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날의 애니메이션, 디스토피아에서 유토피아를 거쳐 현실세계로



백희나 작가의 베스트셀러 동화 “구름빵”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서 TV에서 하네요. 우연히 휴일에 채널을 돌리다가 KBS에서 하는 것을 보고 내용도 너무 좋아서 한참을 홀린듯이 들여다 보고 있었어요. 드디어 우리나라에도 “가족”이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나온건가 하고 감탄했죠.

내 어린날의 디스토피아
전 아이가 “뽀로로”, “선물공룡 디보”같은 한국 애니메이션을 보고 자라는 것에 대해 정말 감사함을 느끼고 있었어요. 저의 어린 시절이 ‘모성결핍에 허덕이는 주인공’들만 가득한 일본애니메이션으로 추억되는게 정말 싫었거든요. 제목부터 아주 단적인 “엄마 찾아 삼만리”, 아이 두명이 엄마를 찾아다니는 “꼬마 자동차 붕붕”, 어른들이 도와줄 수 없는 4차원 세계에서 고군분투하는 “이상한 나라의 폴”, 모성이 부재한 디스토피아에서 유사모성의 부족한 사랑에 대해 부채의식을 느끼며 부재한 모성에의 대체재로써 ‘여신’을 옹립하려하는 ‘코난(부모 부재 상태에서 유사모성인 할아버지의 존재. ‘나나’를 모성대체의 여신으로 세우려고 하는 시도)’, ‘플랜더스의 개(부모 부재 상태에서 유사모성인 할아버지의 존재. 끝없는 부채의식 때문에 노동으로 할아버지께 갚으려고 하는 네로. ‘아로아’를 모성대체의 수단으로 삼으려고 하는 시도)’를 유년시절에 보고 자랐다면, 청소년기에 본 미야자키 하야오의 ‘천공의 성 라퓨타’나 ‘바람의 계곡의 나우시카’도 거의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요. 일본 애니메이션들에서 주인공들은 세계를 바꿀 수 없는 무기력하고 작은 존재이면서, 이전 세대가 망쳐놓은 디스토피아에서 모성의 부재를 괴로워하며 헤매이죠.

아이의 어린날의 유토피아
그런데 한국 에니메이션들이 나오면서 판도가 달라져요 “뽀로로”나 “디보”같은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디스토피아 같은 세상은 온데간데 없고, 어른이 없는, 그래서 아이들만 있는 세상에서 그들 끼리 꼬뮨(Commune)을 이루고 유토피아적 삶을 추구하지요. 누구도 그들을 통제하지 않고, 누구도 그들을 가르치지 않아요. 서로 느끼고 행동하며 약자 (몇살 어린 연소자 크롱, 몸집이 작고 이방에서 이주해온 해리)에 대한 배려를 배우지요. 아이가 무의식 깊숙히 디스토피아를 인식하게 되는 것 보다 서로 배려하는 꼬뮨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 훨씬 좋아요.

cfile24.uf.197A7D164CD9E6B2036D50.bmp

훗날엔 유토피아 같은 현실 세계가 들어오기를
그러다가 신선한 충격을 준것이 바로 프랑스 애니메이션 “호야네 집” (까이유, Caillou). 호야네 집에는 Standard한 가정이 나와요. 주인공 호야를 중심으로 할머니도, 할아버지도, 동생도, 옆집 아줌마도, 친구도 나오지요. 뭔가 결핍과 단절이 일어나지 않으면 에니메이션이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가,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서로 배려하는 유토피아로도 얘기를 꾸려나갈 수 있게 됨을 본 후에, “어른과 아이의 관계”가 애니메이션의 주제가 될 수도 있음을 보고 정말 감탄했답니다. ‘어른과 아이의 관계 맺음’이 기본적으로 부재한 우리나라에서 전 정말 “호야네 집”을 배운다는 느낌으로 보았습니다. (치로와 친구들도 표준 5인가정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아이들 끼리의 꼬뮨이지 현실에서 어른과 아이의 관계가 그려지지는 않아요. 또 차이가 있다면 치로의 아빠는 TV를 보고 신문을 보며 멋진 말만 해대지만, 호야의 아빠는 세탁기에서 빨래를 꺼내며 호야에게 세탁기의 작동원리를 얘기해주죠)

구름빵 … 역시 엄마와 아빠의 성역할이 고정적으로 그려져 있고, 어른과 아이의 관계보다는 아이들끼리의 이야기가 주요 내용이 되지만, 어떻게 어른들이 효과적으로 아이의 삶을 지원하는지, 어떻게 아이의 삶을 아껴주는지가 나오는 것 같아요.

