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홍규의 “이슬람 정육점”, 일상에 함몰되지 않는 날카로운 시선과 유머


여러모로 작가의 전작 ‘귀신의 시대’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한권짜리 장편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서너권 이상 되는 대하소설에서나 나올법하게 수많은 사연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잔뜩 등장한다는 점도 그렇고, 어떠한 지형(귀신의 시대에서는 노령산맥, 이슬람 정육점에서는 한남동)을 중심으로 등장인물들의 역사, 지리적인 삶을 짚어 나가는 것 또한 그러하다.

시점을 알 수 없는 훗날의 내가 ‘어린날의 나’가 되어, 1인칭 작가시점도 전지적 작가시점도 아닌 묘한 시점에서 이야기를 묘사해 나가는 것도 그러하다.

묘사력과 익살, 사안을 바라보는 통찰력은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뛰어나다.

‘사람의 신화’에서 ‘귀신의 시대’를 거쳐, ‘봉섭이 가라사대’까지 오는 동안 마술적인 차용은 줄어들고, 어두운 묘사는 줄어들며, 유머는 점점 증폭되어가고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되는데, 이 작품또한 그 연장선 상에 서 있다고 본다. 거의 모든 작품의 무대였던 ‘노령산맥’에서 ‘한남동’으로 옮겨왔기 때문일가. 약간 아쉬운 것은 이번 작품은 전작에 비해 좀 더 철학적이 되었고, 좀 더 인위적이 되었고, 좀 더 설명적인 듯하다는 느낌이다.

주인공 소년의 사유가 너무 깊은 나머지 소설과 철학적 사유가 따로 읽히는 듯한 느낌이 조금 있다.

인물의 얼굴을 스크랩하고, 그 스크랩으로 세계지도를 만드는 것은 지나치게 illustrative하다는 생각도 조금 들었고, 안나 아주머니를 필두로 한 그 사람들이 돼지도축 여행을 떠나는 것 또한 너무 상징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심지어 나중에 ‘총상’과 관련된 얘기가 나올 때는, 그것을 읽으면서 상상되는 ‘그 사건’을 ‘직접 언급’해버리는 것이 아닐까 하며 적잖이 걱정마저 되었다. (다행이 추측만 할 수 있게 하지, 언급을 직접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내가 소설에서’아쉽다’는 ‘완벽을 기대했던 작품’에서 약간의 트집잡고 싶은 것을 발견하는데서 오는 감정이지, 영 아닌 작품에서 느끼는 것이 아니다. 동시대 여타 작품에서 느낄 수 없는 생생한 기와, 기질과 생명력이 있다.

손홍규는 정말 보석같은 작가다.

문단에서만 보석같은 존재가 아니라, 우리 세대에 있어서의 보석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전작들에서 경계세대인 우리가 할 수 있는 경험을 그 어느 쪽이든 다 풍부하게 직접해보고, 역사와 생활을 씨실과 날줄로 엮어 유머가 넘치는 이야기로 만들어내는 재주 때문에 그를 보석같다고 생각했다면, 이번 작품에서는 ‘우리세대에 이런 철학과 이런 문제의식과 이런 시선을 가지고 있는 것’ 자체에 감사하고, 예전에 생각했던 것 보다 더 훨씬 우리 세대에 소중한 존재라고 생각하게 된다.

사람을 쉽게 용서하게 만드는 세월 속에서 나는 얼마나 경주마 같이 좁은 시야로 세상을 바라보며, 일천한 상상력으로 ‘나의 이야기’를 하는가.

일상에 함몰되지 않는, 징징거리지 않는, 날카로운 시선과 유머를 잃지 않는 손홍규.

개그콘서트 식으로 말하자면, ‘손홍규 포레버’다.

영진공 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