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워즈 에피소드 3: 시스의 복수”, 아들의 발목을 잡은 애비의 한계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의 태생적 한계란 참 거시기 하다.

하다못해 신약의 첫 구절부터 마태복음에는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는 것으로 해서 줄줄이도 낳아 44번째 가서야 예수의 족보를 이야기 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무려 1절에서 25절 까지다.

광산 김씨였던 내 친구 용준이는 자신이 사귀던 여자친구가 3종백숙부의 외3종질이라는 이유만으로 여자와 헤어지는 (여자로서는 참 다행스러운)결과를 도출하며 핏줄의 상관관계가 무에 그리 집착의 대상인지를 궁금케 하기도 했다. (이유가 참 자질구레스럽기도 하다) 요컨대 어디서 태어나고 누구의 핏줄이냐는 우리나라뿐만이 아닌 인류가 짱돌을 들기 시작한 이래로 전지구적인 관심사인 것이라 하겠다.

흔히 현대를 정보의 유목민(유비쿼터스) 시대라 한다. 모든 인간의 창조물들이 디지털 컨버전스 되면서 정보는 곧 돈이 되었다. 뉴스를 만들 수만 있다면 돌팔매질만 잘해도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는 세상이 된 것이다. 방대하고 다각적인 정보의 수용은 예기치 못한 정보의 생산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 부작용으로 ‘탤런트 김모양이 지난주부터 테니스를 배운다’는 둥, ‘최근 결혼한 톱가수 A양의 아들이 두 돌이 되기도 전에 걷는다’는 둥 하는 약에 쓰이는 쥐똥만큼도 값어치 없는 기사가 당당히 신문의 한 면을 큼지막하게 장식하는 지금이다.

따라서 나는 요즘은 정보제공자 자신의 노력여하에 따라 마태복음과 3종백숙부의 그늘을 벗어날 수 있는 세상이 된 것으로 믿고 있었다. 정보는 위에 나열했듯 ‘누가’ 만드는 게 아니라 정보 자신의 자가발전에서 만들어지는 세상임을 철썩 같이 믿었다. 인간이 정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정보가 정보를 만드는 세상! 그런데, 대관절 이런 마당에 핏줄에 집착할 이유가 무엇이 더냔 말이다!

어찌 되었든 이러한 혈연과 지연의 관계를 다시금 소 막창에 짱박혀 있던 여물을 다시 씹듯 곱씹게 된 건 다름 아닌 20세기와 21세기를 관통하는 SF 서사극의 대표이자, 현대 종합 엔터테인먼트의 총아이며, 미래를 예언하는 환타지의 교과서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 때문이었으니, 세상은 참으로 생뚱맞다.

“뉘신지?”
“내가 니 애비”

다스베이더의 마지막 고백은 스타워즈 시리즈 전체를 갈무리하는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개봉 당시에 운위된 ‘방대하며 유려하고 놀라운 3D’는 솔직히 30여년의 맥락에 따른 디자인 한계에 의해 별로 감탄사를 자극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애비와 자식의 갈등구조를 제공해야 하는 중간자적인 입장의 성격은 마지막편이라는 장엄한 타이틀만큼의 스케일을 이끌어내는데 실패하고야 만다. “조지 루카스”가 언제부터 한시를 즐겨 읽으며 수미쌍관에 심취하셨는지 “니 애비의 갈등도 꼭 독고다이 맞짱으로 정점에 서리라”를 엔딩으로 가야만 했는지는 무척 궁금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인트로 부분의 거함들이 격돌하는 장면에서 우리가 생각한 스케일은 ‘본 것 이상’을 갈구함이 자명하다. 우리는 말 그대로 『스타워즈』의 스펙터클을 기대한 것이지 『다찌마와리』의 합을 갈구한 것은 아니다.

문제의 요인은 또 있다.

우리는 이미 『인디펜던스 데이』의 1대 다수의 맞짱 스케일을 경험한 바, 대통령도 미지의 절대세력을 응징할 수 있다는 플롯을 감상한 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외계인도 MS 기반의 윈도우를 쓴다는 아무도 모르는 사실을 알려주고야 만 『인디펜던스 데이』의 충격은 이미 한번 겪은 터, 그러기에 한 『다찌마와리』 하시는 아나킨 스카이워커옹께옵서 ‘다스 시디어스’의 명에 따라 몇 타스는 족이 넘어 보이는 포스 기사단을 독고다이로 정리 하시는 거나 충직한 시디어스의 늙다리 부하들을 정리해대시는 모습은 어제 본 코미디 오늘 또 보는 것 수준의 심심함을 넘어서지 못한다. 그렇다. 아나킨옹이 무슨 잘못이랴? 몇 년 먼저 나와 설친 『인디펜던스 데이』가 나쁜 놈이지.

