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와 삼성증권, 니들이 사람이냐?

 

동아일보 2008년 10월 23일자 인터넷판 경제면 “주가 바닥 알리는 조짐 곳곳서 등장 “이라는 제목의 기사이다.

“삼성증권은 23일 발표한 증시분석 보고서에서 “경험과 직관에 비춰보면 주가가 바닥에 다가서는 정황적 증거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중략)

“애널리스트들이 하루아침에 적정주가를 50% 이상 하향 조정한 리포트를 발표하는 등 공격적인 하향 조정 행태를 보이고 “빅 사이클이 끝났다”는 등의 뒷북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데 이는 증시 하락 사이클의 막판에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증권사 영업직원과 투자자가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한 점도 하락장의 끝을 알리는 징후로 제시됐다.

오 파트장은 금융기관 부도 리스크, 유동성 고갈과 신용축소, 실물위기 전염과 리세션 등에 대한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책이 쏟아지고 있는데도 폭락장세가 멈추지 않는 것은 공포심리가 팽배했기 때문이라며 증시의 바닥은 내년 1분기에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은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10230355&top20=1 >


이게 소위 정론지라는 동아일보와 세계 일류라는 삼성의 의식구조냐?

사람이 죽으니까 증시 하락이 끝난다고? 그래서 어쩌라고 말하고 싶은 거냐?

니들도 인간이냐?


영진공 이규훈

엔딩 크레디트, 끝까지 보시나요?

맨 처음 제작사 로고부터 시작해 맨 마지막에 엔딩 크레딧 끝에 카피라이트 로고까지 봐야 영화 한 편을 온전히 봤다고 느끼는  강박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화의 엔딩 크레딧은 영화에 대한 꽤 많은 정보를 담고 있지만, 이건 사실 imdb를 뒤지면 대부분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들입니다. 그렇다면 저는 엄청난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에서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진 지금도 왜 여전히 엔딩자막을 끝까지 보고 있을가요. 사실 자막도 자막이지만, 사운드를 듣기 위해서입니다. 저는 자막까지 끝나야 영화가 끝난 거라 생각하고(바꿔 말하면 엔딩 자막이 흐르는 때는 아직 영화가 끝나지 않은 때라고 생각하고), 엔딩자막에 흐르는 음악이나 여타 사운드들을 가만히 듣고있는 걸 굉장히 좋아합니다. 특히나 너무나 가슴벅찬 영화를 봤을 땐, 자막이 올라가는 동안 테마음악을 들으며(보통 그 영화의 가장 중심되는 테마곡이 엔딩 자막 때 나오는 게 일반적입니다.) 마음을 추스리고 감정의 여운을 되새기는 편이지요. 또 어떤 영화들은 감독이 자막 맨 끝에 보너스 화면을 숨겨놓기도 하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 전 <색, 계>를 봤을 땐, 맨 마지막의 양조위의 표정을 볼 때까지만 해도 그냥 아… 이러고 있다가, 엔딩 자막이 올라가면서 왕치아즈의 테마가 흘러나오는데 바로 그 음악 때문에, 그만 저도 모르게 갑자기 눈물이 치솟기도 하고, 그렇더군요. (그길로 곧장 <색, 계> OST를 사러 갔습니다.) <아메리칸 갱스터>의 맨 끝에 보너스 화면이 있다는 사실을 아시는지요? 덴젤 워싱턴이 화면 앞으로 걸어나와 관객들을 향해 총을 한 방 빵, 쏩니다. 최근 가장 인상적인 엔딩 크레딧의 사운드는 단연 <미스트>였습니다. 자막이 흐르는 동안 흔히 그러듯 음악이 나오는 게 아니라, 계속해서 군대의 움직임 소리가 들립니다. 헬리콥터 날아가는 소리, 탱크가 전진하는 소리, 간간이 총을 쏘거나 폭탄이 터지는 소리… 그게, 5.1채널 서라운드 시스템의 스피커에서 들려나오는데 그 공간감, 사운드 효과감이란, 그리고 배가되는 공포란. <미스트>의 엔딩이 강력한 건, 단순히 내용상의 그 ‘설정’ 때문만이 아니었습니다. 엔딩 타이틀이 올라가던 내내 나오던 그 사운드 효과들이 그 설정을 더욱 강력한 것으로 증폭시키고 있었습니다.


