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라이프”, 차라리 좀비 영화를 찍던가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애프터 라이프>는 제목 그대로 삶이 끝난 이후, 즉 사후 세계에 관한 영화다. 그 중에서도 교통 사고로 사망한 젊은 여성 애나(크리스티나 리치)가 시체실에 안치되어 자신의 장례식을 준비하는 사흘 동안의 이야기다.

담당 장의사 엘리엇(리암 니슨)이 죽은 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덕분에 애나는 자신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한 채 약혼자 폴(저스틴 롱)에게 돌아가게 해달라며 – 만약 장의사에게 그런 능력이 있다는 전제가 아니었다면 이 영화는 뜬금없는 좀비물이 되었을런지도 모르겠다 – 줄기차게 생떼를 쓸 수가 있게 된다.

의사가 사망진단서까지 발부한 상황에서도 애나는 갑작스럽게 찾아온 죽음을 거부하고 삶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는데, 그러다 어느 한 순간 “자신이 죽게 된 이유가 그 만큼 삶에 대해 성실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깨달음을 얻는다.

입관이 되어 무덤 속으로 들어간 순간까지도 애나의 체념과 삶에 대한 본능적인 집착이 엇갈리면서 혹시 애나가 실제로 죽은 것이 아니라 장의사의 손에 의해 억울한 죽음을 당하는 것이 아닌가 싶은 – 그렇게 혼란을 주는 것이 연출 의도였던 것 같긴 하다 – 생각이 들게 만든다. 그러나 관객이 기대하는 스릴러적인 반전 따위는 애초에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작품이다.

전반적으로 60분 안팎의 중편 정도로나 만들어졌으면 적당하지 않았겠냐는 생각이 드는데 어차피 대중적인 요소를 충분히 갖추기 힘든 설정의 작품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아그네츠카 보토위츠-보슬루 감독으로서는 첫번째 장편 연출의 기회를 마다할 이유는 없었겠지만 그 결과는 빈곤한 스토리텔링과 연출 능력을 드러내는 일에 불과했다고 생각된다.

삶과 죽음에 관한 성찰을 대부분의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형상화해내는 작업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긴 하지만 애나의 뒤를 따라 폴 역시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끝나는 영화의 엔딩에 하필이면 라디오헤드의 Exit Music (For A Film)을 사용한 점은 – 바즈 루어만 감독의 96년작 <로미오와 줄리엣>의 엔딩송으로도 사용되었던 곡 – 어쩔 수 없이 실소를 내뱉을 수 밖에 없도록 만드는 이유가 된다.


영진공 신어지

 

““애프터 라이프”, 차라리 좀비 영화를 찍던가”의 2개의 생각

  1. 이거 살인맞는데요. 애나는 살아있었고.. 거울에 비친 숨결, 어떤 경찰이 동생 보러왔을때 고개를 돌리던 애나.. 그리고 심박수 멈추게 하는 하이드로어쩌구 하는 약..
    마지막 부분쯤에 장의사가 그 약을 줄때 선명하게 이름이 나왔어요. 바로 그 장면
    좀 전에 경찰서에서 경찰이 이야기하던 그 약.. 그리고 영화 초반쯤에도 애나에게
    그 약을 주는 장면도 있어요.. 일부러 작정하고 사고가 난 애나를 약으로 심박수 멈춰서 사망진단하게해서 데리고 온건지는 몰라도.. 암튼 살아있던 애나를 죽은것처럼 몰아간거죠

벼리하에게 댓글 남기기 댓글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