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겁고 행복한 설날 보내세요.


謹賀新年

신묘년에 가내 두루 매일 이 넘치시고,

항상 건강이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영진공 일동

 

“아이 엠 러브”, 사랑이 나를 존재케 한다.



‘아이 엠 러브’ 2011. 1월 개봉

가끔 나의 일부를 떼어 놓을 때가 있다. 그것도 기꺼이 능동적으로 그렇게 하는데, 시댁에 있을 때 정확히는 시댁 식구들과 함께 있을 때 대체로 그런 편이다. 그땐 일도 고민도 기분도 멀찍이 둔다. 그렇다고 나란 이 자체가 타인으로 변신하는 건 아닐 테지만. 아무도 직언으로 지시하지 않은, 그렇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스스로는 찾지 않을 역할의 자리로 가 해내야 될 일들은 한다. 

‘아이 엠 러브'(감독 루카 구아다그니노) 의 엠마(틸다 스윈튼)에게 옅게나마 ‘나’ 를 비춰보는 건 지나친 이입일까. 엠마는 이탈리아 상류층 재벌가로 시집온 러시아 여자다. 겉으론 화려해 보여도 가족행사를 치밀하게 준비하는 가정 비서에서 세 아이의 다정스런 엄마까지, 엠마에게 주어진 역할은 협소하다.  굳이 ‘너란 존재는 애당초 없었다’ 는 얼음장 같은 남편의 말을 듣지 않아도 고독했을 그녀의 삶을 짐작하는 건 어렵지 않다.

실컷 웃을 수도 울 수도 없었을, 아예 자신의 이름조차 잊고 살던 그녀에게 사랑이 찾아온 건 그래서 참 다행이다. 더구나 사랑에 빠진 이가 요리사라면 … 부럽기까지 하다. 물론 그들의 ‘영화같은‘ 사랑은 순탄치 않다.

요리사는 아들의 친구이고, 이 관계가 결국 치명적인 슬픔이 돼 엠마를 찌른다. 그렇지만 영화가 비극의 정점을 찍고 맞는 엔딩은 실로 놀랍다. 엠마는 자책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맛본 사랑을 향해 돌진한다. 아들의 옷을 대충 걸치고는 사랑하는 안토니오 곁으로 허겁지겁 달려가는 엠마의 모습이 어찌나 결연한지 불륜 영화의 여주인공이라기 보단, 시대극의 여전사같다. 아이 엠 러브. 나는 사랑이란 걸 비로소 깨달은 까닭이다.

영화는 시선을 사로잡는 독특한 앵글과 긴장을 늦출 수 없게 만드는 배경음악과 이탈리아의 상류사회를 엿보는 재미와 밀라노와 산레모의 하늘 아래 함께 걷는 환상의 착각까지 더하며 시종일관 흥미롭다. 단지 이미지나 이야기로만 소비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성과다. 나와 같이 분리된 삶을 사는 유부녀가 본다면 영화의 기술적 성취보다도 정서적인 이끌림에 크게 동요될지도 모를 일이다.
 


영진공 애플

“월 스트리트: 머니 네버 슬립스”, 너무 어려워진 속편





올리버 스톤 감독의 <월 스트리트>가 1987년 영화였으니 그로부터 23년 만에야 다시 만들어진 속편입니다. 젊은 주인공들이 사용하는 컴퓨터 모니터만 비교해 보아도 세월의 흐름이 쉽게 느껴질 수 있을 만큼 긴 시간입니다 – 버드 폭스(찰리 쉰)의 증권 거래용 단말이 14인치 CRT 흑백 단말이었던 반면 제이크 무어(샤이아 라보프)는 자신의 아파트 책상 위에만 무려 6개의 컬러 LCD 모니터를 설치해놓고 다양한 금융 정보를 모니터링하면서 삽니다.

그렇게나 꽤 오랜 시간이 지났건만 금융 자본을 움직이는 인간의 탐욕성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월 스트리트 : 머니 네버 슬립스>가 보여줍니다. 그 중심에는 고든 게코(마이클 더글라스)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월 스트리트 : 머니 네버 슬립스>는 꽤 잘 짜여진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투자 은행의 젊은 분석가 제이크 무어의 복수극과 전편에서 완전히 망했던 고든 게코의 화려한 복귀전이 고든 게코의 딸 위니 게코(캐리 멀리건)를 매개로 얽히게 되는 식입니다.