요컨대 콩심은 데 콩 나야하는 “조지 루카스”의 수미상관 식 영화구조는 심히 용두사미스러운 클라이막스로 봉착한 바 ‘자식이기는 애비 없다’는 끈적한 혈연의 정을 다시 확인하는 영화로 갈무리 되었다. 이야기의 처음부터 중간까지를 마무리해야 하는 태생적 한계를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웅장한 전편의 아우라의 끝을 보고 싶어하는 관객들의 소구욕은 충족시키지 못한 한계를 가진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는 아무래도 아쉽고 종결의 맛이 나지 않는다.

문득 생각하건대, 스타워즈의 자랑스러운 마무리는 좀 더 일찍 나왔어야 했다. 우주적 『다찌마와리』는 이미 『인디펜던스데이’에서 확인했고, 지난 영화사 연작 시리즈의 점층적 스케일 상승감의 극한은 『반지의 제왕』에서 경험했으며, 무엇보다 무술의 합은 “쇼브라더스”가 이미 30년 전에 보여줄 건 다 보여주지 않았냐는 말이다. 하물며 그 후세대인 “성룡”, “이연걸”, “홍금보”, “원화평” 형님들이 그만큼의 것들을 할리우드에서 소비하지 않았는가?

영진공 그럴껄

굿모닝 서울


하나의 선거를 이겼다고 모든 게 바뀌진 않겠지만,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좋은 시작이 될 것입니다.

고단한 일상에 선뜻 다가온 기쁨을 짧고 굵게 만끽하시고,

다시금 발걸음을 앞으로 내디뎌 봅시다.

수고들 하셨습니다.

^_^

cfile4.uf.1733FB4B4EA8AB4F36E0A5.bmp
영진공 일동

“스파이더맨”, 소년 가장 히어로 이야기




우연히 케이블을 뒤적거리다 『스파이더맨』을 해주기에 봤습니다. 그걸 보고나니 2편이 보고싶어져서, DVD를 빌려 보았습니다.

물론 “샘 레이미” 감독, 하면 무조건 『이블데드』를 외치실 영화광들이 많다는 건 잘 알고 있습니다. 호러영화를 보는 자만이 진정한 영화광이란 식의 삘을 마구 드러내는 분도 있고 슬래셔만이 호러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제게 있어 진정한 호러는 『대부』 시리즈거든요.

하여간에, 그래서 저는 대다수의 『이블데드』 팬들이 매우 혐오(?)하시는 『퀵 앤 데드』를 너무 좋아하고, 각종 ~맨 시리즈를 좋아하는 미국 히어로물의 팬답게 『다크맨』도 좋아합니다. 그리고… 『스파이더맨』 시리즈도, 당연히 좋아하지요.

“토비 맥과이어”의 ‘너무너무 착하고 불쌍한’ 피터 파커가 참 좋아요. 아마 미국 수퍼 히어로들 중에서 가장 착하고 불쌍할걸요. 알바 하느라 뭐 하느라 스트레스 쌓여서 공중에서 추락하는 수퍼 히어로라니! 게다가 저는, 이 소심하고 착하고 약간 너드 과인 이 녀석이 너무나 순진하게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갈구하는 과정도 그저 헤벨레~ 해서 보게 됩니다.

게다가 감독은, 이 아이의 그 갈구를 너무나 충실히 들어주고 있어요. 2편 기차 안에서 기절해버린 피터 파커를 사람들이 잡을 때만 해도 저는 감독이 ‘피에타 장면'(죽은 예수를 땅으로 내리는)을 정말로 연출할 거라곤 생각하지 않았답니다. 설마, 설마, 했는데 정말로 해버리데요. 으허허 웃으면서 “샘 레이미” 이런 센스쟁이!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아이는 정말 너무 착하고 순진하면서도 한편으로 사람들의 사랑을 갈구하고, 그래서 거미인간 노릇을 계속하죠. 자기한테 힘이 생긴 이상 남을 돕지 않으면 죄책감에 괴로울 아이예요. 『배트맨』이야 원래 갑부집 자식이고, 『슈퍼맨』이야 일하는지 노는지 모르면서도 월급은 꼬박꼬박 챙겨가는 직업인이고, 『크로우』와 『스폰』이야 이미 이승을 건너버린 자들이니 방세나 연료비나 식비 걱정은 안 해도 될 것이지만 이 아이는 아직 ‘소년’입니다. 한국처럼 대학생 과외로 해외여행 다녀올 만큼 벌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정말 ‘알바’ 수입으로 학비니 생활비니 충당을 해야 하죠.

거기에 뭐 ‘지구를 구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범죄많고 탈많은 뉴욕 시내를 노상 돌아다녀야 하니 바쁘기도 바쁘고 스트레스도 안 받는 게 이상하죠. 프롤레타리아 수퍼히어로라니, 이론상으로야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실제 영화에서 구현된 적은 많지 않잖아요?