엔딩 타이틀이 흐르기 시작하자마자 벌떡 일어나 나가버리는 관객들을, 저는 별로 탓하지 않습니다. 그네들이 제 시야를 가리는 건 아주 잠깐일 뿐이고, 대체로 그런 사람들이 제가 사운드를 내내 듣고있는 걸 방해할 정도로 큰 소음을 내거나 하지는 않으니까요. 어두운 곳에 갇혀있었던 셈인데 빨리 밖으로 나가고 싶은 마음을 이해 못하는 바도 아니고요. 아니, 전 그렇게 빨리 나가버리는 사람들이 차라리 고맙게 느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나가지도 않고 자리에 앉거나 서서 계속해서 떠들어대는 사람을 볼 때죠. 며칠 전에 일반상영장도 아닌 ‘기자시사회장’에 심지어 ‘두 살 정도 된 아가를 데리고’ 입장했던 어떤 젊은 부부가 그런 식으로, 그 영화를 보며 그 아름다움과 슬픔 때문에 격정에 빠질 뻔한 저를 짜증과 분노로 이끌며 영화에 대한 감상을 제대로 망가뜨려 주었습니다. 심지어 자막이 다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키고 앉아 끝없이 떠들고 계시더군요. 얼마나 그 소리가 컸던지, 제가 바로 옆자리에 있다가 같은 줄의 맨 구석, 통로 저쪽 자리로 옮겨 앉았는데도 다 들릴 정도였습니다. 혹은, 혹시 한동안 엔딩자막 사진으로 찍어 인증샷 올리는 게 유행을 탄 적이 있나요? 타이틀 흐르는데 플래시 터뜨리면서 계속 사진을 찍어대는 사람들을 보고 경악한 적이 있습니다. 아마 하이퍼텍나다였던 것 같은데…


하지만 제겐 엔딩 크레딧을 끝까지 보다가 겪은 아주 아름다운 미담에 대한 기억도 있답니다. 자막이 흐르는 걸 보며 자리에 앉아 눈물을 좀 흘리고 있었던 것 같은데, 자막이 끝나자 저처럼 끝까지 앉아있던, 제 옆에옆의 자리에 앉아있던 커플 관객 중 여자분이 제게 휴지를 건네시더군요. 고맙다고 하면서 그 분과 저는 멋적은, 그러나 암묵의 공범자와 같은 미소를 주고 받았습니다. 벌써 5, 6년 전의 일인데도 아직까지 기억에 남아요.


아마 평소에 자막을 끝까지 보지 않던 사람들도, <색, 계> 같은 영화를 보고 나면 자막이 흐르며 음악이 나오는 동안 자기도 모르게 꼼짝도 못한 채 감정을 추스리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많은 감독들이 자막 끝까지 관객들이 앉아있어줬으면 하는 것도, 영화에 대한 예의니 뭐니 말을 하긴 하지만 실은 그런 것, 그러니까 밀려오는 감동 때문에 일어나지 못하는 상태를 간절히 원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하지만 급하게 나가는 사람들 역시 저마다의 사정이 있을 거예요. 극장 안은 원래 답답하고 공기가 탁하기 마련이기도 하고요. 자막이 다 끝나기 전까지 영화가 아직 안 끝난 거라 생각하지만, 영화가 뭐 그리 대단한 거라고, 모두 다 정좌를 한 채 끝까지 자리를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영화가 끝나기 전에 나가는 건 그 사람들의 자유이고, 그 사람들에게 오히려 제가 나가는 길을 막고 있는 것 같아 미안한 마음도 듭니다. 심지어 저 한 사람 때문에 극장 입구에 계속 서 있는 직원분께 미안하고 민망한 기분이 들기도 하니까요.


