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 진화론이라는 세기의 떡밥을 던지다 [4부]



 


다윈, 진화론이라는 세기의 떡밥을 던지다 – 1부


다윈, 진화론이라는 세기의 떡밥을 던지다 – 2부
다윈, 진화론이라는 세기의 떡밥을 던지다 – 3부

앞서 얘기했지만 진화의 개념은 혜성처럼 등장한 다윈이 안쪽 호주머니에서 불쑥 꺼내놓은 이론이 아니다.

다윈 이전에도 생물학자들 사이에서는 생물의 발생에 대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하지만 당시의 유럽은 전통적인 기독교 세계관으로 사람들의 머리를 공구리 치던 시절이었다. 그 세계관은 신이 식물과 동물의 종들을 각각 별개로 창조하였으며 같은 것이 같은 것을 낳는다는, 즉 종은 고정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 노아의 홍수와 같은 대재앙이 우리가 관찰하는 지질학적, 생물학적 환경을 설명해 준다고 주장했다.
 
기독교적 세계관에 충실했던 사람들은 신의 경이로운 솜씨를 기리고자 그의 피조물들을 수집하기 시작했고 생물오덕질이 하나의 유행이 된다. 그러자 예상치 못한 일이 생긴다. 생물의 표본들이 한곳에 모이면서 생물 전반의 큰 그림을 그려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생물학자들은 이렇게 소심하고 쪼잔할 정도로 다양한 생물들을 신이 일일이 창조했다는 생각에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기독교적 세계관에 커다란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 깨뜨려야 될 또 하나의 벽이 남아 있었다. 그것은 지구의 나이에 관한 문제였다. 왜냐하면 생물들이 진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지구의 나이가 어마어마하게 많다는 전제하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다



제임스 어셔James Ussher(1581-1656)

지구의 나이에 대해 처음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이는 제임스 어셔(James Ussher)대주교였다. 그는 1581년 아일랜드 더블린(Dublin)에서 태어났으며 26살 약관의 나이에 더블린 신학대학의 신학과 학과장이 되었고 1925년에 아일랜드 영국국교회의 최고 고위직인 아르마 대주교(Archbishop of Armagh)가 되는 등 출세가도를 달린 인물이다.

학창시절 반장 한번 못해본 우리들로서는 처세술에 능했던 얍샵한 인물일거야 하며 자위하고 싶지만 학생 때부터 역사과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받았으며 수많은 역사책을 탐독했고 방대하고 권위있는 여러 권의 책들을 저술하는 등 학자의 면모도 가진 똑똑한 사람이었다.


지금도 영문판으로 나와 인터넷에서 팔리고 있는 Annals of the World

그가 집필했던 책 중 주목할 것은 1650년에 출간한 Annals of the World라는 라틴어로 쓴 책으로 에덴동산에서부터 AD 70년까지의 모든 주요한 사건들을 망라한 세계 역사에 관한 책이다.

이 책에서 그는 성경에 실려 있는 아담의 후손 나이를 차례로 더하는 계산을 통해 지구는 기원전 4004년 10월 23일 정오에 탄생했다고 발표했다. 지금을 기준으로 약 6014년 전인 것이다. 당시로서는 성경이 곧 진리였던 시대였기 때문에 매우 그럴 듯한 이야기로 들렸겠지만 지금 우리들로서는 신을 향한 열망과 지식을 향한 열망을 잘못 비벼놓으면 얼마나 어이없는 결론이 나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벌써 날 잊은건 아니겠지?!

생물학자 진영 쪽에서는 재벌2세 뷔퐁형님이 뉴턴의 프린키피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지구의 나이를 계산했다.

뉴턴은 프린키피아에서 ‘지름이 약 4천만 피트인 우리 지구와 똑같은 크기의 빨갛게 달궈진 쇳덩이는 6천 년과 같은 시간이 흘렀다고 해도 거의 식지 않았을 것이고, 아마도 5만 년 이상이 흐른 다음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라고 말만 번지르하게 해놓고는 지구가 식는 데 필요한 시간을 계산하지는 않았다.

뷔퐁형님은 태양에 혜성이 충돌 하면서 떨어져 나온 물질이 지구가 되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초기의 지구는 태양과 같이 뜨겁게 용융된 상태였고 생명이 존재할 수 있을 때까지 서서히 냉각된 것이며, 이 때 냉각에 걸린 시간은 6,000년 가지고는 턱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뷔퐁형님은 철구슬을 빨갛게 달아오를 때까지 가열한 다음, 손으로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식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지구와 크기와 비슷한 구가 식는데 걸리는 시간을 외삽하는 방식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 뷔퐁형님은 지구의 나이가 최소한 7만 5천 년은 되어야 한다고 [자연사 Historire Naturelle]에서 언급했다. 지금보자면 실험이 매우 5학년 3반 과학실험스럽고 현재 최고 측정치인 45억년에도 훨씬 못미치지만 성경의 굴레를 벗어나 과학만으로 지구의 나이를 측정한 시도에 의의가 있으며 또한 제임스 어셔가 추정했던 지구의 나이보다 훨씬 많았다.

