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진공 62호]그 남자가 입으면 동남아가 된다고?

언론중재위원회
2006년 11월 2일

세계일보, 스카이 새 광고는 동남아 비하?

“그 남자가 입으면 뉴욕이 되고,
그 남자가 입으면 동남아가 된다.”

스카이폰 새 광고 시리즈 ‘MUST HAVE’ 중 ‘감각’편에 속하는 카피란다. 캐안습… 인종차별이라며 스카이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데, 저런 광고가 나왔다는 사실 자체보다도 ‘나올 수 있었다’는 사실이 더 무섭다. 동남아나 아프리카(요즘엔 중국까지도)를 깔아보는 게 유머코드로 작동할 수 있는 상징체계가 이미 사회성을 획득해버린 것이다. 이미 작동하고 있는 상징체계가 있으니 이를 이용한 광고가 나오는 건 마케팅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자본주의 세상에선 오히려 ‘당연한’ 일. ‘태국왕자’나 ‘옹박’의 캐릭터, 중국어 CF송을 부르는 커플(이 경우는 제대로 진짜 중국어를 한다고 들었다만)이 출연하는 TV 개그 코너에서 미친듯이 터져나오는 웃음들엔 아무런 껄끄러움도 자성의 분위기도 없다. 블랑카는 한국인들을 꼬집기라도 했지.

마케팅 관점에서라면, SK에서 팬택으로 넘어간 후 명품의 대중화(…)로 마케팅 기조를 바꾼 스카이가 이를 알리는 데에는 일단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반발을 예상 못했을 리 없을 거고, 욕을 먹더라도 일단 ‘대중화라는 새로운 기조를 알리는 데에’ 초점을 맞췄을 테니까. 아마도 인종차별이라며 발끈하고 불매 / 안티로 돌아설 소비자는 소수이며 전체 판매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거라 판단했겠지. 시대착오적 카피로 안티를 형성해낸 현대카드(“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명퇴와 해고의 시대에 나온 아주 걸작 카피…)가 일단 브랜드 인지도 확산에 성공한 뒤 미니/혜택 풍부를 강조하는 전략으로 돌아서서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는 예를 충실히 답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만, 현대카드가 현재 타 기업카드 점유율을 역시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걸 보면, 스카이도 한동안 고전을 좀 하지 않을까. 그러나 스카이가 새 광고 시리즈를 시작하면 사람들은 이 광고를 잊을 것이다. 나라도 잊지 않기 위해 앞으로 스카이폰을 동남아폰으로 불러야지 싶다. 이것 역시 저 차별의 상징체계를 더 강화시키는 한계가 있긴 하지만.

… 실제로 동남아에는 우리가 간단히 ‘동남아’라 묶을 수 없는 다양한 역사와 종교와 풍습과 생활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살며 국가수도 여럿이다. 언제나 차별은 타자화를 전제하며 타자화는 한 카테고리로의 부당한 환원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계급과 부의 정도를 통해 현현한다.

공화국 언론중재위 서기관
노바리(invinoveritas@hanmir.com)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