이 아이의 서툴고, 미숙하고, 어리숙하고, 순진한 그 성격 자체가 너무 마음에 듭니다. 하긴, 수퍼히어로물이란 언제나 내적인 내러티브로 ‘성장’을 다루기 마련이지만, 이 영화는 외양까지 정말로 성장영화라고요. 똥폼만 잡으며 세상의 온갖 비극을 다 짊어진 척하는 ‘남자’ 영웅들은 멋있긴 하지만, ‘소년’ 영웅인 이 아이는 멋있는 대신 ‘사랑스럽’죠. 그리고, 그런 아이의 처지를 받아들이며 당당히, 용기있게 고난의 길을 선택한 메리 제인도 참 멋진 아이구요.

끝없이 유사-아버지를 찾다가 죽여야만 하는, 그리고 그러한 살부 의식들을 거쳐 결국 자기 발로 성장하고야 마는 『스파이더맨』의 또다른 이면엔, 아버지의 그림자를 극복하지 못한 채 결국 자아가 흡수돼 버리고, 파괴되고 마는 해리 오스본이 있습니다. (사실 둘은 거울의 양면인 셈이죠.) 그래서 3편에선 해리 오스본이 본격적으로 악의 그늘을 선택하게 되지 말입니다.

영진공 노바리

“밀리언 달러 베이비”와 아이리쉬 코드들




미국에서 소수인종학을 가르치고 있는 일레인 김이라는 훌륭한 학자가 썼던 글이, 나의 뿌리, 나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수단으로서 민족주의로 결론을 맺는 걸 보고 허걱!한 적이 있는데, 생각해 보면 이해 못할 일도 아니다.

그 미국 땅에서 원래부터 기득권인 WASP(White Anglo-Saxon Protestant)는 굳이 민족의식, 자신의 뿌리를 얘기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아무리 인종과 민족이 섞이고 여러 혈통이 섞인다 해도, 사람 사는 동네라는 게 대체적으로 비슷한 사람들끼리 동네를 이루고 결혼하고 사는 경우가 많고, 그 동네별 출신별 특성이란 게 결국 나오는 법이다.
게다가 고난과 차별을 당하고, 한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 나라의 가장 밑바닥을 지탱하는 사람들일수록, 자신의 긍지와 주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뿌리를 찾는 작업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밀리언 달러 베이비』는 신뢰와 사랑으로 뭉친 유사 가족이 피로 이어진 전통적인 가족을 대체해 가는 이야기이기도 하고, 절망 속에서도 꿈을 찾는 사람들이 나누는 최고의 우정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도 하다. ‘여성 복싱’이라는 흔치 않은 소재를 진부하다고 할 수밖에 없는 플롯에서 풀어내지만, 매끈하게 잘 만든 영화이고,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노인의 지혜와 따스한 사랑이 곳곳에 배어있을 뿐 아니라 이를 적절하게 표현해내는 훌륭한 테크닉까지.

하지만 이 영화는 미국 내, 그리고 유럽 전역에서 그토록 오랜 고난과 한을 쌓아온 아일랜드계, 즉 아이리시들의 주체성이나 긍지 같은 걸 확인할 수 있는 영화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 영화에서 나오는 아이리시 코드를 살펴보고, 우리가 접해온 수많은 다른 영화들의 아이리시 코드를 잠깐 디벼보기 위해 쓰는 글이다.

1.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 드러나는 아이리쉬 코드들

먼저 『밀리언 달러 베이비』의 모태가 된 책, “불타는 로프(Rope Burns: Stories from the Corner)”를 쓴 F.X.툴은 아일랜드인이다. 당연히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역할을 맡은 영화의 주인공 프랭키 던 역시 아일랜드 계통. 그는 스크랩(“모건 프리먼”)의 퉁박에도 불구하고 계속 게일어(아일랜드 전통어)를 들여다보고, 게일어로 된 가장 아름다운 시를 쓴 시인 예이츠의 시를 즐겨읽는다.

미국식으로 퓨전화된 레몬파이가 아니라, (정통 아일랜드 식의) ‘수제’ 레몬파이를 먹는 게 인생의 낙이었기도 하고. (매기와 함께 레몬파이를 먹고나서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까지 말하는 건 먹는 것 갖고 오버한 거라기보다는 그런 향수를 표현한 것일 게다.) 그리고 … 매기 역시 아이리시다. 미국인 이름들 중 ‘오하라 O’hara’나 ‘맥도날드 McDonald’, ’피츠제럴드 Fitzgerald’처럼 O’나 Mc, Fitz로 시작되는 라스트 네임은 그가 아일랜드 계통임을 보여주는 징표다. (원래 “~의 아들”이란 뜻.)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알다시피, 프랭키가 매기에게 선사하는 ‘모쿠슈라(Mo Cuishle)’라는 말은 게일어, 즉 아일랜드어인데, 이 이름이 새겨진 가운을 처음 입고 등장한 경기 장면에서, 그녀의 등판의 글자를 보고 관객들이 호들갑을 떨며 반응하던 것을 기억하는가? “등판에 글씨 봤어?” 사람들이 이렇게 호들갑을 떨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단지 신기하고 특이한 이름이어서가 아니다. 그 이름이 바로, “나는 자랑스러운 아일랜드인”이라는 선언문과 같기 때문이다. 그것도, 그녀가 처음 그 이름을 걸고 나선 그 경기가 바로 영국땅에서 벌어진 영국 챔피언과 싸우는 경기였기 때문에 아이리쉬 관중들에겐 더욱 특별한 의미가 됐던 것이다.