물론 이런 뷔퐁의 도전을 하나님의 행동대장을 자쳐하는 기독교에서 미소로 화답하진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뷔퐁은 ‘철학적 추론’이라는 멋들어진 현학적 핑계를 대며 기독교의 철퇴를 피해 간다. 뷔퐁의 다음 세대에는 수학자이자 푸리에 해석으로 유명한 조세프 푸리에가 등장해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데 뷔퐁의 측정치는 명함도 못내밀 정도의 어마어마한 수치가 나오게 된다.
 


조세프 푸리에Jean Bapiste Joseph Fourier(1768~1830)



푸리에는 1768년 프랑스 오세르(Auxerre)에서 태어났다.  그는 열역학에 관심이 많았고 이에 관한 수식들을 통찰하고 있었기 때문에 뷔퐁보다 더 정확하게 지구가 식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해낼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수치에 너무 놀랐는지 푸리에는 지구의 나이를 계산할 수 있는 수식만을 남겼다.

이 수식에 따라 계산을 하면 지구의 나이는 약 1억년이 나오게 된다!  기독교에선 6,000년이요 고작 7만 5천년이라고 발표한 뷔퐁도 해꼬지 당할 까봐 ‘철학적 추론’이라며 핑계를 대는 마당에 1억년 이라니. 푸리에가 놀랄만도 했다. 푸리에는 이외에도 뷔퐁이 지나쳤던 요소도 제대로 포착한다. 지구의 단단한 껍질은 그 속의 융해된 물질들을 둘러싸고 있어 단열작용을 하는 담요처럼 열의 흐름을 가로 막으며, 따라서 지구의 표면은 식었지만 그 속은 여전히 녹아 있는 상태라는 사실이었다. 


지구의 나이를 얘기하다
– 격변론(catastrophism)과 동일과정설(uniformitarianism) –


이 두 용어는 상대편의 개념을 부정하기 위해 쓰인 단어이기 때문에 ‘~론’이니 ‘~설’이니 따위에 지레 놀라서 겁먹을 필요가 없다.

핵심은 단지 지구의 나이가 많느냐 적느냐일 뿐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수명이 24시간이라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오늘 밤 클럽을 가서 헌팅을 성공하느냐는 일생의 가장 큰 사건일 것이다. 왜냐면 자칫 어설프게 뻐꾸기 날렸다가 망치면 마법사로 죽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명이 1000년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꼭 오늘 헌팅에 성공 못해도 내일 다시 시도해도 되고 한 달 뒤에 시도해도 되는 등 천천히 시도해보면 된다. 즉 오늘 클럽가서 헌팅하는 것은 내 인생에 있어 큰 사건이 되지 않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만약 지구의 나이가 6,000년 이라고 가정한다면 대홍수나 운석의 충돌, 빙하기 등은 지구에게 있어 ‘격변’일 것이다. 하지만 지구의 나이가 46억년이라면 대홍수나 빙하기, 대지진 따위는 늘상 있어왔던 ‘동일’한 일들의 반복일 것이다.


하루살이에게 저녁노을은 커다란 격변이지만 인간에게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일 뿐이다

단지 성경의 연대기만을 토대로 지구의 나이가 6,000살이라는 기독교의 주장은 화석과 지층들로부터 발견되는 증거들 앞에서 똥꼬가 타들어가기 시작한다.

해양생물 화석이 고지대에서 발견되면서 땅이 오랜 시간 융기했음을 암시하였고 현재는 볼 수 없는 기괴한 생물들의 화석은 생물이 멸종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었다. 이처럼 새로운 증거들이 쌓여갔지만 그래도 기독교적 세계관의 그늘은 짙었다.

신앙심이 깊은 자연학자들은 이 증거들과 성경이 얼추 말이 맞도록 상상력을 발휘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지구가 짧은 기간 동안에 대격변을 겪으면서 지금과 같은 세계가 만들어 졌다는 격변론이었다. 그리고 이 격변론에 힘을 실어준 것은 바로 리마르크를 왕따 놓았던 퀴비에 형님이었다.


끝판왕 퀴비에.
이번에도 퀴비에 형님은 다음 편으로.


 


*** 다음 편에서 계속 ***



 


영진공 self_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