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를 고쳐야 애국심이 생기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의미

-= IMAGE 1 =-

칼 로저스는 미국의 상담심리학자로서 인본주의적 심리학이라는 학파를 창설한 사람으로 유명합니다. 로저스의 인본주의 심리학의 원칙은 단순합니다. 알고보면 사람들은 전부 착하다는 겁니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세상에는 분명히 악인들이 있고 온갖 악행들이 펼쳐집니다. 이 사실에 대해 로저스는 어떻게 설명을 했을까요? 사람들은 모두 각자의 선의를 가지고 있는데 각자가 보는 올바른 세상, 혹은 선한 세상에 대한 정의가 다 달라서 이런 문제가 생긴다는 겁니다. 즉, 개개인의 의도는 전부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함이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더 나은 결과가 다르고 어떤 경우에는 아주 심각하게 다르기도 하다는 거죠. 그 결과 어떤 이에게는 최선의 올바른 행동인 것이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어리석은 행동이 되거나 심지어는 악행이 되는 겁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로저스의 이런 이론은 고대 그리스의 궤변론자 고르기아스의 논리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고르기아스는 우리는 모두 각자의 세계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결코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올바로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지요. 마찬가지로 로저스도 우리들 각자의 세계가 다 다르다는 지적을 한다는 점에서 고르기아스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로저스는 거기에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각자 주관적인 세계에서 살고 있지만, 누구의 세계가 더 건강한 세계인지 그렇지 않은지는 판단할 수 있다고 보았죠. 로저스가 내놓은 건강함의 판단기준은 주관적 세계와 객관적 세계의 일치도입니다.

우리는 비록 각자의 세상에서 살고는 있지만, 남들이 나와는 완전히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도 알고 있습니다. 즉 내가 보는 세상과 남들이 보는 세상의 차이를 인식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어차피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 우리들이기에 우리는 될 수 있는 대로 남들이 보는 세상이 어떤 것인지 배우고 그 세상에 맞춰 살거나 최소한 충돌은 하지 않고 살려고 노력하죠. 하지만 어떤 사람은 자기가 보는 세상이 남들이 보는 세상과 너무 크게 다르기 때문에 부적응을 경험합니다. 그런 사람의 입장에서는 세상이 미쳤거나, 내가 미쳤거나 둘 중의 하나가 되겠죠. 두 가지 결론 다 불안하기는 마찬가지고요.

우리의 정신건강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세상을 보는 관점이 아니라 나 자신을 보는 관점의 차이입니다. ‘남들이 보는 나’와 ‘내가 보는 나’가 얼마나 일치하느냐는 실제로 그 사람의 적응수준을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죠. 이 둘이 너무 일치해도 좋을 것 없습니다. 남들이 나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정말 정확히 알고, 그들이 보는 내가 진짜 나라고 믿어버린다면 우리는 대부분 우울증에 걸리기 딱 좋죠(:-p). 하지만 이 둘이 너무 동떨어져 있으면 그것도 큰일입니다. 자기는 스스로 엄청 잘났고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남들이 보기엔 한심무인지경인 사람인 경우가 여기에 속하죠. 보통 이런 사람들은 정신병원이나 국회의사당에서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만… 로져스에 따르면 정신이 건강한 사람은 이 두 ‘나’가 어느 정도는 떨어져 있지만 완전히 떨어져 있지 않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어떤 사람은 내가 보는 나와 남들이 보는 나가 적당히 떨어져 있는데, 어떤 사람은 그 둘의 차이가 너무 크거나 너무 좁아지는 것일까요? 로저스는 어린 시절의 경험에 그 원인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어릴 적에 부모님이나 주변의 중요한 사람들이 나를 특정한 조건을 충족시킬 때만 존중해주고, 그렇지 못하면 존중해주지 않는 경험을 많이 한 사람들은 자기 자신보다는 그 조건을 더 중요하게 여기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결국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바라보지 못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사실을 왜곡하거나 아예 자포자기해버리는 거죠. 하지만 누군가가 나를 그 어떤 경우에도 조건을 따지지 않고 존중해주는 그런 경험을 많이 하게 되면 자신의 가치에 대한 확신을 얻습니다. 이런 확신이 깔리게 되면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건강한 정신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거죠. 여기서 말하는 조건을 따지지 않고 존중해 주는 것을 로져스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spect)” 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니 로저스에 따르면 이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은 우리의 정신건강에 필수 비타민이라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은 우리들 개개인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어떤 면에서는 사회나 문화, 그리고 역사를 보는 관점에도 필요하기도 합니다. 최근에 불거진 역사교과서 수정 논쟁을 보며 저는 이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떠올립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사교과서를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이 소위 “좌편향된” 역사교과서로 공부를 하면서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우리 사회에 대한 자신감이나 자부심 혹은 국가정체성이 부족해질 것을 우려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근현대사를 재구성하려고 하죠. 식민지배에서 벗어났다는 의미의 ‘광복’ 보다는 우리나라를 만들어냈다는 ‘건국’에 방점을 두고, 식민지배과정에서도 일제의 수탈과 탄압, 그리고 그에 저항하는 독립투쟁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꾸준한 근대화의 노력도 있었다는 식으로 말입니다. 그런데 저는 이걸 보면서 좀 의문이 생깁니다. 자기가 소속한 국가에 대한 자신감이나 자부심이 과연 그런식으로 만들어질까요? 저는 우리나라의 식민지 시절역사나 동족상잔의 비극, 민주화 과정에서 벌어진 온갖 부정적인 사건들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가 우리나라 사람이라는 사실을 수치스럽게 여긴다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일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 여기에 와 있으니까요. 더구나 세계사를 보면 우리나라 정도의 고난이나 실수를 경험하지 않은 나라는 거의 없습니다. 미국이나 영국의 과거사는 우리보다 더 긍정적이던가요? 천만에 말씀이죠. 미국의 건국사는 원주민 학살사이고 영국의 번영기는 제국주의 침략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제가 알기로 (일정수준 이상의 교육을 받은) 미국이나 영국 사람들은 대부분 그런 사실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 나라 사람들의 국가정체성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건 아마 다른 분들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즉,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나라에 대해서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부모가 자식에게 그러하듯, 우리나라는 아무리 누가 뭐라 해도 우리나라이니까요.

반면에 자기 나라의 과거사가 부정적이면 자부심이 낮아지고, 과거사가 좀더 긍정적이고 낙관적이면 자부심이 높아진다는 그런 생각은 “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이런 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은 앞서 개인의 정신건강에 대해서와 마찬가지의 결과를 가져올 겁니다. 그러니 저는 우려하게 됩니다. 과연 이렇게 자기 나라를 조건에 맞춰서만 긍정적으로 존중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이 나라를 올바로 바라볼 수 있을까요? 혹시 사실은 이 사람들은 우리나라가 창피한 것은 아닐까요? 그래서 열심히 과거사에 분칠을 하고 자기가 생각하는 어떤 조건에 맞춰서 성형하려는 것이 아닐까요?

그러다 보니 일제시대를 기술하면서도 그 와중에도 꾸준히 근대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솔직히 하나마나한 이야기(모든 제국은 자기 식민지를 어느 정도까지는 근대화시킵니다. 그래야 그 식민지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안 그런 식민지가 하나라도 있던가요?)를 집어넣어야 한다는 강박에 빠진 것이 아닐까요?

영진공 짱가

 

““역사교과서를 고쳐야 애국심이 생기나?”,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의미”의 2개의 생각

  1. 답답한 현실입니다..
    조만간 인터넷 통제하려고 들것 같아서 겁납니다..
    서머타임한다는 거보니까 진짜 전두환때로 가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