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 잃어버렸던 인간병기의 꿈

 

 


 


 


 



 


 


 


1.  인간병기의 꿈


 


무협영화 팬이었던 내게 남다른 소녀시절의 꿈이 있다면 그건 인간병기가 되는 거였다.


 


주윤발처럼 총 두자루를 들고 건물에 들어가 부대 하나를 박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거나, 성룡처럼 맘만 먹으면 백화점 꼭대기에서 장식용 알전구가 매달린 전기줄을 타고 1층까지 내려온다거나, 상대방에게 얼굴을 한방 맞고 뒤로 넘어가는 듯 하다가 다시 허리와 다리의 힘으로 벌쩍 일어나서 방심하는 상대의 뒤통수를 가격한다든지 그런 능력을 가지고 싶었다.


 


여기서 ‘꿈’이라는 건 말 그대로 ‘꿈’이어서 현실에서 바라는 것은 아니었다. 그냥 그저 생각만 해도 기분 좋은 환상. ‘꿈 깰’필요 없는 그런 ‘꿈’이었다. 현실의 나는 체력장 4급 이상을 받아본 적이 없고, 100미터는 20초 이하로 뛰어본 적이 없고, 줄넘기를 100회 이상 해 본적이 없고, 쌩쌩이는 평생 해본적이 없고, 농구 골대에 공을 10번 던지면 10번 모두 노골 시키는. 정말 다시 없을 몸치였다.


 


생각해 보니 나는 ‘천재’물도 참 좋아했는데, 천재들이 탁월한 정보 종합수집 능력과 기억력과 판단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면서 어느새 천재가 되는 상상을 하곤 했다. 현실은 초등학교 5학년 때까지 구구단을 제대로 외우지 못하고, 중학교 때까지 친구들 몰래 발가락을 이용해 덧뺄셈을 하던 천하의 어벙이였지만.


 


그래도 나는 추리소설을 읽으며 포와로, 미스 마플, 홈즈 같은 천재들에 열광했고, 명절마다 중간기말고사가 끝날 때마다 액션 영화 챙겨보고 아무도 없는 뒤켠에서 남 몰래 발차기를 해보기도 했다. 나중에 다 큰 후에, 모든 대한민국의 정규교과과정을 마치고, 회사생활을 10년 가까이 한 후에야 나는 나의 ‘인간병기’의 꿈과 ‘천재’의 꿈이 어디에 닿아있는지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인간병기의 꿈이란 내 신체를 내 의지대로 쓰고 싶은 희망에 다름 아니었으며, 천재의 꿈이란 나의 지적 능력이 이 풍진 세상을 살아가는데 부족하지를 않기 바라는 희망이었다는 것을.


 


 


 



 


 


 


2. 전설의 주먹



아이들이 태어나고 회사 일이 바빠지고 영화관에 가보지 못한것이 이년째인지 삼년째인지도 모르던 어느 날, 회사에서 단체 영화라는 것을 보러갔다. 단체영화란 본디 중고생의 영화관 출입이 금지되어있던 문화의 결핍시대에 선심처럼 베풀어지던 것이라 알고 있다. 아침 10시 영화관에 모인 회사 사람들도 다 그래보였다. 오랜만에 이 낯선 영화관이라는 공간에 초대된 어색함. 들뜸.


 


그렇게 신입사원, 부장님 차장님 상무님 과장 대리가 순서없이 앉아 본 영화는 “전설의 주먹”이었다. 60년대~70년대생이 대부분인 차부장 이상 급들은 주먹질 하는 자기와 같은 세대의 주인공에게 열광을 했다. 이 뻔한 신파극에 아저씨들은 울고 울었고 나는 그들과는 약간 다를 어떤 감상으로 우울했다. 주먹질의 석연찮음. 그러니까 내가 액션영화를 볼 때의 욕망 ‘내 신체를 내 의지대로 쓰고 싶은 희망’과는 정반대 대척점에 있는 폭력이었던 것이다.


