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수”, 임창정, 슬픈 목숨의 노래

우연히 버스에 붙은 영화 <창수> 포스터를 봤어요. 임창정이 껄렁한 변두리 달건이 티셔츠 입고 사람들한테 끌려다니는데 창수라고 쓰여 있더라고요.

근데 창수가 슬플 창(愴), 목숨 수(壽)예요. 보통 사람 이름에 누가 이런 한자를 써요. 번성할 창에 빼어날 수 정도 쓰지. 그것만으로 이 캐릭터가 설명되더군요. 이 창수라는 놈은 태어난 게 불행한 놈이구나. 그런데 그 역할이 다름아닌 임창정이에요. 임창정은 이 방면에 아주 독보적인 배우죠.

그런데 작품을 개인 화보로 생각하는 배우들이 있어요. 대표로 이범수. 이 분 첫 인상은 강렬했어요.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에서 차승원 운전기사로 나올 때. 아주 생양아치 단발로 나오죠. <태양은 없다>에서도 그렇죠. 그러다가 지명도가 생기니까 자기가 원빈인 줄 아는 것 같아요. <아이리스> 보면 정보요원이 아니라 모델이더라고요, 연기를 하지 않고 화보를 찍는 줄 알았어요.

그렇게보면 임창정은 굉장히 영리한 배우예요. 자기가 어떻게 관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지를 잘 알죠. 시나리오 상에서 자신의 역할이 어떠해야 되는지를 아주 잘 이해합니다.
그래서 <스카우트>, <색즉시공>, <1번가의 기적> 등은 그냥 망가지는 캐릭터가 아니었어요. 그 망가짐 안에 페이소스들이 가득차 있죠.

독재의 ㄷ자도 모르던 대학시절에 대한 페이소스, 가난하고 못 생겨서 뒤처져야 하는 젊은이들의 페이소스, 가난해서 깡패가 됐는데 다시 가난한 이를 수탈해야 하는 이의 페이소스. 망가짐 안에 그 페이소스를 담아낼 수 있는 대한민국 유일한 배우라고 생각해요.

최동훈의 <도둑들>에서 이정재를 보고 굉장히 반가웠어요. 그는 굉장히 멋지고 세련된 이미지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이정재에게는 그보다 더 특출난 이미지가 있지요.

배창호의 <젊은 남자>, 김성수의 <태양은 없다>에서의 이정재 말입니다. 그 이정재는 물질적인 욕망에 가득차 그것을 쫓아가는 ‘불나방 날라리’ 이미지예요. 그런데 그 속물적인 욕망이 너무 순수해서 안타까운 캐릭터죠. 또 그래서 남을 속이고 죽여서 성공하는 게 아니라 언제나 그 욕망을 이루지 못 하고 좌절하죠. 속물 날라리지만 좌절하는 날라리이고 애처로운 날라리이지요.

최동훈 감독이 <도둑들>을 개봉하면서 사실은 <범죄의 재구성>에서의 박신양 역할을 ‘이정재’를 생각했다고 했어요. 저는 옳다구나 했죠. 박신양은 자꾸 조폭이나 건달로 나오는데 도저히 조폭이나 건달, 날라리가 되지 못 해요. <범죄의 재구성>에서 열심히 하긴 했지만 그 날라리 역할을 이정재가 했으면 더 잘 어울렸겠죠.

<도둑들>에서 최동훈은 이정재를 잘 읽었어요. 딱 어울리는 캐릭터를 주었지요. 이정재가 연기한 뽀빠이는 <젊은 남자>, <태양은 없다>에서 이정재가 십년 늙은 버전이에요. 개날라리에 똥폼 잡으며 힘껏 잔머리 쓰고 대가리 굴려봐야 선수들을 못 당하지요.

전 영화에서 캐스팅이 그래서 아주 중요하다고, 캐스팅만으로도 영화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고 보는데 임창정은 ‘슬픈 목숨 달건이’ 역할로는 보지 않아도 최고이지요. 그래서 살펴보니 감독이 각본까지 써서 입봉하는 작품이더라고요.

전 그러면 놀라울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누군가 암튼 그런 말을 했지요. “모든 감독은 한 편의 걸작을 갖는다. 그건 바로 자기 이야기다.” 각본까지 쓴 거 보니, 거기다 입봉작이다 보니 아마 위의 말이 잘하면 이 작품에 들어맞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어요.

