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 단상

 

어버이날 지나고 내려가기엔 애매한 연휴라 지난 주에 미리 고향에 들렀다.

생활비만 드려왔지 변변한 선물 한 번 해드린 적이 – 물론 부모님 생일 때도 – 없어서 이번에는 맥북 판 돈도 좀 있겠다, 무언가 해드려야겠다 생각했다.

교외로 나가 봉성에 있는 숯불 돼지고기 식당에 들러 저녁을 먹었다. 1인분이 500g 인데다가 만원 밖에 안 한다. 더군다나 미리 구워서 나온다. 정말 싸고 맛 좋다.

다시 시내로 차를 몰고 나가면서 후배에게 전화를 했다.

“영주에 거 마사이 족 신발 파는 데 있냐?”
“오거리에서 가고파 극장 가다가 우측에 있어요.”

유명하긴 유명한가 보다. 중소도시에도 하나 있으니.

아버지는 모터싸이클만 내리 10년 넘게 타셨던 이후로 무릎에 바람이 들어서 사다리 – 아직도 사다리 오르내리는 간판장이시니 – 타면 아프시다 하시고,
어머니는 한번 다치신 이후로 걷기만 하셔도 무릎이 아프시다 하시니 늘상 마음에 걸리던 게 이거였다.

‘뭐 한 켤레 돈 십만원 하그찌’

가격은 묻지 마시고 마음에 드는 색깔이나 고르시라고 얘기했다.

이것 저것 신어보시고 걸어도 다녀 보시더니 끝내 주인장에게 가격을 물으신다.

“한 켤레에 이십구만칠천원입니다.”

내심 놀란 건 나다.

‘뭔 신발이 왤케 비싸?’

어머니나 아버지나 묵묵히 신발만 물끄러미 바라보신다.

“아 가격 신경쓰지 마시고 색깔이나 마음에 드는 거 고르시라니께네?”

아버지는 신발 안을 들여다 보면서 ‘Made in China’랑 ‘Made in Vietnam’만 용케 찾아내신다.

어머니는 아버지의 강권으로 핑크색을, 아버지는 그냥 무난한 회색을 고르시고, 결국 두 분 다 한 켤레씩 구입해서 매장을 나왔다.

두 분 평생 3천원 뺀 30만원짜리 신발은 처음 신어 보신 게다.

형 장가갈 때 형수네서 혼수로 해오는 물품도 서민답게 예의만 갖췄지 비싼 거 아니 원하셨던 분들이시다.

물론 나도 30만원짜리 신발은 커녕 신사화도 제일 좋은 게 군용 에스콰이어 보급 단화가 고작이었다.

그런 면에서 이건 일종의 사치였다. 일상에서 신을 신발도 아니고 – 사실 저 마사이 족 신발은 걷기 운동 외에는 좀 불편해 보인다 – 산책하시고 걷기 운동 하실 때 신으시라고 사드린 ‘레저용 신발’이었다.

돌아오는 차 안에서 사거리 신호등에 걸려 멈췄을 때 어머니가 얘기를 꺼내셨다.

“엄마가 너들 메이커 있는 옷도 한 번 못 입혀보고 키우면서 얼마나 미안했는지 아나?”
“아이고 엄마, 다른 애들한테 밑보이지 말라꼬 맨날 깨끗하게 옷 입힐라꼬 고생한 거 내 모르는가? 말이사 바른 말이지, 메이커 한 번 못 입어보고 크는 바람에 나는 ‘메이커’가 뭔지도 모른 채 컸잖는가?”
“그렇나? 엄마도 똑같데이, 엄마도 뭐 메이커를 써 봤어야 메이커를 살 줄 알쟤.”

한바탕 차 안이 웃음으로 가득했다.

사실 그러고 보니 내가 ‘나이키’라는 상표를 인지하기 시작한 건 중학교 들어가고 나서였다. 농구화가 몇 만원 한다는 사실도 내겐 충격이었는데, 우리 엄마는 농구화처럼 생긴 신발을 5천원에 난전에서 구해 오셨기 때문이다.

신발 뿐이던가, 난전표 티셔츠, 난전표 잠바….

집에 돌아와서 참외 하나 깎아 먹고 어머니는 새 신발을 신고 동네 운동을 나가셨다.

그리고 들어오시다가 지퍼가 다 나가 떨어진 내 신발을 보셨다.

“아는 다 떨어진 신발 신기고, 부모란 게 30만원짜리 신발을 사 신네 그려”
“거 2만원짜리 신발 쫌만 신으면 다 닳두만, 올라가서 새로 사 신을 끄여”

오늘도 수업 시간에 ‘브랜드 충성도’니 뭐니 하면서 떠들어 대고 있는 광경을 보면서 지금 내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으려고 발버둥을 치는 건지, 아니면 이 엿 같은 상황을 무시하고 관조하는 건지, 아니면 어느 새 적응하고 사는 건지 헷갈리기 시작했다.

