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타운”, 집으로 돌아오라


 

“Welcome Home”
카메론 크로우 감독의 2005년 작 영화 『엘리자베스타운』(Elizabethtown)은 이 말로 시작한다.

집으로 돌아 온 걸 환영한다는 얘기인데, 그 반김이 그리 달갑지만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딴에는 자신들의 모든 자본과 기술력 그리고 시간과 열정을 투자하여 전 세계로 뿌린 상품이 참 고약하게도 시장에서 거절 당해 반품이 되고 말았으니 말이다.

안타깝기도 할 터이다. 그리도 원대한 포부와 그림을 그려가며 떼돈도 벌고 세상에도 도움이 되겠다고 확신에 차 들이밀었던 상품이 차갑고 냉랭한 조롱 속에 몽땅 되돌려 보내졌으니.

이런 상황을 감독은 단순한 “failure(실패)”가 아닌 “말짱 꽝(fiasco)”이라 표현하였다. 겉은 번드르르한데 내용은 텅 빈 참으로 낯 뜨거운 그런 실패라 본 것이다.


여기서 잠깐, fiasco에 대해서 알아보자. 원래 fiasco는 “끼안띠(Chianti, 이탈리아의 고급와인)”을 담는 병을 일컫는다. 그런데 어느 날 그 와인의 원산지인 Chianti에 어느 중요한 인물이 방문했었는데, 그 사람을 대접하려고 꺼내오는 fiasco마다 웬일인지 술은 한 방울도 담겨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때부터 fiasco라는 말은 “태산명동에 서일필”과 비슷한 뜻으로, 열심히 준비했지만 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남자 주인공은 오직 이 말만 되뇐다. “난 괜찮아(I am fine).”
전혀 괜찮지 않은 걸 자기가 알고 남도 알고 세상이 다 아는 데도 그저 그 말만 되뇌는 것이다. 그런 주인공을 붙잡고 사장은 말한다. 우리가 잘못한 게 아니라 시장이 문제가 있는 거라고. 이런 시장의 흐름은 자신도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거라고. 둘 다 아직 상황파악이 안 된 게다.


그러면서 사장은 또 말한다. 사정이 이러니 환경단체에 대한 지원을 중단할 수 밖에 없다고. 거기에 이런 표현이 따라붙는다.

“우리가 세상을 구할 수도 있었는데 …… (We could saved the world ……)”

이게 바로 감독이 보는 미국이다. 테러를 뿌리 뽑겠다고, 세상의 모든 독재를 종식하겠다고, 그리고 소위 “민주주의”를 전파하겠다며 그들의 꽃다운 젊은이들에게 온갖 최신의 무기와 장비를 들려 이역만리 외국으로 등 떠밀어 내보냈지만, 아무도 진정으로 반기지 않고 심지어 그들을 따라 자국의 병력을 파견한 나라 안에서까지 미국에 대한 적대감만 높아졌을 따름이다.

이쯤 됐으면 이제 상황을 똑바로 봐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아무리 좋은 의도로 많은 노력과 기술을 투자했다 해도 소비자가 싫다는 데야 어쩔 도리가 없는 법인데, 그래도 만들어서 공급하는 이는 자꾸만 “이거 좋은 물건이니 저렴한 가격에 한 번 써 봐”라고 하며 거의 강매하다시피 매달린다. 그러면서 소비자만 탓하고 “왜 나만 미워하느냐”고 따지려 든다.

실패는 저지르기 보다 인정하기가 더 힘들다. 그리고 실패는 그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는 그걸 인정하지 않는 데서 오히려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 실패가 발생하면 깨끗이 인정하고 다시 반복하지 않겠다고 다짐한 뒤 새로 시작하면 되는데, 왜 그런 실패를 저질렀는지 주구장창 따지고만 있거나 아니면 그건 실패가 아니라고 허구한날 우겨대며 계속 그 쪽으로 쭉 나가기만 하면 자꾸 출구에서 멀어지기만 할 따름이다.


그래서 감독은 이렇게 말한다.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에게 자신이 얼마나 엄청난 실패를 맛보았는지 얘기하자 그녀는 이렇게 대꾸해 주는 것이다.
“I don’t care(그건 상관 없어)!”

어서 실패를 받아들이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실천에 옮기라고 목소리 높여 외치는 것이다.

그리고 감독은 자기가 보는 위대한 미국을 그려낸다. 그에게 있어서 위대한 미국은 중동의 사막에 있는 것도 아니고, 아프리카 어느 구석에 있는 것도 아니고, 남미의 밀림 속에 있는 것도 아니다. 그가 보는 위대한 미국은 바로 그 곳, 미국의 사람들 속에 그냥 있었을 따름인 것이다.

