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 가장 무서운 것은 사는 일


귀신보다 무서운 건 사람

여섯 일곱살 무렵. 빛과 어두움에 대한 개념이 생기고 깜깜한 것이 무서워지던 때였다.깜깜한게 뭐가 무섭냐는 엄마의 말에 “귀신이 나올까봐 무섭다.”고 얘기했더니, 엄마가 “귀신이 뭐가 무섭니. 하나도 안 무섭지.”라는 엄마의 말. “엄마. 엄만 그럼 뭐가 무서워?”라고 묻자 엄마가 “나는 사람이 제일 무섭다.” 라고 말했다. 내가 사람이 뭐가 무섭냐고 얘기했고, 엄마는 ‘글쎄 그럴 때가 온단다. 귀신보다 사람이 무서운 때가’라고 대답했다. 당시의 나는 귀신이 너무 무서울 때라 얼른 그런 날이 왔으면 했다.

그리고 또 초등학생 어느 날인가였다. 골목 저 건너편집에 불이 났다. 까맣고 앙상하게 뼈대만 남긴채 집은 잿더미가 되었고, 다행히 그 집 식구들은 모두 무사히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한동안 화재 목격의 충격은 지속되었다. “엄마 불 날까봐 무서워.” 엄마가 “불은 잘 안나. 불이 무섭긴 하지만 조심하면 그렇게 무섭지 않다.” 나는 또 예전의 그날 처럼 엄마에게 물었다. “엄마 그럼 뭐가 무서워?” 엄마는 조용히 대답했다. “엄마는 돈이 무섭다.”

삼십년 가까운 세월이 흘러, 나도 이제는 귀신보다 사람이 무섭고, 화재보다 돈이 무섭다. 가끔 격심한 공포에 시달릴 때는 ‘내가 무슨 짓을 할지 모르겠다.’는 소위 멘붕(멘탈붕괴)상태일 때. 그때는 사람보다 돈보다 내가 무섭다.

‘화차’는 그 모든 것을 집약해서 보여주는 영화였다.

진짜 공포는 고어가 아니라 바로 삶

영화는 굉장히 잔인한 사건을 내용으로 하고있지만, 고어적인 묘사는 하지않는다. ‘추격자’같이 정을 박고, 자르고, 매달고, 파묻는 장면이 나오지 않는다. 펜션에서 선영(김민희) 혼자 피칠갑한채 오열하는 것이 ‘피’의 전부이다. 선영이 사창가에 팔려갔다는 것이 암시되지만, 사창가에서 학대당하는 장면이 나오지도 않는다.

하지만 시종일관 으스스하고 공포스러운데,그 공포는 시각적인 촉각적인 공포라기보다는 오히려 더 무서운 ‘생에 대한 공포’이다. 문호(이선균)의 감정은 처음에는 약혼녀가 납치되었을지 모른다는 공포에서 시작했다가, 그녀의 이름이 강선영이 아니라는 것, 모든 경력이 허위라는 것에 대한 배신감으로 옮겨간다.

영화를 보면서 관객들은 문호와 함께 선영이 과거 아버지의 파산으로 어릴 때 부터 빚에 쫒겨다니다가 어린나이에 결혼과 이혼을 경험하고, 사창가에 팔려가 제 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성매매행위를 하다가 건강이 좋지 않은 아이를 출산하고, 그 아이를 잃기까지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는 사실을 알게되면서 가슴아픔과 연민을 넘어 또 다른 차원의 공포에 이른다.

그 공포에 대한 뿌리는 나도 선영이, 경선이 될 수 있다는 충분한 가능성이다. 카드를 평소와 같이 쓰다가, 어느날 실직이나 불경기로 수입이 달라진다면 카드연체가 된다. 그리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나는 빚과 신용불량으로 취업할 수 없는 악순환의 도가니. 지극히 평범한 사람도 빠져들 수 있는 그 무서운 수렁. 거기에 상호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연대가 없는 이 사회에서 홀로 남아있다는 공포.

김애란의 소설 ‘노크하지 않는 방’에 사는 이들 모두의 공포가 더해지면 산다는 것 자체가 오싹한 일이 되어버린다.

그럼에도 발견하는 희망이랄것 없는 희망

종근(조성하)이 댓가없는 사건에 그렇게 집착하고 진실을 풀어내려고 하는 이유도 그런 것이 아닌가 싶다. 종근은 실직 중이고, 사람들은 모두 그에게 “제수씨가 불쌍하지도 않냐”라고 말한다. 아내가 가게를 꾸리고, 종근과 아이는 가게 곁방에서 근근히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조그만 가게지만 그 매출이 줄어든다면 당장에 생계형 빚을 지게 될거고, 종근에게 일정한 수입이 없는 상태에서 생활은 더 기구해 질 수 있을 것이다.

한때 형사였던 종근은 옷을 벗으면서 ‘여기가 내 인생 바닥’이라고 생각했었지만, 선영을/경선을 추적해 나가는 과정에서 ‘거기가 바닥이 아님’을 확인해 나가기에 멈출 수 없었던 것이 아닐까.

더 나빠질 것이 없는 절망의 무기력 속에서, 더 무기력해지면 더더욱 나빠질 여지는 얼마든지 많음을 확인하고, 그래서 더 나빠지는 것을 막기위해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 창고지기 일이라도 시작할 동력을 얻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그리고 그것이 이 시대의 희망이라니 그 자체가 또 공포스러운 일이고 ……

그러고보니 매달 밀려오는 빚을 다달이 막아내기 위하여(청산이 아니라) 분연히 일어나 일터로 향할 때이다.


영진공 라이


 

““화차”, 가장 무서운 것은 사는 일”의 한가지 생각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