영화 중반까지 고든 게코와 제이크 무어의 관계는 마치 <양들의 침묵>에서 감옥 안에 갇힌 한니발 렉터 박사와 클라리스 스탈링 형사처럼 공동의 목표물을 향해 서로 도움을 주는 관계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8년의 복역을 마친 후 다시 7년의 시간을 보낸 뒤에 금융 위기를 예견하는 책을 내놓으면서 돌아온 고든 게코의 진짜 노림수는 일종의 반전이 되면서 젊은 주인공들 뿐만 아니라 관객들의 뒤통수를 치게 되지요.

그런 와중에도 망가질 대로 망가진 가족 관계를 어느 정도 수습하면서 대중 영화로서의 매듭짓기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 <월 스트리트 : 머니 네버 슬립스>입니다. 전편에 비해 속편 <월 스트리트 : 머니 네버 슬립스>가 다소 흥미진진하지 못하게 느껴지는 것은 우선 왠만한 금융 지식이 없이는 좀처럼 이해하기가 힘든 대형 투자은행의 흥망을 다루고 있다는 점입니다.

2008년의 금융 위기가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실로 인한 것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바이지만 실제로 월 스트리트 내부에서 어떤 내막이 있었던 것인지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고 봐야겠죠. <월 스트리트 : 머니 네버 슬립스>는 일반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된 사건의 원인을 뉴욕 금융가의 내부에서 재조명하면서 어쩔 수 없이 난해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영화가 되었다고 하겠습니다.

요점은 1만 5천 명의 직원을 거느리고 있던 명망있는 투자 은행이 다른 경쟁자 브레튼(조쉬 브롤린)의 음모로 인해 하루아침에 망했다는 것이고 그로 인해 CEO 루이스(프랭크 란젤라)가 뉴욕 지하철에 몸을 던져 자살을 함으로써 주인공 제이크에게 복수의 동기가 되었다는 것이긴 한데 그 과정이 와닿기가 쉽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전편 <월 스트리트> 역시 복잡한 금융가의 이야기이긴 했지만 건전한 기업가 정신을 상징하는 제조업체와 자기 이익을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 사악한 금융 자본의 대결 구도로 전개가 되면서 비교적 몰입하기가 좋았던 내러티브 구조였다고 생각됩니다. 마이클 더글라스가 연기했던 고든 게코는 그런 금융 자본의 탐욕스러움과 잔인함을 체화해서 보여준 인물이었던 것이고요.

반면에 속편인 <월 스트리트 : 머니 네버 슬립스>는 전편에서와 같은 대결 구도나 선악의 구분이 생각 만큼 명확하게 드러나지가 않는 편입니다. 조쉬 브롤린이 연기한 브레큰 제임스가 정확히 어떤 방법으로 사악한 짓을 한 것인지를 이해하기도 어렵고 그래서 통렬한 쾌감을 얻어내기는 더욱 어렵습니다.

어쨌든 요점은 제이크가 사건의 전말을 폭로하는 기사를 써서 브레튼 제임스에 대한 복수를 해내고야 말았다는 것이고 마침내 브레튼이 심하게 흥분하는 모습을 보고 나서야 비로소 관객들도 아 저 사람 망했구나, 라고 이해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전반적으로 대중적인 영화로서는 크게 성공적인 작품이라고 보기가 어렵겠습니다만 전작인 <월 스트리트>의 후속편으로서는 손색이 없는 편이라 하겠습니다. 관객들의 이해를 돕는답시고 금융 전문가들끼리 서로 총질을 해대는 식으로 이야기를 끌고 가지는 않았다는 것만으로도 작품의 격을 유지하는 데에는 충분했던 것 같습니다.

영국 배우인 캐리 멀리건의 미국식 영어 발음 연기도 이만하면 훌륭했던 것 같은데 하염없이 눈물만 흘리는 장면이 많았던 것이 캐스팅의 이유였던 것인가 생각하게 되더군요. 개인적으로 예상했던 대로 속편은 통쾌한 권선징악이기 보다는 대마불사에 가까운 결말을 택했는데 고든 게코가 친환경 사업에 익명으로 기부를 하는 것으로 탐욕의 화신도 옥살이를 경험하고 나이가 들면 조금은 철이 들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 듯 했습니다.

반면 전편의 젊은 주인공 찰리 쉰은 양쪽에 미녀들을 대동하고 나타나 고든 게코와 잠시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으로 출연했는데 투자 전문가로서 한창 재미를 보고 있는 모습이 제 2의 고든 게코처럼 보이기도 하더군요. 이래저래 밝고 건전하게 살기가 하늘의 별따기 같은 곳의 이야기다 보니 희망적인 모습만을 보여줄 수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영진공 신어지


 






 

[근조] 박완서


박완서(朴婉緖)
1931. 10. 20. ~ 2011. 1. 22.

고인의 약력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영진공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