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전설이다”, 현존하는 모든 좀비 이미지의 원류


2007년 개봉 영화 “나는 전설이다 (I am legend)”의 원작은 리처드 매드슨의 동명소설이다. 1954년작인 이 책은 (그냥 일반적인 기대만 갖는다면) 당연히 지루하고 식상하다. 우리는 이미 너무나 익숙한 좀비상을 가지고 있고, 이 책은 그 모든 좀비 이미지의 원류이니까.

제인 오스틴의 소설들이 온갖 HR 공식에 익숙해진 현대 관객들에게 식상해 보이듯, 그러나 또다른 의미로 재발견되고 재해석되듯, [나는 전설이다]가 출판 당대에 좀비라는 새로운 존재 – 이물적 존재이면서도 모태는 인간인 – 의 매혹으로 어필하였지만, 현대독자인 나는 이 소설의 엔딩의 혁명성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생존 그 자체를 위해 분투하는 존재임은 수가 얼마 남지 않은 인간이나 새로이 급증하고 있는 좀비나 마찬가지. 여기엔 선과 악이라는 윤리적 개념이 들어설 자리가 없으며, 생존투쟁의 승리만이 유일한 선이 된다. 인간과 좀비 간 전쟁에서 마침내 좀비가 사회를 구성하고 살 방법을 찾기 시작했을 때 최후의 인간 생존자는 죽어서 전설의 영역으로 입장해야 할 운명만이 남는다. 아마도 호모 사피엔스가 그런 방식으로 살아남았을진데, 호모 좀비쿠스 같은 이름을 가진 새로운 존재가 호모 사피엔스를 대체한다한들 ……

그러고 보면 수많은 호러영화들이 당연한 듯 인간의 승리로 막을 내렸던 것은 그 모든 좀비물의 조상인 이 소설에 대한 반역적인 퇴행, 혹은 퇴행적 반역인 건지도 모른다.

많은 인간들이 자본주의적 인간을 중세적 인간보다, 혹은 자본주의적 냉혈인간을 온정주의적/윤리적 인간보다 진화한 것으로 믿고 있는 세상에서, 평균수명을 늘린 대신 면역결핍과 신종질병에 시달리는 현대 인류가 과거 인류보다 진화한 것이라면, 좀비가 인간보다 ‘진화한’ 존재라고 말한들 과연 언어도단이 될까. 아니, 우리들 중 대부분은 스스로 자각하지 못한 새에 이미 좀비가 됐는지도 모르는데. (이게 인간 특유의 자기합리화 방식 아니었던가.)

[나는 전설이다]의 엔딩은, 가상역사에서의 미래이자, 우리의 과거이기도 하다. 제우스가 새로운 신의 계보를 시작하며 신중의 신의 자리로 등극한 건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고 아버지가 속한 타이탄 족을 멸망시킨 이후이다.

[나는 전설이다]의 주인공 네빌은 결국 또다른 크로노스(제우스의 아버지, 타이탄족)인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운명을 수긍하는 그의 모습은, ‘마지막 인간’으로서 전설의 주인공이 될 존재로서의 자격이 충분하다.

영진공 노바리


 

 

 

<나는 전설이다>, “구원은 전설이 아닙니다.”

구원이 전설이 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원맨쇼에 종치기를 기대합니다




흥미진진하게 기대하고 나름대로 재미있게 본 영화였다. 하지만 세번째로 리메이크된 이 영화 시간이 지나 그래픽의 발달로 영화는 완벽한 공간을 재현하였지만 해피엔딩의 강박감에 시달리는 헐리우드는 40년전 오메가맨에 이어 또 한번 최악의 결말을 만들어 냈다.

마치 최고의 반전 SF라고 불리는 조 홀드만의 영원한 전쟁의 스토리를 가져다가 군국주의의 찬양이라고 불리우는 스타쉽투르퍼스를 만들어 버린 상황이다. 영화의 스토리를 이렇게 바꾸어 버릴거면 차라리 제목을 70년대 영화 오메가맨으로 바꾸어 버리던지, 나는 전설이다란 원제를 그대로 쓰면서 화려한 그래픽과 윌스미스의 연기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졸작으로 만들어 버렸다.

원작소설을 단순하게 이야기 하자면 두눈을 가진 인간이 외꾸눈 왕국에서는 일반인이 아니다라는 명제를 이 영화는 헐리우드 해피엔딩의 의지로 외꾸눈 왕국의 모든 인간들에게 새 눈을 달아주자는 것이 희망이라고 이야기한다. 먹이사슬의 정점에 올라있는 인간이 모든 지구의 생물들에게 우선한다는 지극히 일상적으로 삐뚤어진 이기주의적 발상이 느껴지며, 미국의 정의가 세계모두의 정의라고 굳굳히 믿고사는 지극히 미국적인 결말이 보이는 듯 하여 그리고 그래픽은 화려하지만 돌연변이 인종들은 치유되어야 할 장애인들로 인식되는 줄거리가 미국과 제삼세계의 시각을 보는 듯해서 좀 우울해지는 느낌으로 극장문을 나섰다.

왜 헐리우드 = 주관적 해피엔딩이란 공식은 미국에서 정의로 인식 되는 걸까.

사족 하나: 인간은 어차피 고독한 존재다. 수많은 사람에 둘러 쌓여 있어도 우리는 늘 고독하다. 생각이 다르고 가치가 다르고 생존의 문제가 다르고 그나마 가족이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 안에서도 시간이 지나가면서 세월이 흘러가면서 문득 문득 고독해진다. 원래 원작소설은 어찌보면 2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발전된 대량 생산 산업 사회에서의 인간에 대한 고독을 이야기 하려 했는지 모른다. 본 영화에서의 고독은 어찌보면 부러워 보인다. 몇해전 캐스트 어웨이의 톰행크스의 고독에 못 미쳐 보이는 점도 유감이다.


영진공 클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