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동과 윤정희, 거장의 필체와 선택

이창동 감독과 윤정희 그리고 ‘시’ . 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느낌이다.
언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이창동감독 작품에 대한
무한 신뢰가 바탕이 되었겠지만 웬일인지 1960년대 대활약 한, 이제는 노인이 된 배우 윤정희에게도 깊은 호감이 간다.

윤정희는 배우로서의 자긍심과 학업에 대한 열정으로 지적이고 성실한 배우의 지위를 구축했다.
<안개> <분례기> <석화촌> 등 작품 선정에도 워낙 신중하여 그녀의 출연작은 한국영화의 맥을
잇는다는 평가를 받았다. … 1970년대 초반까지 활동을 유지하던 윤정희는 1973년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  (한국영화사
‘1960년대 트로이카 여배우’ 중에)

여배우의 삶을 쉽사리 논할 순 없겠다. 다만 여성으로서 자신의 분야에 자긍심을 갖고 한결 몰입하는 것이 특히 이 땅에서
얼마나 힘든 일인가 대충 가늠해 본다.

대중의 인기(인정)를 한 몸에 받는 위치에서 학업에 대한 열정을 불사르는데 또 얼마만큼의 용기가 필요했을까. 그녀 스스로
어떤 그릇이 되고자 큰 줄기의 빛이 반짝였을 그때에 감히 유학길에 올랐을까. 그리고 <시>로 다시 펼쳐 보이는 연기는
어떤 색일까.

나는 윤정희라는 배우가 실은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한다. 앞으로도 내가 알 수 있는 건 <시>를 통해 볼 그녀의
연기, 눈빛, 어쩌면 연륜까지가 전부 일지 모른다.

그럼에도 그녀에게 내 미래를 비춰보고자 함은 <시>의 기회가 비단
거저 온 것은 아닐 거라는 예감 때문이다. 누구보다 깊게 자신을 들여다보고 비우고 채우는 삶이 있진 않았을까. 자신의 분야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숨은 노력을
깃들이진 않았을까. 만약 그렇다면 노년에 더욱 빛나는 여성의 모습을 <시>를 통해 입증해 주진 않을까.

<시>의 정갈한 타이틀 로고는 이창동감독의 필체다. 아직 못 봤지만 웬일인지 영화와 꼭 맞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더해 주인공 윤정희의 캐스팅 또한 이창동 감독의 탁월한 선택이기를 바라본다.

영진공 애플

“이창동과 윤정희, 거장의 필체와 선택”의 3개의 생각

  1. 인간 손미자는 전혀 좋아하지 않지만 배우 윤정희는 좋아한다,,

  2. 손미자가 누군가 찾아봤더니 배우 윤정희 본명이군요.
    저기 배현철님, 진짜 몰라서 그러는데 -전 78년생으로 윤정희 이름만 들었지 출연작 한 편도 본 기억이 없습니다- 뭐 때문에 싫어하시는 거죠?

  3. 인터넷 좀 두드려 보니 인기배우였을 때 스캔들이 있었다고 하는데 자세히는 안 나왔다. 배현철님이 좋아하지 않는 건 그 때문인 거 같다.

심술에게 댓글 남기기 댓글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