<창수>의 시놉을 보니까, 태어난 게 불쌍한 놈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이야기네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이야기도 저는 매우 매력적으로 느낍니다. 가장 대표적인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은 <로미오와 줄리엣>이죠. 사랑해서는 안 되는 철천지 원수 집안. 그래서 그들의 사랑이 더 귀한 것이 됐고 고전이 되었죠.

<레이디 호크>도 있었어요. 서로 만날 수가 없어요. 여자는 낮에 매로 변하고, 남자는 밤에 늑대로 변하지요. <리벤지>도 생각납니다. 조폭의 첩을 사랑한 케빈 코스트너. 사랑해선 안 된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어디 인간사가 그렇게 되나요? 댓가를 받으리라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그 댓가는 아주 처참했지요. 그래도 사랑에 빠지는 것이 인간이지요.

“여자의 남자”도 있었어요.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소설이 원작이었죠. 영화였나 드라마였나 암튼 김혜수가 나오는 … 여자가 대통령의 딸이었지요. 도저히 사랑할 신분이 아니에요. 하지만 사랑은 시도 때도 없이 주제도 꼬라지도 안 보고 찾아와요.

<데미지>도 빼놓을 수 없어요. 아들의 아내, 며느리한테 사랑에 빠지지요. 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은 그 주인공을 힘들게 하고 고통에 빠뜨리고 좌절시키고 죽이는데도 끊임없이 변주돼요. 조건, 배경, 재산, 학벌 따지는 안전한 사랑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큰 코 다치는데 그게 사람 뜻대로 되지 않지요. 그게 사랑이지요.

영화를 꿈공장이라고 합니다. 현실에서는 볼 수 없고 이룰 수 없는 것들을 보여주기에 꿈이며 그것들을 컨베이어 벨트에서 기성품처럼 찍어대니 공장이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도 꿈이지요.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이나 <노팅힐>처럼 해피엔딩으로 끝난다면 더할 나위 없는 꿈이겠지요. 하지만 <창수>는 제목만 봐도 해피엔딩일 리가 없죠. 꿈을 꾸게 하고, 그 꿈은 시궁창 현실에 꼬라박히겠지요. 저는 그 꿈이 얼마나 처절하고 처참하게 좌절될지 기대가 돼요.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꿈을 꾸는 게 좋을지, 이루어지지 않기에 꿈도 꾸지 말아야 할지,

영화 결말에 가서 창수는 좌절된 꿈이더라도 행복해 할까요? 좌절된 꿈이기에 불행해 할까요? 그래서 <창수>라는 영화가 궁금해요.

저는 창수가 행여 목숨을 내놓더라도 행복해 했으면 좋겠어요.
그게 사랑이니까요.

“배트맨”, 그리고 문제적 인간 프린스


 

 


 


 


 



 


 


 


팀 버튼의 배트맨은 현대적 의미의 히어로 무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전에 슈퍼맨이 있었죠. 슈퍼맨은 1979년 리차드 도너 감독의 “슈퍼맨: 더 무비”에서 인간적(?) 혹은 크립톤 행성인과 지구인 사이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긴 하지만, 그러나 슈퍼맨은 슈퍼맨스럽게도 그 모든 고민을 초인적으로 헤쳐나갑니다. 그런데 팀 버튼의 배트맨은 그러질 않습니다. 그는 분노와 복수와 불안감이 마구 뒤섞인 감정 상태를 간직한채 끝까지 찜찜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그 찜찜함은 사실 팀 버튼 영화에서 자주 다뤄지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그 찜찜함은 오히려 동화적 상상력이 되어주죠. 조커와 맞서는 배트맨의 유치하리만치 치사한 공격, 죽은 척하다가 공격한다던가, 한 방에 죽일 수 있지만 비행기를 맞춰 더 아프게 만든다던지. 그런데, 이런 장면들이 크리스토퍼 놀란의 연출에서 있었다면 바로 공분을 샀을 겁니다. 그런데, 팀 버튼의 배트맨은 그런 짓을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죠.


