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소녀적 감성의 성장과 탐험



<오만과 편견>(2005), <어톤먼트>(2007), <솔로이스트>(2009)에 이은 조 라이트 감독의 네번째 장편 영화다. 시대극과 드라마로 알려진 감독이신데 갑자기 16살 나이의 소녀 살인병기가 등장하는 총기 액션물이라니, 그러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어쩔 수 없이 의아하다는 생각을 갖고 대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조 라이트 감독이라면 이런 류의 영화를 과연 어떤 방식으로 풀어냈을런지 궁금했던 적이 있었다면 <한나>는 바로 그런 궁금증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물론 그런 궁금증 해소만을 목적으로 우리가 영화를 보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 치명적인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작품의 기본 설정과 줄거리의 신선도라는 측면에서는 그리 높은 점수를 줄 수가 없는 영화다. 신비로우면서도 무시무시한 능력의 소유자 한나는 과연 어떤 출생의 비밀을 갖고 있는 것인지를 붙들고 달려보는 것이 내러티브의 기본 골격인데 주인공 한나가 “DNA 조작으로 살인병기를 만들어내고자 했던 CIA의 실험으로 태어났고 모든 실험 결과가 폐기되는 참극 속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이”였다는 대목은 아무런 감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사실은 이런 한나의 출생 배경 자체가 더 이상 새롭지도 않은 너무 흔한 설정이라서가 아니라 조 라이트 감독의 연출이 이런 막후 배경이 영화 마지막 부분에 가서야 드러나는 순간에 대해 그다지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영화를 이끌어가는 세 명의 주인공, 소녀 한나(시얼샤 로넌)와 그녀의 혹독한 아버지 역할을 해온 에릭(에릭 바나), 그리고 두 사람과 오랜 악연을 피로 매듭짓고자 하는 CIA 간부 마리사(케이트 윈슬렛)의 얽히고 섥힌 관계는 영화 후반부의 어느 시점에서야 갑자기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영화가 진행되는 동안 충분히 암시되고 있는 편이다.


조 라이트 감독이 방점을 두고 있는 것은 스릴러의 창출이나 액션 씨퀀스의 스펙타클함이 아니라 마침내 세상 밖으로 나온 어느 소녀의 감정을 탐험하는 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핀란드의 설원에서 시작하는 영화는 한나가 CIA에 의해 발견되는 순간 북아프리카의 사막 지대로 이동한 이후 스페인을 거쳐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인류 문명의 발전 과정을 밟아나가는 모습을 띄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한나는 추격자들을 따돌리기도 하고 때로는 격렬한 육박전을 치르기도 하지만 감독의 관심은 그런 액션 활극의 전시 보다 백지장과도 같았던 소녀의 감정이 다른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서서히 채색이 되어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다뤄보는 쪽에 있었다는 얘기다.

결과적으로 시얼샤 로넌이 소녀 살인병기로 등장하는 흥미진진한 설정의 액션 영화 <한나>는 조 라이트 감독에 의해 액션물로서는 다소 지루한 편이기는 하되 만일 속편이 제작된다면 – 그때는 좀 더 액션물에 정통한 다른 연출자가 맡아야 상업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겠지만 – 그 시리즈의 첫 시작으로서는 그리 나쁘지만은 않은 작품이 되었다.

언젠가 <한나>의 속편이 만들어질 경우를 대비해서 한 말씀 남기자면, 최근 액션 영화의 대세는 단연 ‘압도적인 주인공의 능력’이다. 제이슨 본 시리즈와는 다른 영화가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이 <한나>에 묻어나고 있는 걸 보면 더욱 답답하다는 생각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우리 한나도 제이슨 본처럼 좀 더 화끈한 캐릭터로 만들어주면 안되나? 대부분 관객들이 보고 싶었던 한나의 모습은 바로 그런 부분이었을 것임에 틀림 없다. 좀 더 대담하고 강력한 모습의 20대 한나를 속편에서 다시 볼 수 있게 된다면 이번 <한나>의 비기닝은 썩 괜찮았던 출발점으로 기억될 것이란 얘기다.