아일랜드인 소설 원작자가 굳이 모쿠슈라의 첫 경기장으로 영국을 택한 것도,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다른 유럽 원정경기를 생략한 채 이 장면을 스크린에 담은 것도, 그런 의미가 있는 것이다. 게다가 모쿠슈라의 가운 색, 초록색은 아이리쉬의 최대 명절인 성 패트릭 데이의 상징색이다. 성 패트릭은 아일랜드에서 가장 사랑받는 성인이며, 그 날을 기념하는 성 패트릭 데이를 상징하는 것이 바로 초록색과 네잎 클로버이다. 그냥 초록색이면 우연한 선택일 수 있지만, 게일어로 된 별명이 새겨진 초록색 가운은, 그냥 초록 가운이 아닌 것이다. 그것은 아이리시를 상징하는 가운인 것이다.



이후 경기장마다 모쿠슈라를 환호하는 사람들은, 그저 권투 잘 하는 선수 하나를 응원하는 게 아니다. 그들은, 자랑스러운 아이리쉬의 전통을 내걸고 아이리쉬의 긍지와 주체성을 전면에 표현한 자신들의 대표주자를 응원하는 것이다. 생각해 보라. 헤비급이건 뭐건 미국에서 차례대로 선수들을 이기는 어떤 황인선수가 영어로 된 이름이나 단어가 아닌 한글로 “내 사랑”이라고 쓴, 청색과 붉은 색이 섞인 가운을 입고 매 경기에 출전한다면, 그리하여 첫회 KO승으로 연승을 거둔다면, 미국 내에서 고단한 삶을 이어가고 있는 밑바닥 한국 출신 미국인들에게 과연 어떤 긍지와 자부심을 줄지 말이다.

어쩌면 매기가 웰터급 타이틀전에서 다 이긴 게임에서 결국 상대의 반칙으로 질 수밖에 없었던 것도, 아일랜드라는 나라의 고단하고 한 많은 역사와 연결지어 생각해 본다면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2. 다양한 영화들에서 드러나는 고난과 한의 이름, 아이리쉬

원래 영국 본토에서 살고 있던 토박이들은 켈트인(혹은 셀트인)들이다. 아이리쉬의 선조들. 하지만 이 땅에 앵글로-색슨 족이 들어오면서 땅을 두고 싸우게 되고, 결국 켈트인들은 계속해서 변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그들의 역사적 저항과 반발심이 만들어낸 켈트 영웅이 바로 아더왕이다. 작년에 개봉한 “클라이브 오언”의 『킹 아서』은 바로 이 시기를 신화나 전설이 아닌 역사적인 이야기로 구성해 보여주고 있다. 아더를 비롯해 갤러해드, 랜슬롯 등의 원탁의 기사들과 귀네비어가 모두 까만 머리에 까만 눈인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들은 켈트인들, 그것도 여러 핏줄이 섞이기 이전의 켈트인들이기 때문이다.

영국 본토에서 주도권을 차지한 앵글로-색슨 족은 일찌감치 왕조를 열었고, 켈트인들은 잉글랜드로 흡수되거나 소규모 마을을 이루고 살게 되고 또 지금의 아일랜드 지역에 모여살게 되는데, 특히 지금의 아일랜드 지역은 지리적 특성상 자신들의 문화를 강하게 보존해오게 된다. 영국은 잉글랜드를 기반으로 웨일즈와 스코틀랜드, 아일랜드까지 합병해 브리튼 제국을 경영하게 된다. 노르만인이 앵글로-색슨 왕조를 접수한 이후에도, 아일랜드는 영국 왕에 따라 때로는 브리튼 왕의 간섭을 받는 자치 왕(종주왕) 하에 자치를 하기도, 영국 본토의 직접 통치를 받기도 했지만, 결코 독립을 위한 봉기를 멈춰본 적이 없다. 결정적으로, 영국 왕이 국교를 영국 국교로 전환하고 난 후에도 아일랜드인들은 카톨릭을 고수한다. 엘리자베스 여왕이 영국인 대다수에겐 위대한 왕일지 모르지만, 아일랜드인들에게는 착취와 차별과 직접통치, 그리고 개종을 강요한 왕인 것이다.