 


그 까닭은 영화 속 장면들의 꾸밈새가 진지한 극영화이기보다는 환상과 전투를 오가기 때문이겠죠. 그리고 또 하나, 음악이 있습니다. 거기에는 영화 “비틀 주스”에서부터 지금까지도 단짝인 스코어의 마법사 대니 앨프먼이 있습니다.


 


대니는 정규 음악 교육을 받지 않았을 뿐 아니라, 록 밴드에서 활동을 하기도 했었죠. 미국 출신이지만 주로 유럽서 활동을 했었고요. “Oingo Boingo”의 기타리스트 겸 리드 보컬이었던 대니는 함께 밴드를 하던 형이 미국으로 돌아간다고 하자, 나름 유럽서 성공을 거두고 있던 밴드를 걍 때려치고 형과 함께 돌아옵니다.


 


그에게 영화음악을 처음 부탁한 감독이 팀 버튼입니다. “비틀 주스”나 “크리스마스의 악몽”의 배배꼬이면서도 신비한 분위기, “가위손”의 아련함도 모두 팀 버튼과 대니 앨프먼의 합작입니다.


 


대니 앨프먼 음악의 특징은 무규칙적으로 오르고 내리는 정서의 변화입니다. 확실히 그는 다양한 음악을 많이 들었고, 록 밴드 출신답게 이를 클래식적인 방식의 배치보다 “꼴리는대로” 마구 끌어다 붙이길 잘 하죠. 바로 이 무규칙성이 대니의 음악을 동화적이라 부르게 만드는 것이기도 합니다.


 


당연히 대니 앨프먼의 음악이 배트맨의 동화적이면서도 껄끄럽고, 우유부단하면서도 폭력적인 모습을 잘 뒷받침합니다. 박진감 넘치는 곡조에서 급작스런 현악 일색의 부드러운 곡조로 떨어지는 모습은 기-승-전-결을 따지는 클래식 작곡가들에겐 쉬이 상상할 수 없는 지점이죠. 그런데 대니보다 팀 버튼 버전 배트맨을 귀로 규정해주는 데 더 큰 영향을 끼친 이는 바로 “프린스”예요.


 


 


 



 


 


 


프린스는 1980년대 마이클 잭슨과 맞짱 뜰 수 있는 유일한 아티스트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자신이 최고의 기타리스트였고, 송라이터, 프로듀서, 싱어, 댄서 였죠. 완벽하게 계산된 무대 매너는 1980년대 마이클 잭슨과 그 만이 할 수 있는 것이었죠. 배트맨은 스코어에서도 왈츠에서 광기 넘치는 타악, 웅장한 배트맨 테마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음악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프린스는 이보다 한 발 더 나갑니다.


 


프린스가 이 음악을 원해서 만든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습니다. 워너 브로스 뮤직과 프린스의 사이는 나쁘기로 유명했고, 음반사는 그런 프린스를 고깝게 봐서 계약 이행을 내세워 앨범 발매를 종용하는 일이 많았으니까요. 무시무시한 창작욕을 자랑하는 프린스답게 이 앨범 역시 정말 빠른 시간 안에 만든 작품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렇다고해서 음악이 후진 건 아니죠. 클럽튠에 가까운 댄스 음악 ‘Partyman’과 ‘Batdance’ 그리고 가성을 사용한 감미로운 알앤비 발라드 ‘Scandalous’, 시나 이스턴을 데려와 팝 발라드의 전형을 보여주는 듀엣 곡 ‘The Arms of Orion’, 가성으로 중성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는 ‘Vicki Waiting’까지.


 


킴 베이싱거 누님이 맡은 비키 베일의 이미지를 끈적하게 만들어놓는 ‘Vicki Waiting’의 그루브감은 확실히 프린스의 전매특허죠. 그러고보니 킴 누님과 염문도 있었네요. 전반적으로 1980년대 록 음악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훵키 비트와 효과음이 경쾌한 멋진 앨범입니다.


 


 





프린스의 대표곡, “When Doves Cry” 

 


 


157cm의 단신인 프린스는 재즈 보컬리스트인 어머니와 재즈 피아니스트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10살 무렵 별거하던 아버지의 새 애인을 집에서 마주하는 경험을 하는 등 그닥 좋은 환경 출신은 아니었다네요. 물론 엄마, 아빠를 오가며 다양한 음악을 들었고, 자신의 밴드에 대해 평가를 부탁하는 등 음악에 대한 욕심은 부모 모두에게서 받았고, 또 부모를 이용하기도 했죠.


