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터”, 영웅 아닌 평범한 인물들의 감동 실화


최근 헐리웃 영화의 한 가지 경향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실화”를 극영화로 재연하고 있는 작품들이 자주 눈에 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 같다. <파이터>는 권투를 소재로 하는 평범한 스포츠 드라마처럼 보이지만 픽션이 아닌 실화이기 때문에 ‘최근의 경향’에 부합하는 작품이다.

이와 유사한 영화로 작년 4월에 국내 개봉했던 <블라인드 사이드>(2009)를 들 수 있을 것 같은데 두 작품 모두가 실화이고 스포츠를 소재로 하고 있으며 가족 드라마이기도 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 안에는 수퍼히어로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로부터 감동의 메시지를 발굴해내려는 노력이 담겨있는데, 물론 노력의 이유는 최근에 이런 류의 이야기가 그 만큼 잘 팔리기 때문이렷다. 그리고 아마도 비교적 저렴한 예산으로도 꽤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이점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달리 생각해보면 이런 ‘평범한 인물들의 감동 실화’라는 건 전통적인 극장 상영용 영화의 영역이라기 보다 – 물론 보통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영화가 이전에도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실화는 아니었다 – <오프라 윈프리 쇼>와 같은 TV 프로그램의 영역이란 생각을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아침마당>이나 <인간시대> 같은 프로그램이고, 이런 프로그램들이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는 실제 인물들의 사연과 그 안의 감동 코드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얘기다. 최근에 왜 이런 이야기들을 더욱 부지런히 발굴하고 또 영화화까지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 정말 그런 경향이 있는 것인지에 대한 검증과 함께 – 좀 더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따라서 <파이터>라는 작품이 그 자체로 유난한 영화인 것은 결코 아니라는 점만은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다루기에 따라서는 아침 대담 프로에 실제 인물들이 나와서 진행자와 함께 50분 정도 채워주는 정도만으로도 제 역할을 충분할 수도 있을 법한데, 그 중에 <파이터> – 니키 에클런드와 미키 워드 형제와 그 가족들 – 의 이야기가 유독 각별하게 받아들여지고야 마는 이유란 결국 이 작품에 출연한 배우들의 힘인 것 같다. 그 중에서도 이 작품을 통해 골든글로브와 아카데미, 그외 여러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 트로피를 전부 쓸어모으며 만장일치의 지지를 이끌어낸 크리스찬 베일의 연기는 2000년작 <머시니스트>를 통해 배우라는 직업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던 만큼의, 기대할 수 있었던 것 이상의 경지를 보여준다.

더군다나 우리는 이 배우가 최근에 다시 만들어져서 크게 성공을 거두고 있는 수퍼히어로물과 SF 블럭버스터에서도 주연 배우로 활약 중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경외심을 갖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크리스찬 베일과 달리 마크 월버그는 어느 작품에 나오건 똑같은 마크 월버그만 보여주다가 마는 편이지만 – 마크 월버그가 별로인 것이 아니라 크리스찬 베일이 워낙 연기의 지존이라 이런 식으로 비교가 되는 것일 뿐! – 이번 <파이터>에서는 직접 제작자들 가운데 한 명으로 나서면서 평소에 하던 그 이상의 몫을 해냈다고 생각된다.

나탈리 포트먼이 <블랙 스완>(2010)을 위해 1년 전부터 발레 훈련을 해왔다는 대목에서 가점을 주었던 것을 생각하면 <파이터>를 위해 무려 4년 전부터 몸 만들기와 권투 훈련을 했다는 마크 월버그의 열정에 대해서는 – 그러면서도 자신의 출연료는 한푼도 챙기지 않았다는군요. 크리스찬 베일은 전체 제작비의 1% 수준인 25만불을 받았다고 합니다 – 도대체 뭐라고 칭찬을 해줘야 좋을지 모를 지경이다. 마크 월버크도 이제 그만 아이돌 가수 출신 배우라는 딱지를 떼고 뭔가 다른 전기를 마련하고 싶어하는 듯 한데 아쉽게도 그런 전환점이 그리 쉽게 주어지는 것 같지는 않다.

영화의 시작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디키(크리스찬 베일)와 미키(마크 월버그)의 인터뷰 장면은 각본에 미리 짜여졌던 장면이 아니라 데이비드 O. 러셀 감독과 세 명이서 즉흥적으로 촬영한 것이라고 하는데, 마지막 순간에 크리스찬 베일이 살짝 울컥하려다 마는 연기를 보여준 부분이 참 좋았다.

어찌 보면 이 장면은 영화 전체적으로 감동을 강요하거나 하지 않았던 것을 감안해서 관객들에게 무언가 감정적인 방향성을 잡아주기 위한 부가적인 연출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너무 과하지도 않았고, 이런 정도의 개입은 극영화에서는 오히려 바람직한 편이라 생각한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