1800년에 아일랜드가 법적으로 대영제국에 통합된 이후 아일랜드의 독립운동은 더욱 거세졌으며, 결국 영국으로부터 완전 독립을 이루어내어 아일랜드 공화국(그 이전은 에이레, 수도는 더블린)을 성립하긴 하지만, 이것은 아일랜드 섬의 일부일 뿐이다. 여전히 독립 자치국이 아닌 영국령으로 있던 북아일랜드에는 영국이 잉글랜드의 본토인들을 역사적으로 계속 이주시켜 잉글랜드인과 아일랜드인들이 혼재되어 있었고, 독립을 외치는 아일랜드인과 영국령에 속하기를 원하는 잉글랜드인 사이에 여러 모로 민족 분쟁이 끊이지 않았는데, 여기에서 남-북 아일랜드 통일을 주장하는 무장단체 IRA와 영국 왕실을 지지하는 잉글랜드인들 사이의 반목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아일랜드 분쟁’의 배경인 것이다.

우리가 ‘피의 일요일’이라 알고 있는 사건 – 영화 『블러디 선데이』, U2의 노래 “Sunday Bloody Sunday” 등 – 역시, 평화적으로 시위하던 아일랜드인들을 향해 영국 군대가 총칼로 진압한 사건이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더 복서』 등을 감독한 “짐 쉐리단”의 일련의 작품들이나 “테리 조지” 감독의 『어느 어머니의 아들』은, 바로 이러한 긴장 속에서 아이리시들이 부당하게 받은 탄압을 고발하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편이니 과연 아일랜드 사람들의 박탈감이 어떻겠는가. 영국 본토에 의해 계속 착취당하고 억압받고, 계속 독립투쟁을 벌일 수밖에 없고, 그렇기에 더욱 영국 본토에서 아무리 개발과 발전이 이루어진다 한들 아일랜드는 여전히 못 살고 가난한 동네에 불과할 뿐이다. 영국 내에서도 변방에 변방일 수밖에 없는. “알란 파커”감독의 전설적인 음악영화 『코미트먼트』의 주인공들은 바로 음악을 통해 삶의 희망을 갖고자 하는 아이리시 청년들이며, 이 영화에서 “아일랜드인은 유럽의 흑인이다”라는 대사까지 나오는 건 이유가 있는 것이다. IRA, 즉 북아일랜드 독립을 위한 무장단체가 무장 투쟁하는 것 역시 (그들의 방식에 대한 찬반은 논외로 치더라도)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다.

우리는 의외로 IRA가 등장하는 굉장히 많은 영화를 보아왔다.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 매기가 아버지와 갔던 곳이라며 프랭키를 데려가는 파이집 이름이 바로 IRA ROADSIDE DINER이다. IRA는 ‘아이라’라는 여성 이름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그 IRA일 수도 있는 것이다. “존 부어맨” 감독의 『제너럴』은 어떨까? 이 영화의 공간적 배경이 바로 더블린이다. 바로 아일린드 공화국의 수도. 『제너럴』의 영어가 도통 알아먹기 힘든 영어인 것은, 아이리시의 ‘사투리 영어’이기 때문이다. ‘장군’이라 불리던 도둑왕 마틴 카힐이 총을 맞는 것은 IRA한테서인데, 그가 아일랜드의 보물격인 명화들을 바로 왕당파 – 즉 영국 왕실을 지지하는 – 에게 팔아먹었기 때문이다.

“닐 조단” 감독의 경우, 아일랜드 독립운동에 헌신한 아이리시 영웅 마이클 콜린즈에 관해 만든 영화가 바로 “리암 니슨”이 열연한 『마이클 콜린즈』. 『크라잉 게임』은 좀 별난 로맨스가 아니라, 사실 매우 정치적인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는 영화다. 우리의 주인공 스테판 리가 바로 IRA의 일원이며, 그가 억류했던 영국인 병사인 포레스트 휘태커는, 정통 앵글로-색슨인이 아니라 흑인이다. 그리고 그를 통해 만나게 되는 제이드 데이비슨은 흑인 혼혈에 트랜스젠더. 이쯤 되면 이 영화는 결국 정치적인 거대담론 때문에 정작 싸우고 죽이고 죽는 건 소수자들끼리일 수밖에 없는 모순을, 사랑을 통해 화해를 시도하는 영화가 아닌가 해석해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제 미국으로 가보자. 아일랜드인들이 대거 미국땅에 발을 딛는 건 19세기 발생한 감자기근 때문이다. 생존을 위해 아일랜드인들은 미국행을 택하기도, 영국행을 택하기도 했지만, 영국으로 갔던 아일랜드인들은 영국정부에 의해 미국행을 강요받았다. 이 결과 이 시기에 대규모 아이리시의 미국 이민이 이루어진다. 고국에서 재산깨나 가지고 있었던 이들이야 새로운 신천지 미국땅에서 새로운 농장을 일구며 부를 축적하지만, 대다수의 가난한 이들이 사회의 가장 밑바닥을 이루는 건 당연한 일. 아마도 아일랜드 이민사에 대해서는 “톰 크루즈” 주연의 『파 앤 어웨이』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리시들은 미국에 막 이민왔던 당시 ‘흑인 금지’와 마찬가지로 ‘아일랜드인 금지’ 팻말의 차별을 당했다고 한다. 인종차별은 언제나 가난과 함께 심화되는 법. 그렇기에 그런 삶은 소방관이나 경찰처럼 말급의 공무원 진출이나 적극적인 정계진출을 시도하기도 하지만 암흑의 세계에도 빠르게 진출한다. 지금이야 미국 갱영화 하면 『대부』를 비롯한 이탈리아 계통의 마피아를 떠올리지만, 『대부』의 알 카포네가 자기 권력을 확립하면서 축출해낸 이전 갱이 바로 아이리시 갱 두목인 오배니언이었다. 코엔 형제의 걸작 누아르 『밀러스 크로싱』은 바로 아이리시 갱들 사이의 세력다툼에 관한 영화이다. 갱과 노동조합의 결탁을 고발했던 영화들, 예컨대 『워터프론트』 같은 영화는 바로 아이리시 갱과 아이리시 노동조합의 결탁을 고발하는 영화들이다.

