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왕”, 장진 감독의 미완성 복귀작


<퀴즈왕>은 여러모로 장진 감독의 복귀작처럼 느껴진다. 최근작 <거룩한 계보>(2006), <아들>(2007), 그리고 <굿모닝 프레지던트>(2009)는 흥행의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왠지 영화감독 장진의 작품처럼 받아들여지지를 못했던 것 같다. <기막힌 사내들>(1998)로 데뷔한 이후 <간첩 리철진>(1999)과 <킬러들의 수다>(2001), <아는 여자>(2004)와 <박수칠 때 떠나라>(2005)를 통해 확고히 해왔던 새로운 아이디어와 타고난 이야기꾼으로서의 자질이 최근의 영화들과는 그 모양새부터가 왠지 잘 어울리지를 못했다고 생각된다.

데뷔작부터 장진 감독의 영화를 계속 보아온 이들에게는 그의 영화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독특한 재미와 각별함에 대한 애착이 있다. 장진 감독이 아니면 영화화하지 못했을 이야기를 볼 수 있다는 것, 그것도 시종일관 낄낄거리면서 볼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라는 – 장진 감독이 없는 한국영화계는 정확히 17.4% 불행한 거다 – 안도감과 비슷한 감정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퀴즈왕>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장진 감독의 복귀작이라 “할 수도 있었을” 작품이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장진 감독은 지금 영화 연출자로서의 긴장감을 완전히 상실한 상태다. <퀴즈왕>이 바로 그런 상태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라 생각한다. <퀴즈왕>에는 장진 감독의 영화에서 볼 수 있었던 많은 요소들이 고스란히 담겨있기는 하다. 장진 사단이라 할 수 있는 수많은 배우들이 주조연과 단역 출연을 불문하고 떼거리로 몰려나왔고 그 배우들 하나하나가 각자의 맡은 연기를 감칠맛 나게 참 잘도 해낸다.

한 두 명의 주연 배우에게만 집중하지 못하고 작은 배역의 단역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캐릭터를 부여하면서 그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마당극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퀴즈왕>은 확실히 장진 감독의 트레이드 마크를 붙여주기에 충분한 작품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퀴즈왕>이라는 마당극이 하나의 완성된 작품으로서 제대로된 오케스트레이션을 창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일 수 밖에 없다.

캐스팅 자체가 다분히 균형감각을 상실하고 있는 데다가 – 물론 <퀴즈왕>을 통해 올해의 발견이라 할 수 있을 만큼 굉장히 잘된 캐스팅도 몇몇 있기는 하다. 하지만 문제는 전체적인 조화다 – 그런 결과로 인해 영화의 대단원 자체가 허공 위에 붕 뜬 상태로 마무리되고 있다는 것은 한 편의 영화로서 연출의 실패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물론 <퀴즈왕>은 나름 재미있는 영화다. 시네마서비스가 든든하게 받쳐주고 있으니 투자비 회수 쯤이야 크게 걱정할 바가 아닐런지도 모른다. 그러나 <퀴즈왕>은 장진 감독에게서 기대할 수 있는 만큼을 충분하게 보여주는 영화는 분명히 아니다.

기왕 영화감독으로서 자리를 잡은 사람이라면 자기가 잘 할 수 있는 영역 안에서만 머무르려고 하지 말고 아직까지 못해본 새로운 한계점에 도전을 해보든가 아니면 잘 하던 영역에서 확실하게 엑기스를 뽑아내든가 해달라고 주문하고 싶다. 그게 아니면 좋게 기억될 때에 과감히 떠나라고도 하고 싶다. 장진 감독의 각본과 제작 지원을 받아 훨씬 나은 영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신인 감독은 많다.

한가지 기대를 가져볼 수 있는 이유는, <퀴즈왕>은 최근 장진 감독의 영화 같지 않았던 세 편의 영화 이후에 처음 내놓는 터닝 포인트로 남게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물론 앞으로도 계속 이런 식으로 자기 살 파먹는 자세로 간편하게 영화를 만들어 내놓는다면 앞으로 한국 영화계의 막후 실력자가 될 수는 있을지언정 결코 좋은 영화 연출가로서 남게되기는 어려울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퀴즈왕>을 새로운 시작점으로 삼아 다시금 자기 작품 세계를 재구축하는 데에 주어진 시간을 충분하게 쏟아붓는다면 관객들은 <퀴즈왕>을 장진 감독의 복귀가 시작되었던 – 여러모로 아쉬운 점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 이정표로서 기억하게 될 것이다.

