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주의를 가장한 특권의식

사실 저 실용주의자입니다.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제가 제일 공감하던 이론입니다.


스키너의 ‘조작적 정의’(간단히 말해 쥐 잡는게 고양이라는 원칙입니다) 역시 제가 제일 좋아하는 심리학 이론이죠.


진화론, 적자생존의 원칙은 바로 실용주의의 핵심입니다.
지금 남아있는 모든 것은 다 어딘가에 쓸모가 있기 때문에 남은 것이라는 원칙이거든요.


위의 저 3가지가 제 지론이고, 그런 면에서 저는 진짜 실용주의자입니다.


근데 실용주의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규칙은 매우 실용적인 도구입니다.


규칙은 어떤 사안에 대한 판단을 개인이 아니라 집단이 정한 논리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릴 수 있게 하는 도구거든요.


어떤 전지전능한 분이 계셔서 그 분이 일일이 모든 사안을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이렇게 규칙을 정해놓고 그 규칙에 따라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최선입니다.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이죠.
물론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규칙을 수정보완하면 됩니다. 예외를 만드는 것은 피해야 할 일이고요.
예외를 만드는 것은 규칙의 기능을 제한하는 결과가 되고, 그러면 규칙의 효용성이 조금씩 깎여나가니까요.


실용을 위해서라면 규칙이든 법이든 무시할 수 있다. 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질문해보죠.
정말 규칙이 없다면 세상이 실용적이 될까?
아니죠. 난장판이 될겁니다. 그런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서 규칙이 생겨난거 아닙니까.


그런데 어떻게 실용을 위해서 규칙을 무시할 수 있다는 생각이 가능할까요?
(네, 정말 이런 생각이 요즘 횡행하죠.)
정말로 규칙을 무시해도 효율성이 증가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경우냐 하면, 규칙을 무시하되 차별적으로 무시할 때 입니다.


간단히 말해 누군가 위대한 분이 판단하시길, “지금은 규칙을 무시할 때다.” 라시면 규칙을 무시하는 겁니다.
하지만 나머지 인간들은 그저 얌전히 규칙을 따라야죠.
규칙을 무시할 수 있는 일부 특권계층을 만들어내는 겁니다. 그들은 이렇게 생각하게 됩니다.

“나는 규칙을 무시해도 되지만 너는 규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내가 규칙을 무시해야 한다고 판단될 때는 규칙을 무시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규칙을 무시할 수 없다.”

결국 이건 단순히 규칙을 무시한다는 생각이 아닙니다.
차별적으로 무시한다는 생각이죠.


어떤 범죄를 저지른 인간은 해당 법률을 무시하고라도 능지처참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인간들이나,
법은 무시하고 이전 정부 기관장들 전부 자리 내놓으라는 인간이나,
공무원은 머슴이니 새벽별을 보라는 인간이나…

모두 그 배후에는 저 생각이 깔려있습니다.
특권의식 말입니다.


진짜 실용주의자들은요. 규칙을 목숨처럼 지킵니다.
스키너는 자기 자신을 스스로의 스키너 박스에 넣고 살아온 사람입니다.
존 듀이가 프래그머티즘이라는 원칙에 따라 한 것이 결국은 법과 제도의 정비라는 사실을 아셔야죠.

진화론… 후진국이고 독재국가일수록 권력층이 법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행동합니다.
김정일이를 보세요. 그 인간의 문제는 너무 많이 알고 사사건건 참견한다는 거예요.

작은 기업체의 경영자라면 그래도 되지만 한 나라의 운영자는 그러면 안되는 거라고요.
만약 국가 운영자가 그렇게 행동하면 나라 전체가 작은 기업수준으로 쪼그라들어버립니다.
북한 처럼 말이죠.



물론 이런 특권을 통해서 획득하는 단기적인 효율성은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부패와 비효율을 가져오고 말이죠.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