미국영화에서 또 재미있는 건 경찰과 소방관들이 대강 아이리시인으로 표현된다는 사실. 지금도 미국 전체 경찰의 1% 이상이 아이리시라 한다.『분노의 역류』에서 소방관들의 장례식에 백파이프가 동원되는 건, 미국의 소방관들의 꽤 많은 퍼센테이지가 아이리시이기 때문이다. (‘백파이프’하면 바로 생각나시리라.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 매기가 푸른 곰과 싸우는 웰터급 타이틀 매치를 할 때 프랭키가 “밴드도 불렀다”며 백파이프 연주자들의 뒤를 따라 경기장으로 입장하는 장면을.)

이는 가난하고 전문기술이 없는 밑바닥 사람들이 빠르게 자리를 잡기 위해 선택한 직업들이라는 분석이 있다. 그리고 이것의 연장선상에서 본다면, 서부극에서 유난히 아이리시들이 많이 활약하는 현상도 이해가 된다. 대거 이민 당시 벌어진 남북전쟁에 아이리시들이 참전을 많이 했는데, 전쟁이 끝난 후 이들이 서부를 떠돌게 된 것. “존 포드” 감독의 서부극의 영웅 “존 웨인”이 바로 아이리시다.

그뿐 아니라 “존 포드” 그 자신이 아이리시로, 이 사람은 심지어 자기 사촌이 IRA 일원이었고, 아이리시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기며 그러한 정체성을 영화 전반에 걸쳐 만들어낸 감독이다. 그의 서부극에 등장하는 영웅들은 전형적인 ‘아이리시 성격’이며, 심지어 서부극이 아닌 “존 포드”의 영화 『분노의 포도』에서 극단의 빈곤으로 이곳저곳을 유랑하고, 그 와중에서 희망을 발견하는 주인공 역시 아이리시 가정의 아이리시인이다.

원래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도 90% 이상이 카톨릭을 믿는다. 주로 미국에서 터를 잡은 대다수의 아일랜드 출신들은 미국에서도 가장 밑바닥을 차지하고 있는, 백인 중에서도 가장 가난한 백인들이다. 그리고 이들의 생활공동체의 중심이 되는 곳이 바로, 교회가 아닌 성당인 것. 아이리시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수많은 영화들에 성당씬이 등장하는 건 이 때문이다.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도 ‘교회’가 아닌 ‘성당’이, 목사가 아닌 ‘신부’가 등장하는 것은 당연하다. 아이리시 계통이기 때문이다.

3. 소중한, 나의, 밀리언 달러 베이비

이렇게 아이리시 코드들을 살펴보면, 『밀리언 달러 베이비』에서 프랭키가 매기를 향해 모쿠슈라, 즉 “내 소중한 나의 혈육”이라고 불렀던 이유가 조금 더 다면적으로 다가오고, 또한 사람들이 그토록 ‘모쿠슈라’를 연호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조금더 짠하게 다가온다. 혹 기억나실지 모르겠지만, 매기가 경기를 벌이는 경기장 안에서 그녀를 응원하는 관중들이 심지어 아일랜드 국기를 들고 있기까지 한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그리고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보수성이 더욱 드러난다.

