건 바로 서로에 대한 신뢰라는 얘기다.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던 생 떽쥐베리의 소설이 생각나게 하는 대목이다.

나카무라 요시히로 감독의 2009년작 <제너럴 루주의 개선>에 출연한 사카이 마사토의 모습을 보면 약간 마른 체구에 독불장군 같은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는데, <골든 슬럼버>에서는 갓중년의 평범남 아오야기를 연기하기 위해 체중을 꽤 늘린 것으로 보인다. 어리버리하던 쌍커풀 눈에서 닭똥 같은 눈물을 뚝뚝 흘려대는 모습이라니.

<카모메 식당>(2006) 의 남자 버전이라 불리우는 <남극의 셰프>(2009)에서도 주연이었으니 다른 배우들처럼 화려한 20대를 보낸 것은 아니지만 작년 한 해를 거치면서 주연급 배우로 부쩍 성장한 케이스가 아닌가 싶다.

나름 상대역이라 할 수 있는 하루코 역의 다케우치 유코도 30대가 되면서 더 나은 연기와 ‘이미지’를 보여주게 된 듯.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