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파리의 패륜적 인생플랜 (2/2)

 

 


 


 


* 1편에서 이어집니다 *


 


 


 



 


 





자연이란 예측하기가 어려운 녀석이다. 기상청 운동회 날에도 비가 쏟아지는 판국에 하물며 컴퓨터는 커녕 계산기 조차 가지고 있지 않은 생물들이 자연을 예측하고 대비하기란 불가능 하다.


 


결국 가뭄이나 폭우와 같은 극단적이고 불규칙한 환경 속에서 생물들은 운명을 걸어야 한다. 특히 작고 약한 생물일수록 이런 환경의 변화는 더 치명적으로 다가온다. 이들에겐 자연에서 적응할 만한 안정적인 패턴이란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자신을 환경에 맞게 정밀하게 조율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럴 때는 그냥 이런저런 생각을 접고 속편하게 무작정 번식만 하는 것이 여러모로 낫다.


 


거꾸로 매달아도 국방부 시계는 돌아가는 것처럼 언젠가 상황은 끝날 것이고 그때 자손이 살아남아 새로운 식량을 찾을 수 있으려면 지금 먹을 것이 있을 때 미친 듯이 번식에 매달려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번식을 극대화하려는 진화적 압력을 r선택이라 부르며 이런 방식으로 적응한 생물을 r전략가라 칭한다.

 


반면에 비교적 안정된 환경 속에서 환경이 허용하는 최대의 개체군을 이루며 존재하는 생물 종이라면, 적응 능력 자체가 별 볼일 없는 자손을 많이 낳아 봤자 특별한 이익을 보지 못할 것이다. 그럴 바에야 차라리 정밀 조율된 소수의 자손을 낳아서 기르는 쪽이 훨씬 유리하다. 그런 생물을 K전략가라고 부른다.




혹파리는 r전략에 따라 생존플랜을 짰던 것이다. 그럼 혹파리와 비슷한 환경에 사는 다른 녀석들도 이와 비슷한 번식 방법을 쓰고 있을까? 맞다. 바로 진딧물이다. 기억할 지 모르겠지만 예전 포스팅에서 진딧물의 독특한 번식 방법을 소개한 적이 있다.

 


 


 




 


 


 

당시 소개했던 내용을 짧게 요약하자면, 진딧물은 새로운 잎에 정착하면 모두 암컷인 새끼만을 낳으며 무성생식을 시작한다. 이 새끼들은 날개가 없는 미성숙 개체로 자라면서 태어남과 동시에 몸속에서 또다른 새끼들을 기른다. 즉 인간의 관점으로 보자면 아기 몸 속에 다음에 태어날 아기가 이미 들어있는 것이다.

 


진딧물은 이런 방식으로 암컷 한 마리로 1년 뒤 5240억 마리로 불어날 수 있다. 깨끗하던 농작물이 며칠 새에 진딧물로 코팅(?)되는 것이 다 이런 번식전략 때문이었다. 그러나 먹이가 감소하면 암컷과 수컷인 새끼를 낳으며 날개 달린 진딧물이 태어난다. 이들은 정상적으로 천천히 성장 발달하여 유성생식을 한다. 그들은 다른 새 잎을 찾으러 날아가고 거기서 낳은 자손들은 또다시 날개없는 형태로 되돌아가 무성생식을 시작하며 미친 듯이 번식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또한가지 의문이 생긴다. 빠른 번식을 위해서라면 알을 많이 낳으면 해결되는 문제가 아닐까하고 말이다. 스스로의 몸을 아이를 위한 식량으로 바치지 않아도 되고 말이다. 이에 관해서는 진작부터 부지런한 생태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알을 많이 낳는 것보다 번식을 일찍 시작하는 것이 개체군을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번식 개시 연령을 10퍼센트 앞당기면 출산력은 100퍼센트 증가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우리는 전형적인 K전략가이다. 우리는 대부분 한 번에 한 명을 낳아 금이야 옥이야 키운다. 이런 K전략가의 관점에서 일부 r전략가들의 번식방법은 종종 혐오감을 불러 일으킨다. 그러나 이것은 지극히 우리의 관점일 뿐이다. 이는 혹파리 뿐만 아니라 최근 영화의 주연으로 활약하고 있는 ‘연가시’도 마찬가지다.


 


K전략이든, r전략이든 간에 생물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취하는 것 뿐이다. 여기에 옳고 그름의 가치판단은 필요치 않다. 사실 입장을 바꿔 다른 생물들이 판단할 때 인간의 번식 방법도 썩 유쾌하게 보이진 않을 것이다. 태어나서 인생의 절반이 지나도록 부모에게 기대어 살아가는 종이니 말이다.


 


어미를 파먹으며 태어나는 혹파리와 평생을 부모에 기대어 사는 인간 중 누가 더 못난 번식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덧붙여 …



 

예전 진딧물이 왜 저런 번식 방법을 택하게 되었는지 매우 궁금했었다. 물론 열악한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번식방법일 거라 두루뭉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긴 했지만 찝찝함을 금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얼마 전 스티븐 제이 굴드의 에세이를 읽던 중 진딧물이 그러한 번식 방법을 채택한 이유를 명확하게 정리해준 글을 찾게 되었다.

 

이 글은 사이언스 북스에서 출간한 [다윈 이후]에 실려있는 ‘파리의 모체살해’라는 에세이에서 발췌, 편집한 글이다.

 


 


영진공 self_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