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담>, 한국의 코엔 형제를 기대하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포 영화 좋아하시는 분들 보면 참 대단들하시죠. 멜러나 액션 장르만을 따로 놓고 동호회가 만들어지는 일은 없지만 공포 영화는 어딜가나 별도의 동호회가 있고, 그야말로 B 무비의 수호성인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열성적인 모습을 자주 보여주십니다. 저는 예전부터 판타지 보다는 좀 더 현실적인 내용의 영화들을 선호해온 터라 공포 영화들을 그다지 많이 접하지는 못했습니다. 물론 공포 영화냐 아니냐 하는 구분 자체는 별로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관객에게는 재미있느냐 아니냐, 잘 만들었냐 아니냐, 그리고 만족스럽냐 아니냐의 구분이 있을 뿐이죠. 더군다나 요즘처럼 장르 간의 구분이 무의미한 시절에는 공포 영화 아닌줄 알았는데 슬래셔 무비에서나 볼 법한 끔찍한 장면이 튀어나와 보던 사람 간 떨어지게 하는 경우나 공포 영화인줄 알았느데 좀 다른 부분에 강조점을 두고 있는 경우도 자주 보게 됩니다.

<기담>은 말하자면, 보는 사람 간도 떨어지게 만들면서 공포 영화 이상의 성취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링> 보다는 <주온>에 가까울의 노골적인 비주얼을 서슴치 않기 때문에 ‘우아한 공포’라는 말에 너무 안심하고 계셨다가는 큰 코 다치는 일이 생길지 모릅니다.(저는 아직도 코가 얼얼하군요…) 기본적으로 <기묘한 이야기>와 같은 에피소드 구성이라는 점도 제가 예상했던 바와 다른 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기담>을 구성하는 3개의 에피소드는 모두 1942년 개화기의 안생병원이라는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는 이야기들로, 서로 간의 인과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지만 비교적 자연스럽게 맞물리며 펼쳐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담>이 공포 영화 이상의 성취를 보여주고 있다는 건 크게 두 가지인데요, 첫째는 많은 한국형 공포물들이 잡으려다가 놓치곤 하는 두 마리 토끼, 즉 서스펜스와 멜러를 전달하는데 성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세 편의 에피소드가 모두 초현실적인 현상를 기초로 하는 무서운 이야기들이면서도 그 이면에는 하나 같이 남녀 간의 사랑과 운명을 기본 정서로 깔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김태우의 상대역으로 등장한 김보경은 늦깍이 신인의 발견이라 할 만큼 무척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었고 <기담>이 공포 이상의 무언가를 전달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해낸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김보경은 <친구>에서 여고 밴드 레인보우의 보컬이었던 그녀로군요)

두번째는 평론가들이 언급하고 있는 형식미에서의 성취입니다. <기담>은 음향 효과와 끔찍한 비주얼로 끝장을 보는 전형적인 공포물이 아니라 미술이나 편집, 심지어 배우들의 대사 톤까지 일관된 연출의 힘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작품입니다. 영화 초반에 특히 오랜만에 모습을 보여준 전무송씨의 대사가 좀 어색하다고 느꼈었는데요 이건 영화를 보는 동안 거의 모든 배우들에게서 발견되는 공통점이었습니다. 약간 비현실적인 대사 방식은 어쩌면 판타지 영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형식 요소의 하나이기도 하니까요. 관건은 색다른 대사 전달에 관객을 적응시키느냐 아니면 끝까지 어색하게 들리도록 하느냐인데 <기담>의 경우 완전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전자에 가까운 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배우들의 기량이 부족해서 어쩔 수 없이 어색한 부분들을 비주얼과 플롯 전개 방식으로 충분히 만회하고 있는 영화가 <기담>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가 처음 시작될 때 크리딧에서 “감독 정가형제”라는 글자가 유난히 크게 들어오더군요. 그 전까지는 단순히 형제 감독의 공동 연출작이라서 그렇게 붙였나보다 라고만 생각했었는데 크리딧을 보는 순간 코엔 형제가 떠올랐습니다. 아, 이 사람들이 코엔 형제를 목표로 하는구나 싶었죠. 그리고 영화 속에서 코엔 형제의 흔적을 찾아보게 됐습니다. 사실 에피소드 구성의 공포물인 <기담>을 놓고 ‘한국의 코엔 형제가 등장했다’라고까지는 못하겠습니다만 데뷔작이 성공을 하고 어느 정도 여건이 된다면 충분히 그 정도의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선보였다는 정도는 말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사실 첫번째 에피소드에서 전개되는 초현실적인 장면들에서는 <위대한 레보스키>를 떠올리며 와, 멋지구나 했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공포물의 결말은 <혈의 누>에서 군중들의 죄악이 드러나고 하늘에서 말도 안되게 핏물이 떨어지던 장면입니다. <혈의 누>는 멜러 전문인 김대승 감독이 아니었더라면 정말 걸작이 되었을 시나리오였는데 전반적으로 허술한 만듬새 때문에 제 개인적으로 높게 쳐주는 영화는 아닙니다만, 아무튼 그 마지막 장면 만큼은 최고였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기담>이 2% 부족하다고 느꼈던 건 아마도 그런 정도의 마지막 방점을 원했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자칫 <어메이징 스토리>식으로 늘어놓기만 할 수도 있는 에피소드들을 하나의 완성된 구조로 엮어내는 정가형제의 솜씨는 벌써부터 차기작을 기대하게 만들기에 충분합니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