아일랜드 국기

실제 자신의 피를 나눈 딸과 소식이 끊겨버린 그에게 ‘의붓딸’과도 같은 매기는, 아이리시들 특유의 문화습성을 가지고 있긴 해도 특별히 자기 뿌리에 대한 열망은 없다. 그녀는 자신의 팬들이 주로 아이리시라는 사실에 별로 개의치 않고, 병상에 누워서는 프랭키에게 “또 그놈의 잘난 게일 책 봐요?”라고 묻는다. 게일어 책을 노상 들여다보고 예이츠의 시에 심취한 프랭키와는 완전히 다르다. (예이츠의 시는 아일랜드의 전통문화유산을 영국의 문학 전통에서 새로이 정립하고자 했던 흐름에 서 있다.) 이들이 유사 부녀간의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 그리고 마침내 그토록 보수적인 사람으로 하여간 아들래미가 아닌 새로운 딸래미를 훈련시키고, 또 안락사하게 하는 정이란, 시대의 변화를 맞이한 진정한 보수주의자이기에 오히려 선택할 수 있는 결단일 것이다. 그리고 그 배경엔 아주 흐릿하게, 아이리시로서의 정체성이 놓여있고.

원래 민족주의란 보수적인 것이다. 우리 가족, 우리 민족, ‘우리’에 집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우리’를 만들어가는 테두리를 어떻게 놓을 것이냐에 따라, 유연성있는 보수와 꼴통 보수가 갈릴 수밖에 없다. 그리고 우리에겐, 제대로된 보수주의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그립다. 똥배짱 부리면서 자식들을 쥐어패는 보수주의자 아버지가 아니라, 자식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신념을 접고서 자식이 가장 원하는 것을 해줄 수 있는 보수주의자 아버지. 또한 다른 이를 기꺼이, 자신의 가족으로, 혈육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보수주의자 아버지.

“클린트 이스트우드” 식의 보수주의가 놀라운 건, 원래 제대로된 보수주의가 그래야 하듯 넓디넓은 포용력 때문이다. 또한 그렇기에 어느 한 구석은 찜찜한 느낌이 남아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고. (그의 전작인 『미스틱 리버』의 마지막 장면을 보며 나는 두 번 전율했는데, 한 번은 이 영화가 너무나 완성도 높은 걸작이기 때문이었고, 또 한 번은 가족주의와 가장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4. 맺으면서

미국이란 나라는 내가 어느 민족 출신이냐보다 내가 어느 국적의 사람이냐가 더 중요한 나라다. 워낙에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한 나라를 이루고 살려면 그건 당연할 수밖에 없다. 흔히 재미교포 2세, 3세가 한국어도 못한다고 욕하는 한국사람들이 있는데, 과연 그것이 온당하다고 할 수 있을까. 물론 자신의 뿌리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그리고 많은 미국인들이, 자신의 뿌리를 궁금해하며 아버지와 어머니 양쪽으로 가족나무를 그려나간다. 하지만, 그가 어디에 살고 있는가는 더욱 중요하다. 다양한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살 수 있는 미덕, 그것이 특히 눈으로 척 보기에도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모여살 수 있는 미국이란 나라가 그 땅에 사는 사람들에게 요구하는 미덕이다.

다양한 문화집단을 이루며 살고 있는 사람들의 특유한 문화습성을 서로 알고 이해하는 것, 그리하여 ‘공존’해 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그렇기에 이 글에서 살펴본 아이리시 코드는 영화 전체를 관통해서 일관되게 나타나긴 하지만, 아이리쉬가 아닌 이들을 배척한다거나 미국 내 소 아일랜드를 세우자는 식으로 읽을 필요는 없다. 이 영화의 주인공들은, 다른 문화를 갖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사는 와중에 자신의 뿌리라는 걸 조금 더 드러내고 있을 뿐이다. 막말로 아이리시가 아니라고 해서 매기의 팬이 못되는 것도, 한국 사람이라고 해서 『밀리언 달러 베이비』를 보며 감동하지 못하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흑인인 윌리와 스크랩(모건 프리먼)은 얼마든지 그 체육관에, 가족 비슷하게 받아들여졌고 말이다

이 글은, 어차피 한국에서만 살 사람이라면 별로 읽을 필요도 없지만, 미국영화를 조금 더 재미있게 보고자 하는 사람들을 염두에 두며 쓴 글이다. 이런 사족을 덧붙이는 것은 딴 게 아니라, 이 글에서 짚어본 아이리시 코드를 과도하게 배타적인 민족주의로 연결할까봐 걱정이 되기 때문이다.


* 참고서적 :
   박지향, [영국사 – 보수와 개혁의 드라마]

   오치 미치오 외, [마이너리티의 헐리웃]


 


영진공 노바리


 


 

Ray, Ray, Ray ……


레이 챨스(Ray Charles),

1930년 미국 조지아 주에서 태어나 2004년에 LA의 자택에서 영면한 그에 대해서는 사실 우리가 그리 많이 알고 있지 않다.

비록 시력은 잃었지만 피아노를 기가 막히게 연주하는 뮤지션이라는 것, 미국에서는 굉장한 인기와 존중을 받는 가수라는 것 정도이다. 그리고 알려진 노래라고 해 봤자 “I can’t stop loving you” 달랑 하나 정도. 어쩌다 한 번씩 FM에서나 TV 광고 삽입곡으로 듣게 되는 “Hit the road, Jack” 같은 경우도 그걸 부른 가수가 Ray Charles라는 건 잘 모른다.

