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와 초콜렛 공장”, 어디 착한 것만 갖구 신분상승 하겠어?


영화보면서 있는 그대로 즐기지 못하고 자꾸 서브 텍스트를 읽으려고 하는 것 참 나쁜 버릇이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타고난 criticism이 타고난 creativity보다 많은 걸 …… 범재의 한계지.

“황금 티켓”이라는 건 나에게 “신분 상승을 위한 기회”의 메타포로 느껴졌다. 그렇지 않고서야 동서고금, 애어른을 막론하고 겨우 초코렛 공장 한번 견학해 보자고 그 생난리를 치지는 않을 것 아닌가. 버루카 솔트의 공장에서 일하다가 황금티켓을 찾은 종업원이 스윽 그 티켓을 감추려다가 감독관에게 빼앗기는 장면은, 더욱 더 “황금 티켓”은 “신분상승”의 티켓이라는 혐의를 확실시 하게 한다.

영화는 신분상승의 황금티켓을 잡는 방법에 대해서 한가지 한가지 친절하게 예를 들어준다. 신분상승의 기회를 잡는 방법이란, 자본사회에 철저히 순응하며, 악착같이 재화를 소비하거나 (독일 뚱보 아우구스투스 사례), 자본력을 동원하거나 (땅콩공장 딸 버루카), 지독한 승부의식에 불타올라 끊임 없이 노력하거나 (챔피언쉽을 수십개 가진 바이올렛), 아니면 대단한 I.Q와 권모술수의 대가가 되는 일이다 (해킹으로 티켓을 얻은 마이크 티비).

이에 비하면 우리의 주인공 찰리 버켓은 순전히 운이 좋아서 티켓을 얻게된다. 근데, 이게 정당한 건가?

초콜렛 공장의 경우도 산업사회 역사를 압축한 혐의가 짙다. 윌리 웡카는 성공한 자본가이고 (물론 자본만 가지고 성공한 것은 아니고, 본인의 아이디어가 있으며, 사업가로써의 양심을 가지고 있고, 그의 Enterpreneurship은 존경할 만하다), 찰리의 할아버지는 1차 Sabotage 세대, 찰리의 아버지는 2차 Sabotage세대다. 움파룸파족은 제 3세계의 노동자이며, 자본가인 윌리 웡카는 단순히 코코아빈을 움파룸파족에게 제공하는 저렴한 임금을 지불하면서도 심지어 자신이 불쌍한 움파룸파족을 ‘구원’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움파룸파 족은 공장에 갖혀서 지내고 있다!)

자그맣고 충성스러운 움파룸파 족의 모습을 보면 그들이 제 3세계 노동자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지 않은가? (심지어 지하 수로에서의 노젓는 장면에서 윌리 웡카는 ‘저들은 앞을 볼 수 없지, 그저 명령하는 대로 저을 뿐’이라는 말까지 한다.) ‘후계자를 찾기 위해 아이들을 초콜렛 공장으로 초대했다’는 윌리 웡카는 왜!! 움파룸파 족에게는 공장을 물려주지 않는 걸까.

결국, 시키는 대로만 잘 하고, 매뉴얼대로만 살아가는 FM guy 찰리는 윌리 웡카에게 ‘초콜렛 공장 공동 경영권 및 상속권’을 손에 넣음으로써 신분상승에 성공한다. 자신을 해고한 자본가에게 끝까지 존경심과 경외심을 잃지 않았던 그의 할아버지는 건강을 다시 되찾고, 그의 착한 아버지는 자동화 설비와 함께 해고되었다가, 그 기계를 유지/보수하는 일로 재 취업됨으로써 ‘신기술로 인한 노동 소외는 다시 다른 노동의 필요로 채워진다’는 요지의 보수적 경제관념을 철저하게 증명까지 시켜준다.

