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물결 (Invisible Waves, 2005)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번 본 영화를 두번, 세번 다시 보는 일이 거의 없는 편이지만, 2005년도에는 <라스트 라이프 라스트 러브>와 <이터널 선샤인>을 두번씩 봤었다. (<카페 뤼미에르>도 한번 더 봤어도 좋았을 영화였지만 결국 그러지 않았다) <라스트 라이프 라스트 러브>는 아사노 타다노부의 출연작이기 때문에 보러 간 영화였지만 펜엑 라타나루앙이라는 외우기 힘든 이름의 태국 감독의 존재를 각인시킨 영화가 되었다. 프라우다 윤의 각본이나 크리스토퍼 도일의 영상, 후알람퐁 리딤의 음악도 모두 좋았지만 기존의 영화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이 영화의 새로운 감각은 분명 연출자가 창조해낸 것에 틀림이 없었고 나는 그 세계가 무척이나 마음에 들었다.

<보이지 않는 물결>은 전작에 비해 훨씬 ‘보이지 않는’ 영화다. 정리해보면 비교적 명확한 스토리라인을 갖고 있는 작품이지만 영화는 드라마나 캐릭터에 집중하지 않고 일부러 엉뚱한 주변부로 헤매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분명 최종본 보다 훨씬 많은 장면들을 찍었음에도 불구하고 편집 과정에서 다 들어낸 것이 분명하다. 그 이유는 “지금은 굳이 말하자면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를 찾아가는 과정이다”라는 펜엑 감독의 인터뷰 정도가 유일한 힌트다. <보이지 않는 물결>에 비하면 <라스트 라이프 라스트 러브>는 엄청 친절하고 꼼꼼하고 또한 귀엽기까지 한 영화였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영화 한 편 볼 때마다 매번 명확한 기승전결을 얻어가야 직성이 풀리는 정도만 아니라면, 아직 변화하는 중인 미래의 거장과 현재 시점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오히려 큰 만족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내가 입증된 걸작들의 회고전 보다 개봉작을 먼저 찾게 되는 공식적인 변명이기도 하다. 박물학적 영화 감상 보다는 때로 실패하는 일이 있더라도 발견의 기쁨을 구하는 일이 내겐 더 즐거운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

<연애의 목적>

과거사진상규명위
2006년 8월 31일


1

학습된 무기력

상대에게 부정적이고 고통을 주는 자극을 가하면서 그 자극에서 탈피할 수 있는 길을 차단하면 상대는 도망칠 수 있게 된 후에도 도망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도망치는 것을 포기한다.

2.

“당신 부셔버릴거야”

청춘의 덫에서 심은하가 도전한 대상은 한 남자의 불륜과 배신 때문이 아니라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 되어온 남성중심의 제도였다.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남성중심의 이 공고한 관습과 삶은 부수어져야 하고 또 조금씩 부수어지고 있다. 그리고 조금씩 부수어지는 남근 이데올로기는 “연애의 목적”에서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

3.

“안돼요, 안돼요, 안 돼요, 되요, 되요, 되요…”는 다분히 폭력적인 사고방식이다. 마찬가지로 ‘강한 부정은 긍정이다’는 폭력의 합리화를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인용구이다. 기본적으로 의사에 반하는 행위는 절대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싫다는 홍을 자빠뜨리며 유림은 “5초만 넣었다 빼겠다”고 말하지만 그 다급하고 애절한 외침 뒤에 숨어있는 폭력성은 날카로운 이빨을 들어낸다.

4.

즐겁게 감상한 뒤에 남은 폭력의 잔재가 무섭다.

영화라 대충 해피엔딩이었지 현실에서는 지금도 누군가가 겪고 있는 엄청난 사건이다.

사족 : 이 때 강혜정은 또 얼마나 아름다웠던가?

과거사 폭력 청산위
그럴껄(titop@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