Ray Charles가 1957년에 처음 앨범을 낸 이후 2004년까지 발표한 앨범이 무려 63장이다. 그것도 베스트 앨범 등 기타 모음집을 제외한 앨범이 63장이다. 이것만 봐도 그가 미국 대중음악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짐작은 할 수 있을 테지만, 그 중 Billboard Chart 각종 분야에 올라 간 앨범이 50개가 넘고 싱글은 100개 가까이에 이른다. 덧붙여 Grammy 수상을 따져보면 1960년을 시작으로 14 차례 수상을 하였다.

그가 시력을 잃은 건 여섯 살 때 녹내장으로 인해서였다. 부모를 일찍 여의고 St. Augustine 맹아학교에 진학하여 작곡과 악기연주를 배운 그는 Florida에서 음악활동을 시작하여 Seattle로 옮겨간다. 그의 첫 히트곡이라 할 수 있는 건 1951년에 발표한 “Baby, Let Me Hold Your Hand”이고 이후 그는 Rhythm and Blues에 가스펠, 재즈, 컨츄리의 요소들이 융합된 음악을 계속 만들고 연주하여 Soul이라는 쟝르가 만들어지는데 아주 커다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던 그가 흑인음악을 넘어서서 미국 전역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59년에 발표한 “What’d I Say” 를 통해서였다. 어느 무도회장에서 연주를 하던 그가 준비해간 레퍼토리가 다 떨어지자 즉흥으로 연주하면서 만들어진 이 노래를 통해 말 그대로 전국구 스타가 된 Ray Charles는 이후 1965년에 이르기까지 말 그대로 폭발적 인기를 누리게 된다.

하지만 그 해에 헤로인 복용으로 구속이 되면서 그의 전성기는 내리막길로 접어들게 된다. 일 년간의 공백기를 거쳐 다시 음악활동을 시작한 그는 2004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앨범을 내고 히트 곡을 발표한다. 하지만 이 시기에 발표한 그의 음악은 Soul이나 R&B라기 보다는 Easy Listening Pop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렇게 데뷔 후 50년 가까이 공연과 앨범 활동을 쉬지 않고 꾸준히 이어오던 Ray Charles는 2004년 6월 10일 LA의 자택에서 간질환으로 숨을 거두게 된다.

우리에게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는 그의 노래는 다음과 같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한 번 구해서 들어보시면 좋을 듯 ……

* “What’d I Say” – 1959년 빌보드 팝 싱글 6위
* “Georgia On My Mind” – 1960년 빌보드 팝 싱글 1위
* “Hit the road, Jack” – 1961년 빌보드 팝 싱글 1위
* “I can’t stop loving you” – 1961년 빌보드 팝 싱글 1위
* “Unchain My Heart” – 1961년 빌보드 팝 싱글 9위
* “You Don’t Know Me” – 1961년 빌보드 팝 싱글 2위

그럼 그의 노래 중 하나를 들어보자.
영화 “레이(Ray)”에도 삽입되어 있는 노래인데, 그가 1960년에 발표하였고 Eric Clapton이 1989 년 “Journeyman” 앨범에서 다시 부르기도 한 “Hard Times(Who knows better than I)”이다.

Hard Times(Who knows better than I)




My mother told me
Before she passed away
Said son when I’m gone
Don’t forget to pray
‘Cause there’ll be hard times
Lord those hard times
Who knows better than I?

살아 생전에,
어머님은 말씀하시곤 했지,
당신이 떠나거든,
언젠가는 어려운 시절이 오기 마련이니,
항상 기도하는 걸 잊지 말라고,
그 힘겨웠던 나날들,
그런 시절을 누가 나보다 잘 알까?

Well I soon found out
Just what she meant
When I had to pawn my clothes
Just to pay the rent
Talking about hard times
Who knows better than I?

어머님의 말 뜻을,
난 곧 깨닫게 되었네,

방세를 내기 위해,
입던 옷을 들고 전당포를 찾았을 때 말이지,
쪼달리는 삶이라고?
그걸 누가 나보다 잘 알까?

I had a woman
Who was always around
But when I lost my money
She put me down
Talking about hard times
Yeah, yeah, who knows better than I?

내게도 여인이 있었네,

항상 내 주변을 맴돌던 그녀,
하지만 돈이 떨어지자,
그녀는 나를 버렸지,
고달픈 시절이라고?
대체 그걸 누가 나보다 잘 알까?

Lord, one of these days
There’ll be no sorrow
When I pass away
And no more hard times
Yeah, yeah, who knows better than I?

신이시여, 요즘에는,
더 이상 후회도 없습니다.
내가 죽고 나면,
더 이상 힘든 시절도 없겠죠,
그래요, 그런 나날을 누가 나보다 더 잘 알까요?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