정말? 정말 착하기만 하고, Creativity만 온 몸에 충만하면 신분 상승 할까? 정말? 그 사실 여부를 떠나서라도, 어차피 우리는 끝없는 승부의식으로 자신을 세상에 던지는 바이올렛이기도 했다가 , 때로는 자신의 보잘것 없는 지력(知力)을 이용해 보려고 하는 마이크이기도 했다가, 때로는 하릴없이 자본이 쏟아 놓은 소비재들만을 아무 생각 없이 소비해내며 자괴감에 빠져버리는 아우구스투수였다가 하지 않는가? (버루카 솔트는 예외니까 그냥 두자) 왜 이 아이들이 비난을 받아야하는가?

아이들을 벌 주는 방법자체도 상당히 아동학대적이기도 하지만, 왜 신분상승을 위해 악을 악을 쓰는 불쌍한 우리 중생들에 대해서 비난하는 이 영화의 전체적 태도도 참 학대적이다. 난 내가 바이올렛이라는 것이, 마이크라는 것이 그다지 부끄럽지 않다.

영진공 라이

찰리와 초콜렛 공장, “유혹과 금지로 가득한 우리 삶의 자화상” <영진공 70호>

상벌위원회
2007년 3월 18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찰리와 초콜렛 공장>은 로알드 달의 유명한 동화를 원작으로 한다. 달의 다른 작품들처럼 기묘함과 무시무시함이 뒤섞인, 거의 동화판 <세븐>같은 이 영화가 이야기하는 것은 지나친 탐욕에 대한 경고 같다. 식탐을 부리던 아우구스투스는 초콜렛 호수에 익사할 뻔 하고, 기록갱신 욕심을 부리던 바이올렛은 거대한 젤리 풍선이 되고, 모든 것에 탐욕을 부리던 버루카는 쓰레기장으로 쓸려가고, 신기술에 겁 없이 몸을 던진 티비는 그 기술에 갇혀 소인이 되어버리고, 오로지 시키는 대로만 움직이고 자기 분수를 지킨 찰리만이 엄청난 보상을 받는다는 이야기이니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식탐쟁이 아우구스투스

하지만 그것뿐 일까. 이 모든 일이 벌어지는 윌리웡카의 공장은 어떤가. 그 공장은 제3세계의 주민과 동물을 착취해 사람들의 식탐을 자극하는 초콜릿을 만들어낸다. 웡카는 더 나아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신제품들을 끊임없이 개발한다. 그리고 바로 그 신제품들이 아이들에게는 피할 수 없는 함정이 된다. 바이올렛을 젤리 풍선으로 만든 껌도, 티비를 소인으로 만든 물질전송 TV도 결국 그 신기술과 신제품이 아니었던가. 그런 면에서 이 영화는 수많은 유혹거리를 던져놓고서 그 앞에서 참으라고 요구하는 우리 사회 전체의 은유처럼 보인다. 입에서 살살 녹지만 지방이 가득해서 체중을 늘리는 음식이나 사용하면 멋있을 것 같지만 위험하거나 비싼 제품들 광고 앞에서 지름신을 달래며 살아가는 어른들도 유혹이라는 함정을 아슬아슬하게 피해 다니는 운명이란 점에서는 윌리웡카 공장속의 아이들과 별 차이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착취당하는 제3세계 주민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곳에 던져놓고 자제심을 발휘하라니..

그럼 우리는 유혹 앞에서 자제심만을 발휘해야 하는 운명일까.
적어도 예전에는 그랬다. 전통적으로 가톨릭교회에서 정의한 7대 악덕은 모두 개인적인 욕심의 문제들이다. 욕심을 다스리지 못하는 자에게는 불행뿐만 아니라 영원한 지옥이 약속된다. 하지만 현대 사회는 오히려 그 욕심에 충실한 사람들을 환영하는 경향이 있다. 같은 이유로 이 영화의 결말도 조금은 다르게 볼 수도 있겠다. 꼬마인간이 되어버린 티비나 젤리인간이 된 바이올렛은 평범한 인간의 삶은 포기해야겠지만 앞으로 먹고 살 일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만큼 많은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을까. 반면에 그 착한 찰리는 여전히 제3세계 인민을 착취해서 아이들의 치아를 위협하는 초콜릿을 만들어낼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착한 찰리에게 해피엔딩인가?

내가 냉소적인가, 세상이 원래 그런 건가.

상벌위원회 상임 간사
짱가(jjanga@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