장진 감독은 아직 박수 소리가 멈추지 않은 지금 바로 떠나든가 아니면 이제부터라도 영화 연출가로서의 입지를 다시 세워나가라.

영진공 신어지

 

“퀴즈 왕”, 장진의 설계도는 뻔해야 제맛???



결국 설계의 문제야. – 인간이 풀어내야 하는 모든 문제의 귀결

장진 감독은 전직 코메디 작가답게 꽤 재미날 수 있는 상황을 잘 만들어낸다. 뻔히 보이는 것들도 있지만 왜 그렇게 뻔한 상황인데도 피식 웃게 만들어버리는 것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뻔함이 익숙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장진식 코메디(?)의 묘미는 그 ‘설계’에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마치 연극 ‘라이어’ 시리즈가 그런 말장난의 설계에서 놀아나듯, 인간 감정의 부딪힘 보다는 말놀이의 부딪힘이 더 드러난다. 그래서 장진 감독이 일부러 우겨내 만들어낸 감성의 장면들은 그렇게도 어색하기 이를 데 없다.

아쉽지만 지금까지는 그렇다.

1. 날아오는 자살녀의 등장 Scene
이 냥반 정말 낙하하는 여성 좋아하는 것 같은 데 영화 ‘아는 여자’에서도 한 명 낙하 – 이번 영화에서는 류승룡 와이프로 나오는 장영남 배우 – 시키더니 이번에 또 낙하 시킨다.

전혀 섞일리 없는 사람들을 한데 섞기 위한 도구로 ‘강변북로’를 사용하는 데다가 강변북로 여자 귀신 얘기도 아니고 이건 난데 없이 두 시 방향에서 날아드는 투신녀라니 호러물도 아니고 – 심지어 사람이 치이는 데 코믹한 – 악취미도 이런 악취미가 없다.

2. 우울증 온라인 정모 Scene
또 또 나왔는데 영화 ‘아는 여자’에서 은행털이 온라인 정모를 하더니 이번엔 우울증 정모라니! 더군다나 이번엔 온라인 정모에서 일어나는 ‘쌈박질’을 개그 소재로 차용했다.

동시대 젊은이의 일상 코드에서 코믹한 요소로 이끌어내는 데는 확실히 수준급이라는 걸 부정할 수 없다.

 
3. 장진 감독 파출소 Scene
이번에는 그냥 카메오가 아니라 아예 대놓고 한 자리 직접 꿰차고 진행을 하셨는데 역시나 감독으로써 자신이랄까? 연기가 짝짝 감기는 것이 맛깔나게 잘 했다.

강력계 마반장이라니. 등장부터 관객들이 킥킥대고 난리도 아니었지만, 이만큼 감독 얼굴 익숙히 아는 우리 영화도 드물지 싶다.

4. 동치성의 등장 Scene
정재영이 특별출연하는 데 정말 그렇게 과격한 몸놀림(?)을 했는데도 정면 클로즈업 샷을 보기 전까지는 정재영인줄도 몰랐다.

더 재미난 것은 이 캐릭터의 극 중 이름이 ‘동치성’이라는 것이다. 아 이 맛에 장진 감독 영화 보는 거 아니겠는가? 동치성의 재등장이라니. 정말 아름답다 아름다워.

영화의 아쉬운 점 중 하나는 임하룡 배우가 안 나온다는 점이다. 나름 장진의 배우들에 합류해서 나오실 만도 했지 싶은 데 끝까지 출연하지 않았다. 영화 ‘아저씨’에서 노형사 역할 했던 이종필 배우도 잠깐 나왔는데 이 냥반은 얼굴만 봐도 웃겨서 큰일이다. 나름 맛깔나는 배우인데 말이다.

그토록 말놀이를 풀었음에도 기억에 남는 대사하나 없건만, 그나마 이번에 건진 건 ‘장진 감독 영화’에서 눈시울을 적실만한 내용이 나온 점이다. 식물인간으로 누워 있는 송영창의 아내가 눈물을 또르륵 흘리는 장면이나, 송영창이 엉엉 울어대며 병실로 들어가는 장면은 정말 이전 작품에서 보기 힘들 정도의 설정이자 묘사였다.

아 송영창 아저씨. 정말 대단하신 분이다.


영진공 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