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수다떨기 (1), 사랑에 대하여



6월 2일, 꼭 투표합시다!

2008년에 라디오 불교방송에서 잠깐 진행했던 코너
<금요스페셜, 장근영의 영화 속 심리학>을 글로 정리하였습니다.


 
======================================================================

Q. 오늘은 영화 속 심리학, -사랑-에 대해서 좀 알아보고자해요. 사랑타령, 어떨 때는 지겨울 정도로 많은 사람들, 또 예술작품들, 상업품들이 ‘사랑’에 의존해 살고 있는데요, 인류사가 사랑의 역사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구요. 이게 어떻게 정의 내리기가 참 어려운 거에요.

대중문화가 사랑을 애용하는 이유는 사랑이 다양하면서도 공감이 되는 감정이기 때문일 겁니다. 일단 사랑은 아주 센 감정이예요. 김현식씨가 “누구나 한번쯤은 사랑에 웃고, 운다” 고 했쟎아요. 근데 그 사랑은 사람마다 다 다릅니다. 진부한 표현이긴 하지만 지구상에 존재했던 사람들 숫자만큼의 사랑이 있다고 할 수도 있을만큼 다양한 것이 사랑이죠. 그러면서도 동시에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도 있고요. 그러니까 사랑이야기는 매번 결국엔 같은 내용이면서도 그때마다 다르죠.

-= IMAGE 1 =-

Q. 영화 속 사랑, 뭐 대부분의 영화가 러브 라인을 가지고 이야기를 이어가는데요, 심리학에서는 이 사랑을 어떻게 접근하고 있나요?

심리학계에서 사랑에 대한 연구는 별로 많지 않습니다. 사랑은 너무 당연한 감정이기 때문일 수도 있고, 연구보다는 실천의 문제이기 때문일 지도 모르죠. 어쩌면 심리학자들이 좀 공부만 하고 정작 실생활에서는 별로 로맨틱하지 못해서였는지도 모르고요.
 
부모의 사랑의 중요성에 대해서 보울비라는 사람이 연구를 한 것이 유명하고, 그 외에는 스턴버그라는 학자가 사랑의 삼각형이라는 주제로 연구한 것이 있습니다. 사랑의 색채학 이라는 것도 있는데, 이 이론을 제시한 “존 앨런 리”는 심리학자가 아니라 사회학자로 알고 있어요. 게다가 제가 알기로는 적극적인 동성애 커뮤니티 운동가라고도 하더군요. 어쨌든 존 리의 사랑 색채이론이 대중적인 인기가 많죠. 사랑을 세 가지 색채로 구분하고 그 색의 혼합으로 다시 세가지 색을 더 만들어서 모두 6가지로 구분하는데, 그게 대부분의 사랑경험을 설명하기 딱 좋은 틀이거든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사랑도 거의 모두 이 여섯가지 유형 중의 하나로 구분할 수 있어요. 영화 <게이샤의 추억>에 등장하는 좀 괴상한 사랑도 이 색채로 구분이 되죠.




Q. 영화 <게이샤의 추억>…치요가 어린시절 한 남자를 마주하고, 꿈을 ‘게이샤’로 바꿀만큼, 사랑을 얻기 위해 자신의 인생을 내거는 그런 내용에 동양적인 미가 돋보이던 작품이었는데요….

솔직히 그게 말이 됩니까. 사랑을 얻기 위해서 기생이 되다니요.
물론 게이샤가 그 시대에 농부의 딸이 전문예술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길이었다는 점은 고려해야겠죠. 하지만 우리나라 기생도 사실 전문 예술인이었지만, 사랑을 얻기 위해서 기생이 된다는 이야기는 없을 겁니다. 오히려 사랑에 상처받고 복수를 위해서 기생이 되겠죠.

그러니까 <게이샤의 추억>은 “서양인이 오해한” 일본적인 정서에서나 이해가 되는 이야기죠. 어쨌든 영화는 그것도 사랑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사랑은 존 리의 사랑 유형으로 구분하자면 에로스 적인 사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에로스 적인 사랑을 하는 사람들에게 사랑은 행복 그 자체예요. 동화 속 주인공처럼 이상형을 운명처럼 만나서 그 후로도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로 마무리되는 사랑이죠. 치요도 어둡고 막막한 현실에서 잠깐 키다리 아저씨를 만난 순간의 행복이 이후에 희망이 되고 동기가 됩니다. 언젠가는 꼭 그 아저씨를 다시 만나 영원히 행복해질거야. 라는 희망. 이게 치요의 사랑인거죠.


Q. 자신의 인생에서 꿈과 목표가 동기부여가 ‘사랑’에 의해서 원동력을 얻어서 그것들을 이루어가면 참 해피엔딩일건데, 또 사람 사는 일이 그렇지가 않을 때가 많죠. 그랬을 때, 사랑에 의한 파괴력 또한 어마어마하게 그려지는 영화들이 많죠….

