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외화내빈의 글로벌 프로젝트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외화내빈의 영화다.
못만든 영화가 분명 아닌데 다른 무엇보다 재미가 없다.

다행히 제작비는 불과 5천만 달러 수준으로, 세계의 미래가 될 도시 상하이의 1941년을 배경으로 찍는 이 글로벌 프로젝트에 유명 배우들께서 적은 개런티를 감수하며 흔쾌히 출연해주셨던 덕분인 것 같다. 배우들의 개런티가 적은 편이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는 근거는 단순히 총액 규모가 작기 때문만은 아니고, 영화 속에 당시 상하이의 모습이 꽤 충실하게 재현되어 세트 비용이 상당했을 거라는 짐작을 하기 때문이다.

가끔 영화 속에서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현한 옛 도시의 모습을 보곤 하는데 <상하이>에서 재현된 당시의 모습은 그 보다 훨씬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접근한 듯 하다. 상하이에서 촬영을 하지 못하게 되자 방콕에서 로케이션을 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당시의 상하이를 재현한 광경 전체가 거대한 세트였다는 이야기가 된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나레이션을 통해 소개가 되듯이 1941년의 상하이는 중국 내에서 유일하게 일본이 강점하지 못하고 있던 도시였고, 그 이유는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한 세계 열강들이 상하이에서 만큼은 쉽게 물러나주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미국의 스파이 한 명이 암살을 당하게 되고, 그의 친구이자 동료인 폴 솜즈(존 쿠삭)가 사건의 경위를 파헤치기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일본군에게 붙들려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험악한 상황을 기본 배경으로 영화는 점차 모든 미스테리의 열쇠를 쥐고 있는 인물, 일본인 이중 스파이 스미코(키쿠치 린코)를 신변을 확보하는 일에 집중된다.정확히 왜 스미코가 중요한 인물인 것인지를 파악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건만 설상가상으로 스미코는 찾자마자 이내 죽어버리고, 그 앞에서 일본 군부의 대표선수 다나카(와타나베 켄)는 스미코와의 삼각관계 때문에 주인공의 친구를 죽였던 것이라고 고백을 한다 – 이쯤 되면 <황해>에 이은 난감함과 허무함 시리즈의 훌륭한 속편이 될 자격을 갖춘 셈이다.


1941년에 이루어진 일본의 진주만 공습의 막후 배경이 상하이를 배경으로 펼쳐질 것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발견에 대한 기대와 달리, <상하이>에서 1941년의 사건이란 등장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의 입을 통해 전혀지는 놀라운 소식에 불과하다.

상하이 내에서 만큼은 아슬아슬하게나마 유지되고 있었던 국제 관계는 삽시간에 아수라장이 되고 영화의 후반부는 상하이에서 급히 철수하는 미국인들 틈바구니에 끼는 데에 성공하는 주인공들을 비출 따름이다. 주인공의 친구가 죽지 않았다면 스미코가 다나카를 통해 빼돌린 정보가 미국에 알려져서 진주만 공습을 사전에 막을 수 있었다는 얘길 하고 싶었던 걸까? 본래의 의도는 잘 모르겠지만 관객들에게 그런 식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은 확실하다.

미국과 일본, 중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스타들은 자신들의 유명세가 결코 헛된 것이 아님을 증명하듯 모자라지 않는 좋은 연기를 보여주고 스웨덴 출신의 미카엘 하프스트롬 감독의 연출 역시 우려했던 것에 비해 훨씬 안정된 편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맥락 자체가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 산만하기만 하다는 데에 있다.

누구나 한번쯤 알고 넘어가야 할 역사적 사건을 직접 다루는 것도 아니오, 숨막히는 첨보 액션이거나 그 안에서 피어나는 한 떨기 멜로물을 제대로 피워보는 것도 아닌 <상하이>를 도대체 왜 만든 거냐고 물어보고 싶은 안타까운 심정, 그것 하나만 확실하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