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 & 드럭스”, 골치 아픈 문제는 침대 밑으로





<러브 & 드럭스>를 통해 처음으로 제이크 질렌할이 <토이 스토리>의 주인공 우디와 닮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 검색을 해보면 두 캐릭터를 비교해놓은 이미지 컷이 꽤 나오는 걸 보아 나 혼자만 이런 생각을 하는 건 아닌게 확실하다 – 그 이유는 아마도 제이크 질렌할이 성인 연기자로서 처음으로 출연한 로맨틱 코미디 영화라서 조금은 가벼운 마음가짐으로 이 배우의 면모를 다시 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인 것 같다.

제이크 질렌할 역시 그간 자신에게 주어졌던 온통 심각하기만 했던 배역들과 그 이미지를 떨쳐버리고 훨씬 쾌활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생활 연기를 보여준다. 아마도 이 영화에서의 모습이 실제 제이크 질렌할의 캐릭터와 가장 유사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앤 헤서웨이에 대해서는 좀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앤 헤서웨이의 최근 몇 년 간의 출연작 선정과 연기하는 방식은 <프린세스 다이어리>를 통해 형성된 공주님 이미지를 벗어나는 데에 집중된 것처럼 보이고 이번 <러브 & 드럭스> 역시 그런 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거다.

고정된 이미지를 탈피해서 진짜 좋은 배우로서 인정받고 사랑받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보기 싫을 리는 없지만, <러브 & 드럭스>에 앤 헤서웨이가 아닌 다른 배우가 제이크 질렌할과 호흡을 맞추었더라면 어땠을까, 말하자면 작품이 좀 더 나아보일 수 있었을 법한 다른 캐스팅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된다.




어쨌든 <러브 & 드럭스>는 첫째도 둘째도 제이크 질렌할과 앤 헤서웨이 주연의 로맨틱 코미디인 것이다. 개인적으로 앤 헤서웨이와 같이 비현실적인 미모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건 어쩔 수 없이 인정할 수 없는 사실인 거다.

이 두 명의 배우는 사실 다른 어느 누구와 짝을 지어놓아도 충분히 제 몫 이상을 해낼 수 있는 좋은 배우들이다. 그런데 이 환상의 커플이 작정을 한 듯이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 동반 출연을 했으니 그 자체만으로도 <러브 & 드럭스>는 이미 절반 이상의 성공을 보장 받은 상태에서 시작한 기획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러브 & 드럭스>의 세번째 쯤에는 미국의 의료 업계에 관한 내부 고발이 있다. 실제로 제약업체 화이자의 영업사원이었던 제이미 라이디의 2005년 원작 <Hard Sell: The Evolution of a Viagra Salesman>은 본래 남녀 주인공이 등장하는 멜러 소설이 아니라 업계에서의 자전적 경험을 기록한 논픽션이었다.

이것을 에드워드 즈윅 감독과 두 명의 시나리오 작가들이 각색해서 로맨틱 코미디로 재탄생시킨 작품이 <러브 & 드럭스>인데, 덕분에 작품의 메인에서 밀려나긴 했지만 곳곳에서 미국 내 의료 현장의 뒷무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 공개되고 있다.


 

제약업체의 영업사원으로 일하게 된 제이미(제이크 질렌할)에게 그 일은 “복잡한 의학적 결정을 충동구매로 바꿔놓는 짓”이라며 말리는 가족들의 대사도 그렇고, 매기가 노인들을 버스에 잔뜩 태우고 캐나다에 다녀오곤 하는 장면 등은 모두 닉슨 대통령이 1970년대에 일찌감치 국민 의료보험제도를 말아먹은 미국에서의 일상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러브 & 드럭스>를 보면서 함께 권해주고 싶은 영화는 또 다른 멜러물이 아닌 마이클 무어 감독의 프로파겐다 <식코>(2007)를 떠올리게 된다.

물론 <러브 & 드럭스>는 코미디이고 멜러물이다. 여자가 불치병에 걸린 사실로 인해 원치않는 생이별을 하고 있는 모습은 설 연휴 동안 TV에서 본 <내 사랑 내 곁에>(2009)를 떠올리게 하고, 여자의 병을 고치기 위해 눈길을 헤치면서 돌아다니는 남자의 헌신적인 모습에서는 <러브 스토리>(1970)의 간절함 마저 느껴질 지경이다. 역시 <러브 & 드럭스>의 첫째와 두번째는 모두 제이크 질렌할과 앤 헤서웨이 주연의 로맨틱 코미디인 것이다.




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구조적인 이슈를 젊은 두 남녀의 멜러물로 치환해버리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쉬울 따름이지만 일반적인 로맨틱 코미디나 멜러 영화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러브 & 드럭스>가 크게 처지는 부분이 있는 것도 아니니 뭐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 싶다. 단지 그 멜러가 판에 박힌 듯 하여 더 이상 가슴에 와닿지 않는 내 자신을 탓할 수 밖에.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