 


어릴적 열광하던 액션영화에서 그들에게 액션을 강요하는 자들은 없었다. 성룡은 ‘어쩔 수 없는 상황’때문에 3층에서 떨어지며 차양을 붙들고 착륙하는 액션을 하지만 3층에서 성룡을 미는 사람은 없었다. “전설의 주먹”에 자기 몸을 쓰려고 나온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돈을 받고 싸움판의 투계가 되어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오락을 위해 맞고 때리는, 시키는 자에 대한 분노. 그러고 보니 ‘내가 원해서 하는 액션, 나의 정의를 위한 폭력’을 본 지 얼마나 오래 되었는가(마지막으로 본게 옹박이었던가?).



영화가 끝나고 이어진 술자리에서 아저씨들은 ‘자신의 전설’을 설파해댔지만, 나는 ‘강요된 폭력’에 ‘어쩔 수 없었어요’라고 끝까지 변명하는 주인공들이(그리고 내가) 가슴에 걸리며 맘에 안 들었다. 그리고 ‘친구와는 싸우지 않습니다’라는 거부가 너무 소박하고 현실적이어서 유쾌하지 않았다.


 


 


 



 


 


 


3.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내가 보는 거라곤 일요일 오전에 하는 ‘영화 스포일러’프로그램들 뿐이다. 그게 아니었다면 나는 영화관에서 무슨 영화를 하는지, 요새 무슨 영화가 있는지 조차 몰랐을 것이다. 좀 처럼 영화관에 갈 시간을 내기 힘든 내가 굳이 “화이”를 본 것은 강렬한 예고편의 대사 때문이었다.


 


“아빠들이 다 괴물인데, 너도 괴물이 되어야지.” 바로 강요된 폭력! “우리는 다 하는데 왜 너는 못해? 너는 다른 것 같아”라는 영화 대사는 슬프게도 내가 직장생활, 일상생활 속에서 상사에게 많이 들어온 이야기다.


 


어쩌면 10년 좀 넘어가는 직장생활에서 늘 강요받아온 것. 조직이라는 이름으로 순응하다보니 망가져가는 내 자신을 보는 것. 괴물이 되어가는 내 모습에 실망하는 것. 그리고 더 흉한 괴물이 되고 싶지는 않다는 몸부림을 치다 다시 밟히는 것의 연속이었던 것 같다.


 


“화이”가 좋았던 이유는 단 한 가지다. 강요된 폭력을 용감히 거부했다는 것.


 


폭력을 강요했던 다섯 아빠를 모두 죽이고(한명은 예의상 사고사 처리), 그 다섯아빠에게 폭력을 강요했던 건설사 사장까지 죽여버린다. 타협은 없다. 괴물은 괴물일 뿐 이해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화이는 징징거리지도 않고, 자기 연민에 빠지지도 않는다. 그리하여 결국 자기 자신을 지킨다.



괴물이 됨으로써 괴물이 보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괴물을 죽여야 괴물이 보이지 않는 다는 것을 실천해버린다. (그래서 괴물이 된 아이가 아니라 괴물을 삼킨 아이인 것 같다.) ‘저를 왜 기르셨나요?’를 의문하긴 하지만 그 질문에 천착하지 않고, 어떻게든 폭력 강요자들을 이해하여 그 강요를 내재화 하려는 노력이 없다는 것이 가장 좋다.



그래서 영화 초입에 멧돼지 머리를 쏘던 화이의 총과 마지막 기타가방에 들어있는 화이의 총은 완전히 다르다.



그게 심지어 자신의 아버지들일지라도 단호히 총구를 겨누고야 마는 화이 덕분에 나는 다시 인간병기의 꿈을 꾸게 되었다.


