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최고의 영화 (1): 벙찌는 대사 大賞


올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며 2010년의 영화를 정리하는 기분으로 몇몇 부문의 상을 정해보려고 한다. 그 첫 번째 부문은 바로 “최고의 벙찌는 대사” 상.

그 영예의 수상작은 <아저씨>, 물론 해당 대사를 읇은 이는 원빈 님하 되시겠다.
그럼 문제의 대사는 뭐시냐? 그걸 지금부터 설명드리고자 한다.
 

-= IMAGE 1 =-
뭐? 내가 무슨 상?

영화 <아저씨>는 일상적인 형사와 마약 범죄자들간의 쫒고 쫒기는 전쟁으로 시작한다. 그러다가 누군가 마약을 빼돌리고, 그 마약이 범죄자들도, 형사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 한 인물, 차태식(원빈)에게 연결되면서 모든 것이 예상을 벗어나 굴러가기 시작한다.

그런 면에서 이 주인공은 애초부터 주변사람들을 벙찌게 하는 존재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영화의 영어 제목은 [A Man from nowhere]인데, 번역하자면 <어디선가 갑자기 툭 튀어나온 놈> (줄여서 ‘갑툭튀’)라 하겠다. 실제로 이 영화의 설정은 전형적인 액션영화, 예를 들어 <다이하드>와 비슷한 구석이 있는데, 주인공이 원래 계획을 어그러지게 만드는 ‘의외의 요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어? 얘가 왜 여깄어 …

실제로 이 영화에서 차태식을 묘사하는 말들은 전부 ‘갑툭튀’를 내포한다. 태국 용병 ‘람로완’은 그를 “He looks different” 라고 한다. 처음 차태식을 조사한 형사는 “어디서 갑자기 튀어나온 놈인데… 기록이 없어!” 라고 한다. 말 그대로 갑툭튀 되시겠다. 모두 그가 의외의 인물이라는 걸 알지만, 그 의외성이 어떤 파괴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깨닫는 사람은 아주 적다.

특히 그의 의외성에 희생되는 자들은 특히나 그걸 너무 뒤늦게 깨닫고, 그래서 이 갑툭튀의 파괴력이 빛을 발한다. 바로 이 갑툭튀스러움이 이 영화에서 ‘원빈의 휘황한 광채’ 를 제외해도 재미를 보장한다. 물론 그 외에도 이 영화가 초반부에는 차분하게 정서를 절제하다가 후반부 클라이맥스에서 제대로 터트려주는, 온도조절에 성공했다는 점도 매우 큰 요소라 하겠다.


아, 람로완(타나용) …

차태식의 갑툭튀 스러움은 특히 대사에서 잘 드러난다. 이건 사실 감독의 절묘한 트릭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 원빈의 대사처리가 부자연스러운건지 대사 자체가 부자연스러운건지, 혹은 설정상 그게 당연하고 자연스러운건지 참으로 모호하게 처리되어 있다.

나는 세 번째로 봐도 좋다는 입장이다. 즉, 차태식은 원래 이상한 인간인 것이다(딴걸 다 떠나서 생긴 걸 봐라…). 그는 형사들의 세계에도 속하지 않고, 악당들의 세계에도 속하지 않으면서도 둘 다를 압도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존재. 이해하기 어려운 가치관과 행동방식을 가진 ‘갑툭튀’ 그 자체이며 그 갑툭튀스러운 기운이 대사를 통해 스물스물 기어나오기에 아무리 원빈이 어색하게 대사를 읇어도 그럴듯해 보이는 거다.

도대체 어떤 대사가 그러하느냐고?

전당포에 찾아온 동생 악당에게 “전당포는 하루 지나도 한달 이자 받는다…” 를 읇는 것도 매우 갑툭튀 스럽고, 유명한 “너희는 내일만 보고 살지? 내일만 사는 놈은 오늘만 사는 놈에게 죽는다 …” 도 갑툭튀스럽다.

하지만 차태식이 내뱉는 뜬금없는 갑툭튀스러운 대사의 압권이자 본 영화를 ‘올해 최고의 벙찌는 대사’ 수상작으로 결정할 수 밖에 없었던 바로 그 결정적인 대사는 그것이 아니다.



문제의 대사는 바로 2010년 한국영화, 아니 한국 영화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액션신이라고 해도 좋을 터키탕 액션 직전에 나온다.

형 악당이 차태식을 한껏 조롱한 다음, 무릎꿇고 질질짜고 있던 차태식이 일어나더니 조용히 이렇게 묻는 것이다.

“충치가 몇 개냐?”

아, 이 어찌 2010년 최고의 뜬금없는 대사가 아니라 하겠나!! 당연히 영화 속 악당들도 벙찌고, 관객들도 벙찐다. 다들 너무 벙쪄서 그 대사 다음에 오는 “금니빨 빼고, 모조리 씹어먹어줄게” 라는 어색한 문장도 그냥 넘어갈 정도로 … 나쁘게 보자면 빵꾸를 더 큰 빵꾸로 메꾸는 어느 나라 대통령 같기도 하다.

그러나 좋게 보자면 원래 차태식이 좀 그런 인간이라는 설정에도 잘 어울린다. 특히 차태식의 보직이 섬멸조이자 훈련교관이었다는 설정을 고려하면 이게 더 그럴듯하다. 딴 데는 몰라도 교관이라면 이런 성격이 딱이거든.


충치가 몇개냐고 …

군대 경험이 있는 독자라면 훈련소에서 저런 교관을 만났다고 상상해보시라. 이게 얼마나 살 떨리는 일인지 좀 감이 잡힐 것이다. 겁주고 욕하는 교관은 그래도 상식선에서 무섭고, 상식선에서 조심하면 되는 인간들이다. 하지만 도대체 뭔 생각을 하는지 알 수가 없고 맨날 어딘가 사차원 같은 소리만 하는 교관이 있다면, 그런데 그 인간의 손에 내 운명이 달려있다면 그거야말로 진짜 공포다.

그가 무서운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그 인간은 예측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교관들이 표정을 감추고, 모자로 눈빛도 감추는 이유는 훈련생들에게 바로 그런 의외성에서 오는 두려움을 이용하기 위해서가 아닌가.


방금 전에 충치 찾던 애가 이러고 있다 … 얼마나 무섭냐.

고로 이 대사 “충치가 몇 개냐?” 라는 짧은 문장에는 의외로 다양한 층위의 맥락과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것은 미시적으로는 차태식의 사차원스러움을 배경으로 깔고 있으며, 그 사차원 차태식의 사차원스러운 분노를 표현한다.

그리고 중시적으로는 영화 전체의 긴장감이 폭발직전에 이른 순간, 주인공과 악당이 서로의 빈틈을 노리는 바로 그 순간에 푸드득 날아가는 새가 지린 똥오줌처럼, 순간의 방심을 유도함으로써 모든 긴장을 폭발시켜버리는 방아쇠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거시적으로는 관객들에게 끝까지 사차원스러운 차태식이란 인물을 던져줌으로써 캐릭터의 일관성과 신비스러움을 최대화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니 이 대사야 말로,
2010년 최고의 벙찌는 대사상 수상작으로 부족함이 없다 하겠다.



김비서가 룸살롱에, 유인나는 어쩌고?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