 


여튼 소속사 워너와 계약 문제로 끝장 법정 싸움이 불거지자 자기 뺨에 “Slave”라고 문신을 새기기도 했던 거 보면 보통의 인물은 아니죠. 남성과 여성의 심볼을 합친 자신만의 문양을 만들고, 그 문양을 이용한 기타를 연주하는 이 양반은 확실히 문제적 인간임에 틀림없습니다. 존재 자체가 배트맨의 양면성을 그대로 대변하죠.


 


프린스의 음악도 그래요. 흔히 훵크 가수로 분류하지만, 프린스의 음악에는 록의 요소가 짙죠. 고교 시절 첫 밴드에서 그는 지미 헨드릭스가 환생한 듯한 연주를 들려줬다고 하네요. 댄스와 퍼포먼스의 대가로 마이클 잭슨과 쌍벽이라고 하는데, 솔직히 프린스의 퍼포먼스는 거의 레이디 가가를 방불케 합니다. 누군가 레이디 가가의 등장을 보고 “여자 프린스”라고 했는데, 딱 어울리는 말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금 세대에겐 프린스가 1980년대에 레이디 가가처럼 기행을 일삼았던 남자 가수였다고 해야 이해할 지도 모르지만.


 


그런 프린스가 만든 영화 “Batman” 사운드 트랙은 영화를 떠나 음반 그 자체로도 높이 평가할만한 명반입니다. 대니 앨프먼의 스코어 못지 않게 영화에 이 음반 수록곡들이 슬금슬금 등장해서 영화의 분위기를 딱 잡아줍니다. 조커가 돈 뿌릴 때 흘러나오는 ‘Partyman’은 아주 대표적이죠.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한 ‘Batdance’도 정말 매력적이고요. ‘Lemon Crush’는 록, 훵크, 소울이 뒤죽박죽 믹스된 정말 프린스다운 명곡입니다. 비키 베일 역을 맡은 킴 누님에게 딱 맞는 분위기의 곡이었죠. 그런데, 영화에서 비키 누님은 이런 끈적한 분위기를 낼 듯 하다가 맙니다. 그걸 프린스가 아쉬워 했을까요? 킴 누님에게 딱 맞는 곡을 만들어 영화에 넣었네요.


 


그럼 ‘Batdance’ 들으시면서 포스팅을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Prince – Batdance (Batman Soundtrack) 작성자: Leroidukitch

 


 


 


영진공 헤비죠


 


 


 


 


 


 


 


 


 


 


 


 


 


 


 


 


 


 


 


 


 


 


 


 


 


 


 


 


 


 


 


 


 


 


 

B급 병맛 생계형 아이돌???

 

 


 


 


 



 


 


 


어느 여름밤 치맥 회식을 위해 안성에서 맞춘 복장으로 튀어나갈 준비가 된 직딩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이 처자들은 누굴까?


 


이들은 일본에서 모모이로 클로버 Z (ももいろクローバーZ, Momoiro Clover Z, 복숭아빛 클로버)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소녀그룹이라고 한다.


 


솔직히 며칠 전까지 이 친구들이 누군지, 뭐하는 애들인지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었는데 최근 불거진 어느 소녀그룹의 논란(?)이 뭔가 궁금하여 검색하다가 알게되었다.


 


2008년에 데뷔했다고 하는 이들은 아이돌이 되기 위해 거리에서 전단돌리기, 동네 놀이터에서 어린이들 상대로 공연하기 등 온갖 극기훈련을 거쳤다고 하여 생계돌이라 불리기도 하고,


 


시키는 건 뭐든지 다한다는 신조 아래 덕후 컨셉, 동네 노는 오빠 컨셉, 불량 직장인 컨셉 등 가리지 않고 닥치는대로 엽기질을 한다하여 병맛돌로 불리기도 한다고 한다.


 


 


  


 



시켜만 주신다면 눈에 불을 켜겠어요!