 


 


 


영진공 라이


 


 


 


 


 


 


 


 


 


 


 


 


 


 


 


 


 


 


 


 


 


 


 


 


 


 


 


 


 


 


 


 


 


 


 

찬란함의 차이

그러니까 … 이런거예요. 고흐의 그림도 찬란하고 르느아르의 그림도 찬란한데요. 만약 간디가 고흐와 르누아르의 그림을 나란히 놓고 본다면 르느아르 그림엔 침을 뱉고, 고흐의 그림은 참 좋아할 것 같은 거죠. 그게 바로 내가 말하고 싶은 고흐 그림이 갖는 보편성인데요. 그림이 어떻게 보면 참 유치하죠. 거칠고 원색적이고요. 그런데 유치하기 때문에 찬란한, 보편적인 감동을 줘요.


박홍규 교수가 이 얘길 꺼낸 건, 빈센트 반 고흐가 쓴 900여 통의 편지 중 일부를 번역해 엮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편지> 출간을 기념하는 자리에서였다.


Houses at Auvers, c.1890

간디에 관한 책을 준비하느라 인도에 잠시 머물던 얘기를 하던 그는 인도의 현대 미술관에서 고흐의 자화상을 그려 놓은 한 작품과 마주쳤다고 했다. 이어 르느와르와 고흐의 찬람함을, 간디를, 그리고 고흐 그림이 갖는 보편성을 설명했다. 그날 들은 수많은 얘기 중에 난 유독 이 ‘찬란함의 차이’에 마음이 동요된다.

예술에도 적용된 비판적인, 비판적 그림읽기의 자세에 강한 인상을 받은 탓인 듯싶다. 거장이라는 이름 아래 천재성을 오롯이 찬양하는 넘치는 수식어들을 거리낌 없이 받아들여 온 나는. 고흐(뿐 아니라 여러 예술가들)라는 인물을 탐구하기보다 그림 차체로 느껴지는 일시적인 감정에 충실했었으니까. 



Trees in the Garden of St. Paul’s Hospital, 1889

박홍규 교수는 고흐가 미친 천재 화가의 이미지로만 강조되는 게 안타깝다며 그간 파헤쳐온 고흐의 삶과 내면의 얘길 들려주었다. 원시적 기도교관을 숭배했고 때론 자학을 감행한 믿음의 실천. 베품과 나눔을 통한 검소한 생활관. 하지만 고약한 싸구려 압생트와 담배 그리고 매춘으로 이룬 방탕했던 삶의 이면. 언제나 외톨이었던 그가 예술에 자신을 던질 수밖에 없었던 절실함. <부처 고흐>에서도 보이는 욕망을 근절하는 상징인 부처에 대한 대단한 존경심같은 것들 …

덕분에 고흐에 대한 오해와 몰이해에서 조금은 해방된 느낌이다. 이제야 르느아르의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찬란함과 고흐의 구도, 형식을 파괴한 파괴적인 찬란함이 손에 잡히는 듯하다.



자연의 곱슬머리로 단발을 하고 하얀 턱 수염을 그대로 둔 채 강의실로 들어온 박홍규 교수. 노동법을 전공한 그가 그림과 화가를 가슴으로 느끼고 행동에 옮기는 자세가 그의 겉모습만큼이나  인상적이었다. 그림 하나에 얽힌 역사, 인물, 사건 등 방대한 지식의 양도 그렇지만, 올곧은 가치관을 기본에 두고 자기 판단과 비판에 정확한 자세도 본받고 싶었다.


그가 들려준 마지막 얘기는 멈추지 않고 계속, 끝까지 꿈틀거리라는 조언이기에 노트에, 가슴에 그대로 적어 놓는다.

예술을 지망하는 계기가 막연하게 재주가 있어서 단지 하고 싶어서 예술가 이미지에 대한 동경 때문에 라는 자세는 나이브해요. 자기의 일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고흐의 절실함, 예술에게 자신을 던질 수밖에 없는 절실함을 가져보자는 거죠.


영진공 애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