비록 300년도 안 되는 역사지만 그 기간 동안에 지금의 미국을 건설한 그들이 바로 위대한 미국이라는 걸 그냥 담담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남자 주인공이 차를 몰아 달리며 들러보는 미국 역사의 흔적이란 게 어찌 보면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그게 다 미국을 만들어 온 것들이며, 게다가 그들에겐 편견과 억압에 맞서 피 흘려 인권을 쟁취해 온 어디에 내세워도 자랑스러운 역사가 있잖은가.



그렇게 좋고 훈훈한 내 집(Home)이 거기 있는데 왜 반겨주지도 않는 바깥에서 생 고생들을 하는지 생각해 보자는 거다. 나와 내 가족, 그리고 내 이웃들과 웃고 울고 일하고 즐기고 애태우고 보람을 느끼고 그러면서 위대한 미국을 건설하면 되지, 왜 굳이 미국이 위대하다는 걸 바깥에다가 완력으로 과시하고 억지로라도 인정 받으려 하느냔 말이다.

그렇게 안 해도 세계 자본주의와 그 시장은 이미 미국을 중심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없다는 걸 아무도 부정하지 못한다. 예전과 달리 미국이 외부에 행사하는 완력이 오히려 미국의 이익을 깎아내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지 않은가. 게다가 이전에 뉴올리언즈에 휘몰아친 태풍이 그랬고 요즘의 티파티(Tea Party)가 들춰 내 보여줬다시피 미국 내의 갈등과 양극화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지 않은가.

집으로 돌아가자. 거기서 다시 시작하자. 그렇다고 아주 가는 게 아니다. 스스로의 기꺼움으로 진정 위대함을 느낄 수 있도록 그 곳에서부터 힘쓰라는 거다. 그래야 “Welcome Home”을 말하는 입김 속에 담긴 씁쓸함이 차츰차츰 자연스럽게 반가움과 자랑스러움으로 바뀔 수 있을테니.

영진공 이규훈

<엘리자베스타운>, 삶과 죽음은 종이 한 장 차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메론 크로우의 영화는 언제나 청춘들의 성장 드라마다. 자신이 직접 각본을 쓰고 또 연출도 하고, 아내인 낸시 윌슨(락그룹 “Heart”의 기타리스트 라능~)과 함께 배경 음악을 골라 넣는다. 그의 영화는 언제나 재미있고 잘 만들어졌으며 생각해 볼만한 꺼리를 남겨준다. 감독 데뷔작인 <금지된 사랑>(Say Anything, 1989)을 시작으로 <클럽 싱글즈>(1992), <제리 맥과이어>(1996), <올모스트 훼이모스>(2000)까지 느긋한 호흡으로 정말 기억에 남을 만한 좋은 영화들을 만들어왔다.

<바닐라 스카이>(2001)는 카메론 크로우의 필모그래피에서 정말 예외로 남게된 영화다. 자전적 영화였던 <올모스트 훼이모스>가 흥행에서 참패한 뒤, 1년만에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의 <오픈 유어 아이즈>를 거의 번역하는 수준에서 급하게 리메이크한 영화로, 탐 크루즈가 페넬로페 크루즈와 염문을 뿌리는 동안 카메론 크로우는 옆에서 그야말로 연출만 했던 작품이다. 아마도 <제리 맥과이어>에서 좋은 팀을 이루었던 두 사람이 상부상조의 차원에서 기획했던 영화가 아니었나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후 다시 본 궤도로 돌아온 <엘리자베스타운>에서 카메론 크로우의 새 주인공 드류(올랜도 블룸)는 글로벌 스포츠 의류 메이커인 머큐리사의 8년차 디자이너로, 자신이 만든 신발이 시장에서 참패를 하고 그로 인해 회사에 10억 달러의 손해를 입히며 해고를 당한다. <올모스트 훼이모스>가 10대 시절부터 음악 평론가로 활동했던 카메론 크로우 자신의 사춘기 시절 이야기였다고 한다면 <엘리자베스타운>은 바로 <클럽 싱글즈> 이후 8년 만에 영화 작가로서의 경력에 있어 바닥까지 나뒹굴었던 또 하나의 자기 체험담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클럽 싱글즈>에서 캠벨 스코트도, <제리 맥과이어>에서의 톰 크루즈도 모두들 한번씩 크게 망가진다. 그런 이후에 사랑을 찾고 성장을 한다. <엘리자베스타운>의 올랜도 블룸도 마찬가지다. 전작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아버지의 죽음과 그 이후 며칠 간의 과정을 통해 삶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성찰에까지 도달한다는 점이다. 호텔에서 마주친 새 신랑의 말처럼, 삶과 죽음은 정말 종이 한장 차이다. <엘리자베스타운>은 죽음을 통해 발견하는 삶의 가치와 살아가는 방법들에 관한 영화다.


<영화 중 “Free Bird” 장면>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