여자들끼리 모임에 ‘명품’ 하나 정도 꿰 차고 나가야 쫌 있어 보이는 사회.

남자들 패션에 ‘명품’ 하나 쯤 걸쳐야 ‘패션 감각’이나 ‘센스’가 있어 보이는 사회.

그나마 위안인 것은 내가 ‘부모님께 명품 하나 장만해 드려야지’라는 마음이 아니라 부모님 무릎 아프시고 허리 아프실까 부담 좀 줄여 드리려 ‘기능’으로 신발을 골랐다는 점일 게다. 그렇기에 사실 지불 능력이 있어서 ‘뭔 신발이 이리 비싸’ 생각은 했어도 ‘돈 아깝다’는 생각 따윈 들지도 않았다.

평생 보세는 커녕 시장 난전에 널린 옷 가지나 사 입어 오던 가족.

1년 내내 쇠고기는 커녕 돼지고기 한 번 먹을까 말까 했던 가족.

난 서울 사는 고모네가 우리 가족 올라올 때마다 돼지고기를 구워 주길래 되게 잘 사는 줄 알았다. 물론 우리 집 보다야 잘 살았지만.

서울 와서 벼래 별 짓 다 하면서 부모님 생활비까지 챙겨도 1년은 커녕 1주일에 몇 번씩 고기를 먹게 되는 상황을 보면서 기가 막혔다.

왜 우리나라는 ‘지방’에서 우리 부모님 모시고, 1주일에 한 번 외식도 하고, 고기도 구워먹으면서 여유있게 살기 어려운 걸까?

아니, 왜 그렇게 사는 방법을 억지로라도 막는 걸까?

기회비용이라는 게 있어서, 내가 아직 고향에 살았더라면. 아직까지도 취업은 커녕 공사판에서 노가다나 뛰고 있었을 게다.

서울로 올라와 돈은 조금 더 벌었을 지언정.

부모님께 뭐 제대로 해드린 것 하나 없다.

지방 어딜 가나 듣는 이야기.

‘누구네 아는 서울 가서 돈 잘 벌고 있댜’

도대체 누가 자식키워 서울, 뉴욕 보내려 뒷바라지만 하는 세상을 만든 건가?

기회비용이고 나발이고.

난 우리 부모가 반평생 고생하시며 날 키워주신만큼, 조금 더 편안한 노후를 보내시도록 내가 노력하고 싶다.

그저 1년에 몇 번 고향에 내려가는 게 아닌.

고향에서도 어렵지 않게 취업해, 부모님 옆에서 돌봐드리며 월급 받아 가족이 즐겁게 웃으며 살면 그 보다 더 나은 삶이 어디 있겠는가?

무한 경쟁이니, 시장 원리니.

그토록 자기 가치를 높이는 것과 그 돈으로 명품을 비롯해 자기 치장을 하는 것과.

가족끼리 작은 차에 모여 앉아 웃으며 저녁 나들이 할 수 있는 삶과.

어느 것을 택하겠는가?

극단적인 선택이라고? 마음은 후자가 그립지만 현실은 전자가 아니냐고?

씨바 ‘민주주의’ 사회라면 후자를 이룰 수 있게 대다수가 ‘노력’해야 하는 거 아닌가?

비싼 신발을 온천이나 – 내 고향 영주에는 시에서 관리하는 온천이 있다. 목욕탕 정도로 싸다 – 공공장소에 두면 사람들이 가져갈까봐 고민하는 어머니께 결국 한 마디 했다.

“아 잃어버리면 또 사면 되잖는가?”
“그럼 아깝잖냐?”
“아 뭐가 그리 아까운가, 원래부터 없던 건데, 생겨서 잠깐이라도 즐거웠으면 됐지 비싸든 싸든 다 똑같이 발에 신고 다니는 건데, 잃어버렸다고, 누가 훔쳐갔다고 발만 동동 구르면 내 속만 타지 훔쳐간 놈 속이 타는가? 거 엄마가 불공을 그리 들였으면 법정 스님 ‘무소유’ 정도는 생각해야되잖는가?”
“그래도 아들이 사준 건데 아깝지.”
“아 거참 아들이 또 사준다니께네?”

자본주의를 치장하는 것은 욕심에 대한 허용이고.

자본주의의 폐해를 막는 방법은 과욕에 대한 제재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생각있는 사람들의 연대다.


영진공 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