영진공 신어지


 


 

“러블리 본즈”, 피터 잭슨에게 영화다양성을 허하라


개인적으로 피터 잭슨 감독의 팬이냐고 물으신다면 뭐 꼭 그렇지도 않다는 쪽이다. <반지의 제왕> 보다 <매트릭스>가 더 좋다는 사람들이 대체로 그렇듯이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개봉했던 3부작 영화들을 꼬박꼬박 보러가기는 했으되 시간 가는 줄을 모를 정도로 영화 속에 흠뻑 빠져들었던 것이 아니라 솔직히 엉덩이가 좀 아파서 아 이젠 그노무 작별 인사 좀 그만 하시지? 뭐 이런 기분이었으니까. 그래서인지 뒤늦게 피터 잭슨 감독 팬덤에 줄을 서서 <고무인간의 최후>(1987)나 <데드 얼라이브>(1992)를 굳이 챙겨보거나 하지는 않고 있다.

그렇다고 내가 감히 뉴질랜드 영화 산업의 자랑스러운 큰 형님이 되신 감독의 역량을 평가절하 하겠다는 뜻은 아니다. 당시만 해도 누가 감히 <반지의 제왕>을 3부작의 형태로 기획하고 연출할 생각을 했겠는가. 그리고 그처럼 완전한 형태로 대서사시를 만들어낼 수 있었겠는가.

인간의 탐욕이 그러하듯 절대 사라지지 않는 저 반지 ...

차기작이었던 <킹콩>(2005)은 피터 잭슨의 대범한 스케일과 연출 역량이 탁월함을 다시 한번 입증해준 작품이었다고 생각한다 – 아울러 나오미 왓츠의 캐스팅에 개인적으로 무척 감사할 따름이다. <디스트릭트 9>(2009)도 피터 잭슨의 손을 거쳐 탄생하지 않았던가.

하지만 이견을 달기 어려울 만큼 영화를 잘 만드는 것과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일은 여전히 별개의 문제다. 피터 잭슨은 한마디로 감히 딴지를 걸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한 영화를 만들어내는 감독이지만 관객으로서의 내 취향에 아주 딱 맞아떨어지는 영화를 만들어주는 감독도 아닌 부류다.

특정 감독에 대해 절대적인 신뢰나 애착을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은 다른 한편으로 그의 새로운 영화들에 대해 어느 정도 객관적인 입장에서 – 과도한 기대나 그에 따른 반대급부로서의 실망도 없이 – 봐줄 수 있다는 뜻이 되지 않나 싶다.

<러블리 본즈>는 분명 우리가 아는 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들과는 내용이나 스타일면에서 상당히 다른 작품이다. <반지의 제왕> 3부작과 <킹콩>이 피터 잭슨 영화의 전부라고 알고 있는 관객이 그 이름만 보고 선택했다면 우선 내용면에서 재미없어할 가능성이 높고,

그리 많지 않은 감독의 전작들 가운데 <천상의 피조물>(1994)과 같은 영화까지 봐두었던 관객이라면 이 감독이 갖고 있는 취향의 다양성에 관한 준비가 되어 있었으니 그나마 당황하는 일 없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러블리 본즈>는 이웃집 남자에게 유괴 살인을 당한 14세 소녀의 사후 세계를 판타지 형태로 펼쳐보이는 작품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성이 강한 – 피터 잭슨이라는 알려진 브랜드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 영화라 할 수 있고 앨리스 시볼드의 2002년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피터 잭슨이 직접 영화화 판권을 매입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한 작품이다.