원래 효과가 좋은 약들이 부작용도 무섭거든요.
사랑도 그렇죠. 특히 매니아적 사랑이 무섭습니다.
근데 이게 인과응보예요. 매니아적 사랑을 하는 사람들은 원래 처음에는 사랑을 하찮게 보고 게임 하듯이 남을 울리는 사랑만 하던 사람인 경우가 많아요. 그러다가 어느 날 임자를 만나면 미치는 거죠. 게임의 본질은 속임수인데, 속임수와 열정적 사랑이 만났으니 의처증 의부증이 되는 겁니다.


매니아적 사랑의 예, 하츠모모(공리)


Q. 소개팅자리나 누구만나는 자리에 심리학 박사이기에 자신의 마음이 들킬까봐 사람들이 더 불편해한다던가 그런 거는 없나요?

십여년 전에는 정말 많이들 그랬는데, 요즘은 좀 덜 한 것 같아요.
누가 봐도 당연한 이야기를 해도 역시 심리학 박사는 달라… 이런 식의 반응을 받는 경우는 꽤 있죠. 근데 사실 제 경험에 따르면 실천에 강한 사람들은 이론을 파지 않는 것 같아요. 사람의 마음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하겠으니까 심리학을 하는 거 같거든요.


Q. 어떤 심리학에 의하면요, 첫 눈에 반하는 사람들, 보통은 콤플렉스와 콤플렉스의 만남일 경우가 많다고들 해요. 그러니까 소심한 사람은 좀 활달한 사람을, 자기중심적인 사람은 배려가 많은 사람을, 뭐 이렇게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가진 사람에게 반하는 경우, 많다던데요?

물론 많죠. 그 이론의 원조는 플라톤일 겁니다.
플라톤에 따르면 원래 인간이 너무 강해서 신을 위협했대요. 그래서 신들이 인간을 반으로 쪼개버렸고, 그 반쪽들이 각각 남자 여자가 된거죠. 어쩌다 헤어졌던 나의 반쪽을 만나면 대퇴부에서부터 정수리까지 전기충격이 흐르고, 눈에서는 불꽃이 튀고… 뭐 그런 얘기죠. 그런 경우를 상호보완적인 사랑이라고 하죠. 자기와 전혀 다른 사람을 좋아하는 경우죠. 말씀처럼 자신을 부족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그런 사랑에 빠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너무 완벽한 사람, 보기에는 멋지지만 사랑하기에는 좀 꺼려지는 사람 아닐까해요..뭔가 채울 것이 없잖아요.

왜 그런 사람들 있쟎아요.
너무 빵빵하게 가진 것이 많아서 선물을 해주기도 부담스러운 사람들.
이미 다 가지고 있으니 더 해줄 게 없고, 어줍쟎게 해주다간 오히려 우스워질 것 같은 사람들. 
사실 우리가 사랑을 시작할 때 가장 큰 걸림돌은 거절에 대한 불안이예요.
내가 상대방에게 사랑한다고 했는데, 상대방이 “미안, 우리 오빠 동생으로 지내… ” 이러거나, 아니면 “뭬야? 감히 나를 뭘로 보고!” 이러면 어떻게 하나…
그러면 정말 심장이 제대로 찢겨나가고 입장 완전히 구겨지는거쟎아요.
그러니 상대방이 너무 대단해 보이는 것도 사랑의 장애가 되죠.

게다가 너무 문제가 없는 관계도 문제예요.
문제가 없다는 건 사실 아무 것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거거든요.
<미스터 앤 미세스 스미스>라는 영화가 딱 그 이야기예요.


슬쩍 미스터 미세스 스미스로 넘어가고 …


Q. 집도 좋고, 차도 좋고, 직업도 좋고, 거기에다 외모까지 출중한 두 부부, 문제가 너무 없어도 문제인 그런 케이스네요. 너무 풍족한 세상에 불만이 쌓여가는 문제이기도 하구요…

위생가설이라는 게 있습니다.
요즘 아이들 알러지가 문제인데, 이게 우리 환경이 너무 위생적이어서 그렇다는 가설이죠. 기생충에도 감염되고, 감기도 매년 걸려주고, 흙밭에서 놀면서 세균도 많이 접하고… 이러면 면역체계가 바빠서 딴 짓을 못하는데, 감염이 없어지면 면역체계가 할 일이 없으니까 이젠 자기 몸을 공격하는 바람에 알러지가 생긴다는 건데, 요즘 학계에서는 꽤 유력한 가설로 인정받고 있어요.

