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콘서트”, 감동적인 음악 영화의 정석





음악 영화 장르의 특징적인 패턴으로서 주인공이 음악을 연주하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점과 대체로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주인공의 연주회 장면으로 마무리하게 된다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래서 못마땅하다거나 반대로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는 건 아니고 그저 자주 그러고들 있더라는 얘기에 불과하기는 하지만 이를 근거로 올리버 스톤 감독의 <도어스>(1991)나 올해 초에 개봉했던 크리스틴 스튜어트, 다코타 패닝 주연의 <런어웨이스>(2010)와 같은 작품들은 이미 훌륭한 음악 영화이기도 하지만 내러티브상 전기 영화에 좀 더 가깝다고 판단할수 있다.

전기 영화처럼 보였던 <카핑 베토벤>(2006)의 경우 사실은 픽션이었던 작품이었는데 ‘마지막 콘서트’ 이후에도 상당한 러닝타임을 할애하며 드라마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음악 영화의 컨벤션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모습을 추구했던 독특한 경우였다고 할 수 있다.




장르물로서의 음악 영화에서 마지막 연주회 장면은 대체로 하나의 곡 전체가 처음부터 끝까지 연주되면서 그 장면만을 따로 들어낸 비디오클립으로 감상을 해도 좋을 만큼 완결성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어떤 의미에서 대부분의 음악 영화들은 바로 이 마지막 연주 장면을 위해 달려나가고 마침내 화려하게 꽃을 피우는 식의 고유의 형식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그 화려한 꽃봉오리만을 따로 떼어서 보는 것과 2시간의 러닝타임을 할애해서 풀버전의 장편 영화로 보는 방식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 것일까. 마치 한 편의 뮤직비디오처럼 해당 연주 장면만을 따로 보아도 눈과 귀가 충분히 즐거울 수는 있겠지만 아무래도 장편 영화를 통해 보았을 때 그 노래와 그 연주를 하는 이벤트에 어떤 사연이 담겨있는지를 좀 더 알 수 있다고 할까, 그래서 감동의 폭과 깊이는 자연히 다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다.


 



*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영화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얘기만 앞서 늘어놓긴 했지만 <더 콘서트>를 보면서 가장 이야기하고 싶었던 부분이라 어쩔 수가 없다. 이제 앞에서 언급했던 일반론에 맞추어 다시 풀어보자면, <더 콘서트>는 매우 대중적인 타입의 음악 영화이고 그래서 음악 영화의 장르적 패턴을 답습하는 작품이다. 주인공들은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며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아니나 다를까, 유명한 차이코프스키의 콘체르토를 연주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다른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마지막 연주 장면만을 따로 떼어서 보더라도 짧은 감상의 가치는 충분히 있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볼쇼이 교향악단의 올드 멤버들과 지휘자, 그리고 프랑스의 젊은 바이올린 연주자가 파리의 콘서트홀에서 이뤄내는 감동적인 드라마의 맥락을 알지 못하면 이 연주 장면에서 눈시울까지 뜨거워질 일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더 콘서트>는 이 마지막 연주 장면에 준비된 감동의 힘으로 작품 전체의 가치가 로켓처럼 단번에 수직 상승하는 작품인데 그런 감상을 제대로 받길 원한다면 반드시 장편 영화의 형태로 봐주어야만 한다는 얘기다.



결과적으로 <더 콘서트>는 웃음과 감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성공적으로 잡아낸 음악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웃음의 포인트는 주로 싸구려 자본주의 국가로 전락해버린 현재의 러시아에 대한 풍자에서 주로 나오고 있는데, 돈을 주고 사지 않으면 거리 집회에서 사람들을 모을 수가 없는 공산당의 모습이나 볼쇼이 교향악단의 올드 멤버들이 파리까지 갈 수 있도록 스폰서가 되어주는 젊은 석유재벌에 대한 풍자도 재미있고 – 그의 어머니가 “차라리 PSG(파리 생제르망 축구단)을 싸게 사라. 그리고 메시도 사라”고 한다 – 우여곡절 끝에 파리에 도착해서 콘서트 준비 보다는 외화벌이에 정신이 없는 러시아 사람들(유태계라서 더 그런 점도 있긴 하지만)의 모습도 아주 터무니없게 보이지만은 않기 때문에 나름 ‘의미있는 웃음’을 선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중심 인물들의 음악과 삶에 관한 부분에 있어서 만큼은 “음악이라는 감옥에 갇힌 인생”이라는 대사처럼 일반적인 음악 애호의 수준을 뛰어넘는 진지함으로 작품 전체의 균형을 잘 잡아가고 있는 작품이 <더 콘서트>이기도 하다. 거의 광기의 수준에 가까운 음악가의 모습을 자주 영화 속에서 발견하곤 하지만 – 많은 음악 영화들이 그런 세계를 관객들에게 소개하는 일에 집중하곤 한다 – <더 콘서트>의 인물들은 진지한 음악가들의 면모가 세밀하게 묘사되는 것이 아니라서 감정 이입이 그리 쉽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그런 이유로 러닝타임의 대부분을 주인공들의 음악적 열정, 특히 엄청난 무리를 해가면서까지 파리에서 콘서트를 갖고자 하는 동기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으니 그 모든 준비 과정을 상당 부분 남의 일처럼 지켜보게 되는 측면이 있다.



사실은 마지막 연주 장면 중간의 나레이션과 플래쉬백조차도 등장 인물들의 음악적인 열정을 충분하게 묘사해주지는 못한다고 할 수 있다. 그 대신 음악 보다 훨씬 더 보편적일 수 있는 감동을 이끌어내는 데에 성공하고 있는 작품이 <더 콘서트>다. 그것은 다름아닌 30년 전 브레즈네프와 KGB에 의해 무참하게 짓밟혔던 주인공들의 삶이 마침내 복원되는 극적인 순간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코미디가 아니었다면 애초에 볼쇼이 교향악단에서 쫓겨났던 연주자들이 다시 모여 파리에서 콘서트를 하게 된다는 설정 자체가 불가능했겠지만 이런 정도의 드라마라면 코믹한 요소를 제거하고 진지한 접근으로만 일관했더라도 – <타인의 삶>(2006)이 그랬듯이 – 얼마든지 의미있는 성과를 얻어낼 수 있었으리란 생각을 하게 된다.

어쨌든 <더 콘서트>는 대중적인 음악 영화로서 대체로 허허실실하는 코미디 요소를 통해 전개되고 있는 영화이지만 마지막 연주 장면을 통해 놀라운 인간 드라마를 완성해내는 의외의 감동을 전해주는 작품이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