 


 


 


개인적으로는 소녀시대 멤버 이름과 얼굴도 매치시키지 못하는 마당에 일본 아이돌 그룹에 관심을 둘 일이 전혀 없지만,


 


검색결과에 나오는 이들의 활동상이 신기방기 하기도 하고 부담없이 한 번 웃어볼 수 있을 듯도 하여 가볍게 소개하는 바이니 그냥 그렇게 봐주시면 좋겠다.


 


우선 노래 이들의 노래 하나 들어보자.


 


 




 


 


위의 동영상에 나오는 노래는 이 친구들의 히트곡 중 하나라는데, 제목이 무려 “노동찬가”이다.


 


가창력이나 무대구성이야 뭐라 할 말이 없지만 … 가사 내용이 황당한게,


 


마치 옛 직장에서 노동조합 활동 열심히 하다가 퇴직한 할아버지가, 동네에서 어린애들 삥이나 뜯으며 껄렁대는 애들 붙잡아놓고 혼내면서 한바탕 설교를 늘어놓을때나 할 법한 이야기를 어린 소녀들 다섯 명이서 천연덕스럽게 불러제끼고 있는 것이다. 그걸 또 좋다고 따라부르고들 있는데 그게 그리 밉상스럽지만은 않다.


 


뮤비 하나 더 보자.


 


 


 




 


 


대놓고  덕후 병맛 전대물이다. 그게 컨셉이란다. 이거 TV에서 공연할 때 보면 요 꼬맹이들은 무지 진지하게 스텝 밟아주시고 팬들은 막 따라 부르는데 … 사회자들은 그거 보고 허탈하게 웃는다.


 


자기들 말마따나 뭐가됐든 시키는대로 열심히 하기는 한다. 그런 모습을 보면 귀엽기도 하고 한편으론 뜨악하기도 하지만 …  그냥 한 번 보고 피식 웃을 수 있으면 그걸로 된거지 뭐 … 이런 생각도 든다.


 


그런데 이 친구들, 왜 그런지 모르겠으나 최근 논란이 된 국내 소녀그룹들과 묘하게 상황적으로 겹치는게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소녀그룹과는 컨셉과 설정 표절 논란으로 설왕설래 중이고, 아래 동영상을 보면 이전에 문제가 된 소녀그룹과 개념(?)으로 엮이기도 한다.


 


13분 10초부터 25초까지를 보도록 하자.


 


 




 


 


항간에는 이 친구들이 개념발언을 했네 … 그게 아니라 전범기를 관련상품에 사용했네 … 등등 이런 저런 말도 많은데 …


 


늦무더위가 찜찌는데 뭐 그런거까지 왈가왈부할 이유는 없어보이고 그냥 이런 친구들도 있구나 하고 슬쩍 웃어보는 선에서 마무리하면 될 듯 하다.


 


그럼 이만 총총 …


 


 


 


영진공 이규훈


 


 


 


 


 


 


 


 


 


 


 


 


 


 


 


 


 


 


 


 


 


 


 


 


 


 


 


 


 


 


 


 


 


 

[근조] 제임스 갠돌피니

 

 


 


 


 


제임스 갠돌피니


James Gandolfini


(1961. 9. 18. ~ 2013. 6. 19.)


 


 


 


 



 


 




 


[ 고인의 필모그래피: 다음 영화 링크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영진공 일동


 


 


 


 


 


 


 


 


 


 


 


 


 


 


 


 


 


 


 


 


 


 


 


 


 


 


 


 


 


 

[근조] 로저 이버트

 

 


 


 


 


로저 이버트


Roger Joseph Ebert


(1942. 6. 18. ~ 2013. 4. 4.)


 


 


 


 





 


 


 


 



로저 이버트


(로저 에버트로 표기하기도 하지만 이버트가 맞다.)


 


미국의 언론인, 영화평론가, 영화작가로 1967년부터 현재까지 시카고 선 타임즈紙에 영화평론가로 재직하였으며, 1975년에 영화평론가로는 처음으로 퓰리처상을 받았고 2005년에는 역시 영화평론가로는 처음으로 헐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이름을 새겼다.


 


동료이자 라이벌인 진 시스켈(Gene Siskel)과 함께 여러 영화 평론 TV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대중의 인기를 받기도 했던 그는, 영화를 평할때 이제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표현 “Two Thumbs Up!”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영진공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