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 네이쳐”, 문명과 야만의 차이가 있긴 한걸까?

불의의 재해로 소중한 생명과 삶의 터전을 잃은
아이티인들께 심심한 위로를 전합니다.

 



* 감독: 미쉘 공드리

* 출연: 팀 로빈스, 패트리샤 아퀘트, 리스 이판, 미란다 오토

아프리카 원시부족을 찍은 프로를 볼때면 마음을 쓸어내린다. 아…졸라 저런 야만스런 곳에서 태어나지 않아 정말 다행이얌. 안도감에 맥주를 한모금 꿀꺽 삼킨다. 하지만 뱃속에 차오르는 탄산가스처럼 생각들이 머릿속에 차 오른다. 우린 분명 저들보다 백만배는 문명화 된 사회에서 살고 있는데 어째서 주변엔 아프리카 깡촌 부족도 기겁하고 도망갈 야만스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대체 문명과 야만이란 무엇일까.


영화는 온몸에 털이 자라는 여자 라일라, 어려서부터 절제와 통제된 생활을 통해 예의바른 과학자로 자란 나단, 그의 여자 조수인 가브리엘, 야생에서 자란 원시인 퍼프. 이 네 명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통해 문명과 야만, 본능과 통제와 같은 화두를 냅다 던지고 있다. 이야기의 가장 큰 뼈다귀는 과학자 나단이 원시인 퍼프에게 문명을 주입시켜 예의바른 문명인으로 만들려고 하는 모습이라 할 수 있는데 요거요거 어디서 많이 보던 캐릭터 아닌가. 자신은 본능에 충실하면서 국민들은 통제하려는 위정자들의 모습. 호랭이가 담배피던 시절부터 설치류가 대통령 해먹고 있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하거나 없어지지 않고 있는 모습들 말이다.


영화 후반부에서 퍼프가 나단에게 소리를 지르며 이렇게 얘기한다.

“말은 내가 해!”



맞다. 말(문명)은 권력이다. 힘이 있어야 말을 할 수 있다. 동시인지능력이란 단어를 모르면 찌그러져 있어야 하며, 영어를 못하면 찌그러져 있어야 하며, 손으로 음식을 먹는 문화는 포크질 하는 문화 앞에서 찌그러져 있어야 한다. 문명은 힘 있는 자에게서 힘 없는 자에게로 흘렀으며 법과 제도는 힘 없는 다수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쓰였다. 언제 어느 시대나 힘 있는 자는 문명을 다스리고 강제했다. 정작 자신은 호르몬에 취한 짐승처럼 마음껏 날뛰면서 말이다.



어째 다루는 소재가 본고사 논술문제스럽긴 하지만 영화는 소화불량 없이 재밌게 볼 수 있게 만들었다. 감독은 미쉘 공드리요 각본은 찰리 카우프만이다. 자기 분야에서 천재 소리를 듣는 두 사람이 만나 만들었던 영화가 바로 재기발랄한 영상과 이야기로 우리를 감동의 도가니탕에 빠뜨렸던 이터널 션샤인이 아니던가. 그러니 재미없을것 같다는 걱정일랑 고이접어 나빌레라~ 보고나면 머릿속에 포만감도 느낄 수 있는 일석이조 영화 되시겠다.


덧붙여 당 영화는 <이터널 선샤인>을 찍기 전에 만들었던 미쉘 공드리의 장편 데뷔작이자 찰리 카우프만과는 처음 입을 맞춘 영화다.


영진공 self_fish

““휴먼 네이쳐”, 문명과 야만의 차이가 있긴 한걸까?”의 2개의 생각

  1. 찰리 카우프먼과 처음 입을 맞춘 순간 미셸 공드리의 기분이란
    과연 어떤 것이었을까 궁금해지네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