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나는 영화를 보는 영화 관객이다

이동진 기자의 이명세 감독 인터뷰를 읽다가 흥미로운 대목을 발견했습니다.

“소설가 김연수가 ‘나는 소설을 쓰는 소설가다’라고 수상 소감을 쓴 걸 본 적이 있어. 무척 인상적이었지. ‘나는 영화를 찍는 영화감독이다’라고 나도 말하고 싶어. 사실 최근에 어느 자리에서 약간 농담 삼아 그렇게 말했는데, 아무도 안 웃더라고. 진짜 머쓱해졌지.(웃음)” – 이명세 감독

그래서 저도 머쓱한 말 한마디 해보고 싶어졌습니다. “나는 영화를 보는 영화 관객이다.”

조금 더 풀어쓰자면, 저는 영화를 고르고 보고 이야기하는 영화 관객입니다. Select, See, Share. 세상의 모든 건 과연 세 가지로 이루어졌군요. 더군다나 S만 세 개 씩이나 되시겠습니다. 국민의 알 권리를 주창하며 개인의 누드 사진까지 끄집어내 까발리던 언론 매체들이 요즘 덮어주느라 바쁜 모 기업집단을 연상시켜서 ‘기분이 나쁩니다’, 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를 관람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다 그렇게 하지 않느냐는 생각도 들지만 사실 순수한 영화 관객, 즉 유료 관객(Paying Moviegoer)만이 순수한 자기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영화를 고르고 보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업계에 젖줄을 대고 있는 기자나 평론가, 그외 관계자분들은 보고 싶지 않은 영화도 봐야만 하는 일이 많습니다. 그러나 영화와 무관한 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은 오직 자기가 보고 싶은 영화만 골라 볼 수 있는 ‘영화 선택의 자유’가 있는 이들입니다. (영화 선택의 자유를 가진 관객들이 영화를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써보겠습니다)

특정 영화를 보고 싶은 이유는 사람마다 천차 만별이겠죠. 저도 때로는 그다지 땡기는 영화가 아닌 데도 ‘봐둬야 할 영화’, ‘봐줘야 할 영화’라는 판단 때문에 영화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영화 관람에 할애할 수 있는 극히 제한된 시간적 여유를 감안하여 제 과거의 경험과 볼 수 있는 영화들에 관한 정보들을 취합해 그 중 가장 보고 싶은 영화만을 골라 봅니다. 여기서 영화 선택의 절대 기준은 영화를 보는 동안 내가 얼마나 즐거울 수 있느냐가 되겠습니다.

영화를 본다는 건 2시간의 백일몽을 꾸는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화를 본다는 건 새로운 여행을 떠나는 일과도 유사합니다. 낯익은 곳에 반복해서 찾아가는 것도 좋은 여행일 수 있지만 특히 영화 관람은 이전에 한번도 가보지 못한 낯선 곳으로의 여행입니다. 나의 감각과 사고를 새롭게 해주는 시청각적 체험을 하는 것이 제가 영화 관람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가치입니다. 그러니 영화 보는 일이 즐거우려면 그 영화가 ‘몰입을 방해하지 않는 완성도’를 갖춰야 하고 내가 알지 못했던 내용이 예상할 수 없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합니다. 이것은 틀에 박힌 상업 영화들을 지양하고 결과적으로 작은 영화들을 주로 골라 보게 되는 이유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영화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건 개별 작품이나 영화 이론을 해설하거나 누구를 가르치기 위함이 아니라, 영화 관객으로서 좋은 영화 한편을 보고 난 기쁜 마음을 다른 이들과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블로그에 영화에 관해 글을 쓰는 것도 영화에 관해 이야기하고 나누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저는 여기서 중요한 점이 ‘영화 관객으로서의 위치’를 유지하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영화 관객이 특정 영화에 대해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좋다, 싫다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일입니다. 저의 영화 글쓰기는 언제나 ‘내가 그 영화를 보는 중에 좋았느냐 싫었느냐’를 명확히 하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그 영화를 보는 일이 즐거웠던지 즐겁지 않았던지, 그 이유를 좀 더 찾아보는 일이 저의 영화 글쓰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는 영화를 보는 영화 관객이다. 이 말은 다른 누구에게 하는 말이 아니라 바로 저 자신에게 당부해두는 말입니다. 지난 한 주 저는 영화 관객으로서 영화를 고르고 보고 이야기하는 데에 평소와는 다른 경우들을 경험했습니다.

– 이명세 감독의 <M> : 영화를 보는 동안 즐겁지 않았는데 비평적인 관점에서는 뛰어난 영화
– 양해훈 감독의 <저수지에서 건진 치타> : 영화를 보는 동안 즐겁지 않았는데 만든 이의 사정을 고려하면 투정부리기 힘든 영화 + 감독, 주연배우 무대인사
– 인디스토리 초청 <판타스틱 자살소동> : 내 돈 내고 보지 않고 공짜로 본 영화인데다가 영화를 만든 이들과의 대화 시간까지 참석한 영화

위 세 편의 영화를 보고 글을 쓸 때마다 저는 ‘영화를 보는 영화 관객’으로서 해당 영화를 이야기하려는 저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습니다. 그런 과정을 거쳐 정리된 표현이 <M>은 ‘동시대 관객들과의 소통을 포기한 영화’, <저수지에서 건진 치타>는 ‘저수지에서 끝내 빠져나오지 못한 독립영화’, 그리고 <판타스틱 자살소동>은 ‘세 작품이 각자 다른 색깔을 가진 영화'(라는 적당한 발림)이었습니다. <M>은 비교적 제 생각과 느낌을 솔직하게 적었다고 생각합니다만 <저수지에서 건친 치타>와 <판타스틱 자살소동>은 여전히 저 스스로에게 완전하게 정직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남습니다. 부끄러울 일은 없게 썼지만 역시 다른 때보다 직설적이지 못했습니다.

영화 관객이 공짜로 영화를 보거나 영화를 만든 이들과 접촉을 갖는다는 건 그 영화에 대해 100% 솔직하지 이야기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이번에 재삼 확인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일이 없으리란 보장이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더 많아질런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이번 주 내내 머리 속을 맴돌던 그 얘기를 이렇게 글로 남기게 됐습니다. 나는 영화를 보는 영화 관객이다. 나는 내가 보고 싶은 영화를 고르고, 내 개인의 경험과 직관에 따라 영화를 감상하며, 좋으면 좋은 대로 싫으면 싫었던 그대로 이야기하는 영화 관객이다. 나는 영화 관객으로서 영화를 고르고 보고 글을 쓴다. 굳게 다짐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읽어주세요. 그 얘깁니다.

영화 관객으로서 영화를 고르고 보고 이야기할 수 있을 때가 가장 행복합니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