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게일”, 늦게 봐서 너무 미안한 영화

“데이비드 게일”에 대한 짧은 정보들은 실제 영화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부정적인 오해와 선입견을 갖게 만든다. 우선 사형 제도 철폐 운동을 하던 철학과 교수가 그 자신이 사형집행을 당하게 되었다는 설정에서 “데드맨 워킹”(1995)과 같이 ‘좋은 영화지만 너무 무거울 것 같은’ 인상을 심어준다. 그리고 “아메리칸 뷰티”(1999)에서의 성공을 정점으로 꾸준하기는 하지만 별로 인상적이지 못한 후속작들만 찍고 있는 ‘또 케빈 스페이시 주연의 영화’로서의 꿀꿀함이 작용한다. 여기에 최근 십 여 년 이상을 계속 되어온 알란 파커의 슬럼프까지 더해져 마치 ‘이래도 영화가 보고 싶으냐’고 묻는 것만 같으니 말이다.

그러나 “데이비드 게일”을 보게 되면 극히 짧았던 이 영화의 극장 상영이 못내 아쉬워진다. 비디오로 출시되고 나서도 한참이나 지나서야 보았다는 사실까지 몹시 미안하다. 곰곰히 따져보자면 근래에 “데이비드 게일” 만큼 까닭 없이 저평가된 영화도 없었다는 생각마저 들게 된다. 사실 “데이비드 게일”은 알란 파커와 케빈 스페이시의 장점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영화다. 지루할 틈을 주지 않으면서 말 그대로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잘 빠진 스릴러.

영화는 이미 감옥에 갇혀 나흘 후면 사형대에 서야하는 한 남자를 중심에 놓고 회상체 형식으로 펼쳐지지만 그 구조는 조금 더 복잡하다. 영화 속 세상에서 알려져있는 주인공은 우선 ‘이력 있는’ 강간·살인범이다. 그러나 영화를 보는 동안 관객들은 데이비드 게일이 그런 인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의 진실이 영화 속에서 밝혀지게 되길, 그가 억울하게 죽지 않게 되길 바라게 된다. 그리고 영화가 끝나는 마지막 장면에서야 관객들은 진짜 데이비드 게일의 실체를 볼 수 있게 된다. 눈치 빠른 관객은 이미 ‘그렇게 된 건지도 모른다’고 짐작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드러난 주인공의 실체가 모든 관객들에게 마냥 편하게만 남겨지는 것은 아니다.

실력 있는 철학과 교수님이 주인공인 관계로 대사 속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에서 라깡까지 아우르는 여러 담론들이 영화의 격을 높이는 꽃장식을 해주는 동시에 전반적으로 너무 무겁게 느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것들이 데이비드 게일의 인생, 그의 결말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장치였음을 이해한다면 오히려 영화를 다시 한번 보면서 그 연관관계를 자세히 살펴보고 싶은 욕심이 생길 수도 있다. 시나리오가 이렇게 매력적이었으니 니콜라스 케이지가 제작자로 나서 알란 파커에게 연출을 맡기고 케빈 스페이시 역시 한번 더 ‘지적인 반전의 화신’으로 출연했겠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영화를 보기 전에 가졌던 온갖 선입견들을 불식시키기에 충분하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