한국 가족에 … 볕들날 있는 거겠죠?


영진공 라이



90년대 미국 애니메이션 오프닝 모음


1. 엑스맨 X-Men (1992년)




설명이 필요없는 90년대 미국 TV 애니메이션의 최대 히트작. 위키피디아를 찾아보니 5시즌 76 에피소드가 제작되어, 마블 코믹스 기반의 TV 시리즈 중에선 최장 시리즈 물이라고 한다(2번째는 스파이더맨 TV 시리즈). 한국에선 정식으로 방영한 적이 없지만, AFKN을 통해서 시청한 사람은 꽤 있을 것이다.

미국 오리지날 오프닝은 사이클롭스, 울버린, 로그, 스톰, 비스트, 갬빗,쥬빌리, 진 그레이, 마지막으로 프로페서 엑스 – 챨스 익재비어까지 차례로 보여주는 친절을 베푼다.






그런데 일본판 엑스맨 오프닝은 캐릭터들이 환골탈태의 차원을 넘어 아예 변신을 해 버렸다. 이걸 보고 있노라면 머릿속에 드는 생각은 오직 하나뿐.


너희들은 대체 누구냐!









2. 엑조 스쿼드 ExoSquad (1993년)


미국 애니메이션에선 보기 드물게 ‘전쟁’이란 소재를 전면으로 내세운 밀리터리 SF 애니메이션. 하지만 인기는 별로 끌지 못했는지, 2시즌만에 종료되고 말았다. 아무튼 장중한 음악과 나레이션이 깔린 오프닝은 상당한 볼거리. 한국에서는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적이 있는데, 당시 오프닝 나레이션만 한국어로 바꿔서 더빙했다.



 



3. 배트맨 Batman the animated series (1992~1994)


1989년, 모든 슈퍼 히어로물의 공식을 완전히, 그리고 영원히 바꿔버린 영화가 나왔다. 그것은 팀 버튼의 [배트맨].
그리고 90년대를 장식한 [배트맨]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분명히 팀 버튼판 [배트맨]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단순하면서도 다이나믹한 캐릭터를 디자인한 브루스 팀의 역량과, 클리셰를 걷어내고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쏟아낸 각본가들의 열정에 힘입어,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그 결과 총 85개 에피소드가 제작되고 에미상까지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오프닝은 영화판 [배트맨]의 오프닝 뮤직을 그대로 가져다 쓰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방영할 당시에는 황당하게도 60년대 실사판 TV 시리즈의 오프닝에 가사만 같다 붙이는 만행을 저질렀다. 대체 왜 그랬을까?



만화책이나 기존 TV 시리즈에선 단순한 매드 사이언티스트에 불과했던 미스터 프리즈에게 ‘비련의 과학자’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한 [Heart of Ice], 어릴 적 브루스 웨인의 우상이었던 [회색 유령]이 등장하는 [Beware the Gray Ghost] 등이 추천 에피소드.


4. 모험가 코난 Conan the adventurer (1992~1994)



로버트 하워드의 [야만인 코난]의 TV 애니메이션판.
한국에서 방영할 땐 별 인기가 없었지만 미국에선 나름대로 인기가 있었는지 총 65편까지 방영되었다. 한국판에선 김국환씨가 70년대 삘이 풍기는 맥빠지는 주제가를 불렀지만, 미국판 주제가는 남성미가 물씬 넘쳐 흐른다. 한 번 들어볼만한 가치는 있다.





5. 스파이더맨 Spider-Man: The Animated Series (1994)



원작자 스탠 리가 직접 제작에 참여한 스파이더맨의 TV판 애니메이션. 놀랍게도 마블 코믹스의 다른 슈퍼 히어로들 – 데어데빌, 엑스맨, 아이언맨, 닉 퓨어리(그리고 쉴드), 블레이드, 닥터 스트레인지, 퍼니셔, 그리고 캡틴 아메리카 등등이 출동해 [마블 월드]의 정수를 보여준다.
이 시대의 다른 미국 애니메이션들 – 배트맨이나 엑스맨 등은 각각의 에피소드 1편이 독립적인 이야기를 이뤘다. 하지만 [스파이더맨] TV 시리즈는 전체 시리즈를 관통하는 거대한 줄기가 있었고, 마지막까지 일관된 흐름을 잃지 않았다.

한국 방영시엔 따로 주제가를 만들었지만, 미국 오리지날 오프닝은 옛날 실사판 TV 시리즈의 주제가를 어렌지한 곡을 쓰고 있다. 무척 신나는 오프닝이니 한 번 보시길.


영진공 DJ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