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트 가드너”, 생명 위에 군림하려는 제약회사의 탐욕








* 감독: 페르난도 메이렐레스
* 출연: 랄프 파인즈, 레이첼 와이즈, 위베르 쿤드 

이 영화 (원제: Constant Gardener, 2005)는 인권 운동가인 케사(“레이첼 와이즈”)와 외교관 저스틴(“랄프 파인즈”)을 통해 케냐라는 빈국의 현실과 이를 이용해 먹는 제약회사의 비도덕적 임상실험을 다큐멘터리적인 자세를 취하며 관객들에게 고발하고 있다.

영화에 등장하는 ‘쓰리비’ 라는 제약회사는 겉으로는 케냐의 빈민들에게 약을 무상 제공하며 선행으로 포장하고 있지만 뒤로는 신약 개발의 효능을 위한 불법적 임상실험을 자행한다. 이런 제약회사의 비도덕적 모습은 불행하게도 영화 속 가상현실이 아닌 현실에서도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

3대가 놀고 먹다 지치게 만들어줄 신약 개발에서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그래서 제약회사들은 물가가 낮고 규정이 느슨한 빈국으로 임상실험을 아웃소싱하고 있다. 인도 역시 이러한 요건에 잘 맞는 나라 중 하나로 최근 많은 임상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세계는 2차 대전 종전 후 뉘렌베르크 재판에서 유대인을 상대로 임상실험을 실시했던 나치의 과학자들을 처벌하였다. 이 재판을 기초로 한 뉘렌베르크 강령은 이후 임상실험에 관한 국제적 법령이 되었다. 이 법령의 핵심은 의사는 지원자에게 실험에 따른 모든 부작용에 대해 이해시킨 뒤 자발적으로 참여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법령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인도에서 임상실험에 참여한 지원자들의 대부분은 교육 수준이 떨어지는 가난한 빈민으로 임상 실험 내용을 이해시키기 어려울뿐더러 심지어 영어로만 쓰여 있는 임상 실험 동의서도 있었다. 게다가 치료비용을 마련할 수 없는 빈민들은 실험을 통해서라도 치료의 희망을 얻고자 실험 내용을 이해하지도 못한 채 동의를 하는 경우도 많아 이런 경우 의사의 도덕적 판단에 의존해야만 한다.

임상실험의 위험은 무엇보다 실험 전까지 행해졌던 모든 치료가 중단되고 신약의 효능을 위해 2~3개월 동안 세척기간이라 하여 일체의 약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조금이나마 차도가 있던 치료를 중단하게 만든다. 게다가 실험 지원자 중에는 플라시보약(가짜약)을 투여 받기도 한다.

세계화라는 강대국들의 허울 좋은 깃발 아래 빈익빈 부익부는 가히 ‘세계화’가 되어버렸다. 그리고 이 세계화의 물결은 사람의 생명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의료분야에서도 이렇게 비극을 만들어내었다.

사람의 목숨이 수익이라는 물질적 가치보다 낮게 평가되고 있는 이 씁쓸한 현실에서 웃을 수 있는 것은 강대국과 다국적 기업 그리고 부정한 방법으로 돈방석을 깔고 앉아 있는 이들 뿐일 것이다.

 한미 FTA에 조금만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협상내용에 의약부분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 중 하나가 제약회사의 신약에 대한 특허권 보호를 위해 값싼 복제약의 사용을 제한하는 내용이다. 미국이 자국 제약회사의 이익증대를 위해 요구한 것인데, 이는 필연적으로 보험료 인상을 불러오고 약에 대한 환자들의 접근성을 매우 어렵게 만들 것이다.


영진공 self_fish

 

명박 앙투아네트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리 앙투아네트는 “빵이 없으면 케익을 먹으면 될거 아니냐” 는 말로 유명합니다.
그 말이 민심에 불을 질러서 결국 프랑스 혁명을 불러일으켰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마리 양은 그런 소리를 한 적이 없다죠.

마리 양은 많이 억울할 겁니다.
자기가 하지도 않은 말때문에 혁명에 불싸지른 인간으로 찍힌데다
정말로 혁명이 일어나 단두대에서 목이 잘려나갔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그녀는 그 소문에 온전히 책임이 없다 할 수가 없습니다.
어쨌거나 민심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혀 모르고
딴세계에서 살고 있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니까요.

