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 인 어 홀”, The road of down in a hole (EP)




[ 2006, 한국, WASP/DNC ]

“제노사이드”, “싸일런트 아이”, 등을 거친 보컬리스트 “서준희”가 2003년 결성한 밴드 “다운 인 어 홀 (Down In A Hole)”은 밴드 이름(Alice In Chains의 곡명)에서 느낄 수 있는 것처럼 그가 꾸준히 해왔던 블랙-데쓰 계열의 음악과는 조금 다른 모양새를 가지고 있다. DIAH의 데뷔 음반은 잘 짜여진 악곡에도 불구하고 급하게 녹음한 티가 나는, 잘 만들고도 아쉬운 음반이었다. 이후 “수요예술무대”와 같은 오버그라운드 무대까지 넘보던 밴드는 어느날 자취를 감추었고 잊혀진 이름이 되어버렸다.

이후 DIAH의 주인격인 서준희는 홍대 앞 클럽 “WASP”의 주인장으로 변신, 홍대 앞에서 점점 지분을 잃어가는 메탈 계열 밴드들의 아지트를 제공하기도 했다. DIAH은 이제 사라졌다고 생각할 무렵인 2006년 벽두에 튀어나온 이 음반은 “참 잘했어요” 도장을 꽉 찍어주고 싶은 음반이다.

기타리스트 “이동규”와 보컬이자 주인장 서준희를 제외한 모든 멤버가 교체된 상황에서 발표된 새 EP는 과거와 거의 단절에 가까운 파격적인 변신을 들려준다. 데뷔 음반에서 “CInderella”의 곡을 커버한 것이 우연한 선택이 아니었음을 느낄 수 있는 미국적인 멜로디와 서준희 특유의 개성넘치는 보컬이 적절히 결합되어있다.

이 음반은 1년여 동안 띠엄띠엄 녹음한 5곡(1집에 수록되었던 「Elegy」의 재녹음을 포함)의 모음집 성격이기 때문에 완전한 일관성을 기대하긴 어렵다. 대신 전반적으로 밴드가 추구하는 바가 깊이있는 멜로디와 세련된 악곡을 추구한다는 사실 하나만큼은 분명히 짚어진다.


끈끈하게 늘어지는 보컬에서 그로울, 샤우트, 팔세토까지 다양하게 해내는 서준희의 보컬은 정말 개성있다. 그리고 이런 팔색조 보컬들은 대부분 비슷하게 화려한 기타연주와 잘 어울리는데, 특이하게도 서준희는 묵직한 기타들과 더 성공적인 조화를 이뤄내는 것 같다. 그렇게 보면 이대의 DIAH은 싸일런트 아이 1집 이후, 가장 그의 목소리에 잘 어울리는 밴드인 셈이다.

DIAH의 새 EP는 흔히 Alternative Metal이라고 분류되는 음악과 기본적으로 비슷한 성격이다. 그러나 그 동네 음악 특유의 뭔가 메탈도 아니고 그런지도 아닌 허전함 따위는 기대하지 마시라. 밴드의 핵심이 되는 두 멤버의 연륜이 반영된 듯, 리프와 톤에 있어서 톱니바퀴처럼 꽉 짜여진 음악이니까.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이라면 좋은 연주임에도 좀 더 맺고 끊음이 확실했으면 싶은 드럼 플레이인데, 이 부분은 연주력의 문제라기 보다 취향(내가 워낙 딱딱 끊어지는 분절음을 선호한다)이기 때문에 이를 음반에 있어 문제로 제기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그리고 심벌웍은 아주 빼어나다.

앨리스 인 체인스를 좋아했던 팬이라면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음반이고, 앨리스 인 체인스를 모르더라도 굴곡이 심한 리프와 시시각각 변화하는 보컬을 좋아한다면 강하게 추천하고픈 음반이다.


영진공 헤비죠

“Alone Again”, 임달균 퀸텟이 펼쳐내는 최선의 비밥





[ 2005, 한국, Take one/유니버설 ]

한국 대중음악계 거의가 그러하듯, 재즈계 역시 그 쬐끄만 영역 안에서도 편식이 심각하다. 퓨전에 대한 어마어마한 집착에 비해 모던 재즈, 그 중에서도 비밥 성향의 음악인을 찾기란 참으로 힘들다. 여기서 잠깐, 비밥이 194,50년대 재즈 아닌가라고 이야기한다면 트로트는 일제 강점기의 음악 아니었냐고 반문하고 싶어지니 이 얘긴 담 기회로 미룬다.

오늘 내가 꺼내 듣고 있는 색소폰 주자 임달균의 첫 번째 독집 음반은 한국 재즈계에서 참으로 만나기 힘든 비밥 성향의 음반이다. 나의 비밥에 대한 개념은 Charlie Parker나 초기 John Coltrane이 아니라 Sonny Rollins를 통해 틀 지워졌다는 걸 생각한다면, 이 음반은 한참이나 비밥의 박력(?!)에서 멀리 떨어져있다. 그럼에도 정석적인 스윙 위에서 잘게 나눠진 코드를 피아노(임미정), 색소폰(임달균), 트럼펫(Darren Barrett)이 교차하고 협주하는 모습은 기본적으로 비밥의 그것이다.

어쩌면 비밥은 그 구성원리 – 쿨/모달 재즈의 창조적인 음의 나열에 비해 코드의 나열이라는 단순한(?크억!) 전통방식으로 조제되야 맛이 난다는 점 – 부터 현대의 젊은 연주인들과 멀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음반은 모달에 비해 훨씬 심플해 보이는 비밥이 연주인과 달리 청취자 사이에선 꾸준히 사랑받는 아이템인 것인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아닌가? 아님 말구. 어쨌건 난 비밥이 좋더란 말이지!!!) 아예 이 음반은 전반적으로 코드와 코드 사이에 과다한 테크닉을 줄이고 순수한 음을 나열하여 비밥의 심플한 맛을 강조한다.

임달균은 호쾌한 블로잉 보다는 섬세하고 멜로디에 집착하는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그것이 오히려 이정식(비밥 스타일의 음반을 몇 장 발표했고 상당한 수준이었다)의 너무나 강렬해서 때로 다른 파트를 주눅들게 하는 연주에 비해 훨씬 부드러운 이미지를 갖는다.

독집 음반(2003)에서 피아노 트리오를 중심으로 부드러운 쿨 재즈를 선보였던 임미정의 피아노는 그래서 임달균의 연주 성향과 상당히 조화롭다. Darren Barrett의 트럼펫은 리더인 임달균을 체이싱(Chasing)하는 수준을 넘어 때로 긴 솔로의 중심을 잡아주는데, 요런 대목에서 이름값 톡톡히 한다고 말할 수 있다.(혹, 이름값 때문에 그렇게 들리는 건가…. –;)

전반적으로 최고의 음반이라기 보다 최선의 음반이다. 이 말은 이 음반의 질이 낮다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재즈 상황에서 음반으로 만날 수 있는 최선의 비밥이란 얘기다. 몇 해 전 여름이었던 것 같은데, 그는 무대에서 Sonny Rollins의 곡을 연주했었다. 사실 (재즈에 젬병인)나는 임달균이 누구의 곡이라고 말하지 않았다면 전혀 상상하지 못했을 정도의 매끄러운 스타일로 그 곡을 소화했던 것이다.

그리고 난 노란색 커버가 있는 음반은 이상하게 좋게 들린다. Coleman Hawkins에서 Stryper를 지나 P-Type에 이르기까지 …… ^^;;;


영진공 헤비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