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희의 영화”, 그리고 홍상수 감독의 영화


<옥희의 영화>는 제목에 ‘영화’라는 단어가 들어가서만이 아니라 정말 영화와 영화 만들기에 관한 이야기다. 물론 영화 일반론이 아니라 홍상수 감독 영화에 관한 영화다. 말하자면 홍상수 영화에 관해 홍상수 감독이 직접 써내려간 해설판 같은 작품이랄까. 홍상수 감독이 생각하는 삶의 반복성과 그것을 담는 영화라는 매체에 관한 유난히도 직접적인 설명서로 받아들여진다.

<옥희의 영화>는 4편의 에피소드로 –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지는 않지만 분명히 동일한 등장 인물들의 이야기이므로 단편이라는 표현은 좀 어색한 듯 – 구성되었다. 주인공 중에 한 명인 진구(이선균)가 결혼을 하고 영화과 선생이 되어있는 가장 최근 시점의 <주문을 외울 날>이 가장 먼저 배치되었고 진구(이선균)와 옥희(정유미)가 학생 시절이었을 때의 이야기인 <키스왕>, <폭설 후>가 이어진다. 그리고 옥희가 자신이 사귀었던 두 남자와 – 송 선생(문성근)과 진구 – 2년의 간격을 두고 같은 장소에 갔던 기억을 영화로 만든 영화 속 영화가 마지막 <옥희의 영화>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 속에서 자주 비슷한 사건이나 만남이 반복됨을 통해 제시되곤 했던 ‘댓구의 미학’을 <옥희의 영화>에서는 영화를 만든 이의 목소리를 통해 그 제작 동기를 직접 들을 수가 있다. 물론 홍상수 영화 속 반복의 패턴은 이 보다 훨씬 다양하게 선보였던 바, 이것 하나 만으로 그 반복과 댓구의 미학에 관한 모든 것을 이해했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홍상수 감독의 신작 <옥희의 영화>에 기승전결이란 없다. 그러나 영화를 만드는 이로서, 그리고 삶을 살아가는 이로서의 자의식은 이전의 어느 작품보다 훨씬 더 풍부한 편이다. 첫번째 에피소드 <주문을 외울 날>은 <극장전>에서 동수(김상경)가 스스로에게 되뇌이던 어떤 주문을 떠올리게 한다. 그런 주문이라도 외우지 않고서는 도저히 견딜 수가 없었는 어떤 날의 이야기다.

<주문을 외울 날>의 하이라이트는 진구가 예전에 자신이 만든 영화의 GV에 참석했다가 4년 전에 만나고 헤어진 여자에 관한 관객 질문을 받는 장면이다. 이런 장면이 홍상수 감독 영화에 언젠가는 나오리라 예상은 했지만 이번 <옥희의 영화>에서 보게될 줄은 생각을 못했었다.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건 아니건 간에 이보다 민망한 순간이 또 어디 있을까. <옥희의 영화>가 그런 질문에 대한 진술서인 것은 아니지만 몇 년 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홍상수 감독에게 던져졌다는 뜬금 없는 질문의 영향권 아래에 놓여있다는 건 분명하다.

최근 홍상수 감독의 영화가 갈수록 해학적이 되어간다는 느낌이었고 특히 최근작 <하하하>(2010) 에서는 조문경(김상경)의 꿈 속에 이순신 장군(김영호)이 등장해 선문답 같은 계시를 내려주는 장면이나 어머니(윤여정)에게 종아리를 맞고 조문경이 어린 아이처럼 엉엉 우는 장면에서 그 절정을 이루었다고 – 그렇게 좀 더 많은 관객들과 만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라고 – 생각했었는데 그로부터 고작 5개월 만에 나온 신작 <옥희의 영화>를 보니 그런 식의 단일한 경향성으로 홍상수 영화의 변화를 정의해보려 했던 일 자체가 어리석었던 것인지 아니면 그렇게 변해가는 와중에 잠시 메타 영화를 한 편 만든 것인지는 아직은 잘 모르겠다.

어찌되었든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여전히 변함 없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와중에 끊임없이 변화를 선택하고 있는 중이다.

2009년 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 삼인삼색 프로그램 <어떤 방문>에서 홍상수 감독의 단편 <첩첩산중>을 보았는데 – 주요 출연진이 <옥희의 영화>와 동일해서 혹시나 어떤 연관성이 있지나 않을까 해서 – 내용 상으로는 완전히 다른 영화라는 것을 확인했다. <첩첩산중>의 인물들은 글 쓰는 사람들이고 <옥희의 영화>는 전부 영화를 만들거나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이다. 무엇보다 문성근이 연기한 인물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많이 다르다.

<첩첩산중>에서 상옥(문성근)은 거의 위악적인 묘사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뻔뻔하기 짝이 없는 인물로 그려지는 반면 <옥희의 영화>에서의 송 선생은 그의 진심이나 인물 전체에 대해서는 ‘잘 알 수가 없긴 하지만’ 적어도 옥희와의 약속을 지킨 작은 행동 하나로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비춰진 송 선생의 일면은 첫번째 에피소드인 <주문을 외울 날>에서 몹시 의심쩍인 인물로 그려졌던 그의 모습을 다시 한번 돌이켜보게 한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그가 만든 영화나 누군가에게서 들은 뒷말만 갖고 섣불리 판단해버리는 건 역시 삼가하는 편이 현명하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