그녀가 했다고 알려진 그 말은 그런 면에서 사실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상징”이었습니다.
당시 프랑스 왕실과 귀족들이 세상을 얼마나 모르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
그리고 그 소문이 그렇게 쉽게 확산되고 아직까지도 살아남은 것은
많은 이들이 예나 지금이나 그 상징에 공감한다는 뜻이죠.

지금 우리나라 청소년들(이젠 더 이상 청소년들만은 아닌 것 같더군요)이 촛불들고 길거리에 나온 이유가 과학적 사실이 아닌, 비합리적인 두려움(혹은 선동)의 결과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길게는 6년, 짧게는 6개월 전에
지금 촛불을 들고 있는 사람들과 똑같은 소리를 해댔다는,
그래서 지금 도는 말들은 애초에 전부 지네들 입에서
나온 것이라는 사실은 차치하고라도,
지금 거리에서 촛불을 든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결코
“광우병에 대한 두려움” 만은 아니라는 걸 분명히 말해주고 싶습니다.

지금 사람들을 움직이는 건 “이명박에 대한 두려움” 입니다.
이 인간이 앞으로 또 뭔 짓을 저지를 지 정말 모르겠다는 두려움 말입니다.

어떻게 된게 이 인간의 말은 시시각각으로 바뀌고,
규칙이나 법을 어긴 적이 부지기수인데다
조금 문제가 되면 다 오해나 거짓말이라고 주장을 하니
앞으로도 무슨 말이나 행동이든 믿을 수도 없고 안 믿을 수도 없습니다.

분명히 몇 개월전 기사에 의료보험 당연지정제 폐지안이나
수도공급 민영화를 비롯한 공공기관 민영화에 대한 (유언비어가 아닌) “기사”가
여러번 보도된 바 있음에도 이제와서 그 모든 것이 “괴담” 이라고 하고
한쪽에서는 운하 안판다고, 포기했다고 하면서도
여전히 운하 개발 예정지의 땅값은 요동치고
신도시 개발 안한다면서 시장이 국회의원들 불러다 땅값 운운 하고 있으니 …

저는 사실 광우병은 별로 무섭지 않습니다.
확률적으로도 그렇고 다른 여러가지 면에서 … (저는 살만큼 살았다는 -_-)

하지만 “(비록 수입을 허용해도)민간업자가 수입 안하면 되는 거 아니냐 …” 라든가
“만약에 국민건강에 문제가 있으면 수입을 중단한다”는
청와대와 대통령의 말을 들으니
안무섭다가도 무서워지는군요.;;;;;

이런 말 속엔 이미 국가의 책임이 뭔지도 모른다는 사실이 드러나는데다,
(
가난뱅이님이 지적하셨듯, 그럼 마약도 그냥 수입허용하던지..)
순간을 모면하게 위해선 미국하고 맺은 협의문도
(말로만) 생까는 인간이라는 게 보이니까요.
광우병 문제는 잠복기를 고려하면 문제가 생겨도 임기 이후에나 생길 것인데다
무엇보다 국가 대 국가의 협상이 애들 장난이냐고요.
애초에 협상내용에 그렇게 할 수 없다는 것인데
재협상은 못한다면서 그냥 수입중단?

도대체 “책임”이라는 게 뭔지 알고나 있을까요?

이러니 이들의 뭘 보고 미래를 예측해야 하냐고요.
지금 사람들의 촛불은 미친 운전사가 난폭운전을 하는
택시에 앉은 승객의 심정을 표현한 것일 뿐입니다.

이걸 유언비어나 선동의 결과로 이해하는 그 사고방식은 …
정확히 80년대로의 회귀일 뿐이죠.

이젠 댓글도 통제하라고 했더군요.
(http://media.daum.net/economic/stock/others/view.html?cateid=1006&newsid=20080507161512850&cp=moneytoday)
근데 꼭 지키지 않아도 되는 명령이었다는데, 그게 말이 되냐고 …
이런 식이니 안 무서울 수가 있나요.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