하지만 제가 영화를 끝까지 즐길 권리가 ‘심각한 수준으로’까지 방해받는 건 여전히 속상한 일입니다. 과거엔 극장들이 그 권리를 당연하다는 듯 빼앗아 갔는데, 거의 대부분의 극장들이 그 권리를 존중해주고 있는 지금, 좋은 영화를 봐놓고도 오히려 화가 나서 극장을 나오는 일이 생길 때마다 마음이 안 좋습니다. 영화의 엔딩크레딧에 관심이 없는 건 각자의 자유이고 취향이지만, 엔딩크레딧을 끝까지 보는 사람들을 심각하게 방해하지는 말아주세요. 제발…


영진공 노바리

Pearl Jam, AT&T에게 검열당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earl Jam

RSS로 구독하고 있는 PJ News (Pearl Jam의 공식 팬클럽 Ten Club의 뉴스)에서 며칠 전에 들어온 걸 오늘에야 확인했다가 깜짝 놀랐다. 올해의 롤라팔루자를 스폰서링한 AT&T에서 웹캐스팅하던 도중 펄잼이 불렀던 노래 “Daughter”의 가사 일부를 지워버린 것. 펄잼은 Daughter를 부르면서 노래 후반 간주 부분에서 Pink Floyd의 Another Brick in the Wall의 일부를 삽입해 연주했고, 보컬인 에디는 가사 일부를 다음과 같이 바꿔 불렀다고 한다.


    George Bush, leave this world alone.
    George Bush, find yourself another home.


그 리고 이 부분을, AT&T가 웹캐스팅을 하면서 사운드를 지워버린 거다. 공연 당시엔 몰랐던 펄잼은 나중에 팬들로부터 이 이야기를 듣고 텐클럽 게시판에 ‘정중한 사과’와 함께, Daughter 곡 전체 동영상과, 편집된 부분/원래 부분을 나란히 붙인 동영상을 올려놓았다. 또한 이 사태가 예술가로서뿐 아니라 시민으로서 중대한 표현의 자유를 침해받고 검열당했다고 AT&T를 비난하고 있다. 멤버 중 가장 성격이 참하고 얌전한 Mike McCready 아저씨의, ‘한 미국인의 생각’이라는 에세이도 올라왔다. 자신은 자본주의에 찬성하지만 AT&T와 같은 자본주의 기업은 찬성할 수 없으며, 미국의 정신을 떠받치고 있는 중대한 근간이며 수정헌법 제1조가 보장하고 있는 언론,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검열은 있어서는 안 된다는, 조근조근하지만 힘있는 목소리의 항의.


국가권력을 능가하는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자본은 이제 과거 폭압적인 국가권력이 자행하던 ‘검열’을 자신이 스스로 자행한다. 비록 <다이하드 4.0>에선 흘러간 밴드 취급을 받긴 한다만 Pearl Jam은 여전히 슈퍼밴드이며 막강한 영향력과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밴드인데, 그런 밴드도 정치적인 메시지는 이런 식으로 검열을 당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현재 사람들이 국가권력의 검열엔 저항해도 자본의 검열은 당연하게 여기며 오히려 박수치고 응원한다는 사실. 또한, 자기들이 스스로 떼로 일어나 힘을 행사하며 다른 사람의 말을 검열한다는 사실이 떠올라 기분이 더욱 안 좋다. 나는 표현의 자유를 빙자해 다른 이에게 언어폭력과 성적 수치심을 일으키는 폭력을 저지르는 폭력의 자유에는 반대하지만, 여전히 표현의 자유는 소중한 가치이며 지켜야 할 가치라 생각한다. 국가권력이든 자본 권력이든,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막을 순 없다. 당신의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 다른 사람이 같은 권리를 누리는 것을 억압하지 않기를.





Daughter 전곡 연주 동영상





편집된 부분과 원래 부분 대조


영진공 노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