근데 사람과 사람의 관계도 좀 그래요. 원래 사회관계는 전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들이거든요. 당연히 문제가 생기고 그 문제를 해결하면서 관계 라는 게 발전을 하기 마련인데 아예 문제가 없으면 오히려 관계 자체가 불필요해지는 거죠. 그러니까 우리 뭐하러 같이 살지? 이딴 의문이 생기고, 그냥 이혼이나 할까… 이렇게 되는 거죠.

이 영화에서도 브란젤리나 커플은 서로 너무 상대방의 사생활을 존중해요. 서로 터치 안하고 부부로서 각자 할 일만 하죠. 그러다 보니 불만은 생기는데 문제로 불거지지는 않고, 계속 속에서만 쌓이는 거죠. 하지만 나중에 피치 못할 사정으로 서로 죽일듯이 싸우게 되고, 외부에서 큰 문제가 닥쳐오니까 오히려 다시 사랑의 불꽃이 활활 타오른다 … 뭐 그런 이야기입니다.


Q. 뭐 그렇다고 문제를 만들 수는 없는 일이잖아요. 뒤짚어서 지금 위기나 어려움에 부딪힌 연인이나 부부들, 함께 그 위기를 해결해가는 과정, 또 한 번 사랑을 확인하는 기회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어요…

맞습니다.
비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옛 말씀 틀린거 하나 없습니다.
문제가 생기는 건 문제가 아닙니다. 그건 인생의 필연이거든요.
중요한 건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죠.

Q. 사랑, 사랑인가 아닌가? 고민하는 입장도 있을거에요. 워낙 친해져서 없으면 허전한데, 또 사랑이라고 생각하기는 좀 뭔가 밍숭한, 우정에 가까운 그런 경우, 과연 어떻게 사랑이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아니, 그걸 제가 어떻게 압니까.
사랑은 본인이 가장 잘 아는 거라고 봅니다.
자기가 사랑이라면 사랑인 거고, 아니라면 아닌 거죠.
하지만 처음에도 말씀드렸듯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랑 중에는 정말 친한 친구에 가까운 사랑도 있어요.

일단 사랑의 기본은 “너밖에 없다” 입니다. 나는 너도 사랑하고 너도 사랑하고 모두를 사랑해. 이따위 말은 그냥 헛소리죠. 모두를 사랑하는 건 아무도 사랑하지 않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근데 친구 중에도 너밖에 없다는 친구가 있다면 그게 사랑일 수 있어요.
 
심리학자 스턴버그는 사랑의 핵심 요소는 열정, 친밀감, 책임의식 이라고 말해요. 그 중에 열정은 처음에 반짝 타올랐다가 시간이 흐르면 서서히 사라지는데, 친밀감은 서로를 오래 알면 알수록 점점 더 축적이 되죠. 책임의식은 원칙 문제라 시간의 흐름에도 변함이 없다고 할 수 있고요. 처음에는 서로 애매하게 좋아하다가 시간이 지나도 나를 너만큼 잘 알고 이해해주는 사람은 없구나… 그래서 너 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사랑이겠죠.

Q. 이게 처음부터 열정적인 사랑이라면 괜찮은데, 우정에서 비롯된 사랑은 마음에 열정이 있더라도 표현하기가 참 민망한 경우가 있어요. 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나 <청춘 만화>, <우리, 사랑일까요?> 이런 류의 영화처럼 극적으로 헤어지거나 다치거나 하지 않으면요.

민망하다는 그 감정의 배후에는 용기의 부족이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 “우리 그냥 친구로 지내.” 라는 대답이 나올까봐 두려워서 계속 진짜 친구로 지내는 거죠. 이럴 때는 “밑져봐야 본전이지” 라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어차피 친구로 지내는데, 그냥 친구로 지내라는 말 듣는게 뭐 손해겠어요. 말씀하신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도 마지막 순간 두 주인공이 “밑져봐야 본전이지” 라는 생각으로 들이대니까 해피엔딩 되쟎아요. 청춘만화 에서도 권상우가 망가질 대로 망가지니까 김하늘이 드디어 용기를 내고요.


슬쩍 청춘만화도 건드려 주고 …

Q. 그래도 이런 친구같은 관계, 꽤 멋진 사랑의 관계가 아닐까..하는데요?

음, 당사자들은 속이 까맣게 타들어갈걸요.
뭐 원래 강건너 불구경이 보기는 더 좋지만 말이죠.

Q. 네, 오늘 이런저런 영화 속 심리학, 사랑에 관해 이야기하다보니, 어느새 시간이 꽤 많이 되었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이야기를 하구요, 다음 주에는 어떤 내용으로 금요일의 시간 기다릴까요?

잔인성이 어떨까요. 최근에 관심을 받는 영화 중에 <추격자>라는 영화가 있는데 인간의 잔인성에 대한 이야기거든요.



영진공 짱가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