피터 잭슨이 무슨 생각으로 이와 같은 비상업적인 선택을 했는지는 알기 힘들지만 어찌되었건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 – 상업적인 성공이 보장된 것 – 보다 진정 하고 싶거나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 바를 실천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크랭크인 사흘 전에 주연급 남자배우가 급히 교체(마크 왈버그의 배역은 원래 라이언 고슬링이 캐스팅되었었다)되는 와중에서도 피터 잭슨은 이 까다롭기 그지 없는 원작 소설의 영화화 프로젝트를 기술적인 완성도에 있어 만큼은 손색이 없는 작품으로 완성해냈다.

미국 내 유괴 살인 사건들을 소재로 하는 영화들은 많았지만 죽음 이후의 이야기를 죽은 피해자의 시각에서 다루는 작품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사회성과 판타지가 공존하는 이런 이야기야 말로 피터 잭슨과 같은 감독이 아니고서는 감히 시작할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이란 생각을 한다. <러블리 본즈>는 사후 세계를 묘사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스케일을 과시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억울하게 생을 마쳐야만 했던 어린 소녀의 안타까움과 사랑하는 가족을 잃어버린 이들의 상실감을 성공적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사후 세계와 현실 세계의 이벤트들이 절묘하게 결합되는 부분들은 <러블리 본즈> 전반을 아우르는 묘미라고 할 수 있고 피터 잭슨 감독의 연출력을 입증하는 요소라고 하겠다. 여기에 수지(시얼샤 로넌)의 동생(로즈 맥키버)이 물증을 얻기 위해 살인자의 집 안에 침입하는 시퀀스는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서스펜스를 전달하기도 한다.

피터 잭슨의 전작들과는 경향 자체가 다른 작품이기 때문에 기대했던 만큼의 재미가 없었다는 평에 대해서는 이견을 달기 힘들다. 하지만 피터 잭슨이 발로 연출을 했다는 식의 일부 폄하하는 목소리에 대해서는 절대 동의할 수가 없다. 관객의 입맛을 사로잡는 일 역시 연출의 일부분이긴 하지만 연출력과 취향은 분별을 해두는 편이 맞다 – 발연출로 만든 영화를 좋게 보고 온 사람들은 그럼 눈이 삐어서 좋았다는 것이겠는가.

<러블리 본즈>는 아주 재미있는 영화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기술적인 완성도나 영화가 담고 있는 정서적 울림의 수준을 볼 때 시간을 들여 감상해볼 만한 가치가 충분한 작품이다. 일부 관객들은 의외의 감동을 얻을 수 있다고 확신까지 한다. 개인적으로 막내 동생(크리스챤 토마스 애쉬데일)이 죽은 누나를 봤다며 아버지와 서로 위로하는 장면에서는 눈물을 감추기 어려웠다. 수지의 소녀적 감성에 감정이입을 할 수 있다면 살아남은 자로서 주어진 삶에 대해 다시 한번 감사할 수 있으리라.

일찌감치 범인이 누구인지를 알려주기 때문에 훌륭한 스릴러 영화로서는 자리매김하기를 포기했던 작품이 되었지만 언제나 감초 같은 조연으로 많은 영화들에 출연해왔던 스탠리 투치가 <러블리 본즈>에서 발군의 연기를 보여준다. 영화가 끝날 때까지 스탠리 투치인줄 모르고 피터 스토메이어 닮긴 했는데 좀 다른 것 같다라고 생각만 했을 정도로 분장이나 연기력이 훌륭했다.

수지의 외할머니로 등장하는 수잔 서랜든은 등장 인물들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극의 분위기를 이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수녀나 이상적인 어머니 같은 역할도 좋지만 <19번째 남자>(1988)나 <하얀 궁전>(1990)에서와 같은 캐릭터를 연기할 때 수잔 서랜든은 반짝반짝하곤 한다. 그리고 쇼핑몰 사진관에서 피터 잭슨 감독이 카메오로 등장하기도 한다.

시얼샤 로넌과 감독 피터 잭슨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