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라닌”, 마음을 전달하는 진짜 연주 장면들


최근에 본 일본 영화들, 특히 청춘 영화들이 대부분 밴드 음악을 소재로 삼고 있는 경우가 유난히 많았는데 그 중 <소라닌>도 주연 배우들이 직접 연주하는 음악이 영화의 내용과 주제에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작품입니다.

분위기는 매우 다른 작품이지만 야구치 시노부 감독의 <스윙걸즈>(2004)에서 우에노 쥬리를 비롯한 주요 출연진들이 작품을 위해 악기 연주를 새로 익혀서 직접 공연하는 장면을 연출해내면서 호평을 받았던 바가 있었는데 – 일본 연예계가 대역을 쓰지 않고 배우가 직접 해내는 것들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해주는 분위기가 있다는군요 – 최근의 일본 청춘 영화들에서 자주 발견되는 밴드 연주 장면들이 그런 트렌드의 영향 아래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됩니다.

원래 음악을 좀 할 줄 아는 배우라면 덕분에 좋은 출연 기회를 자주 갖게 되는 것이고 그게 아닌 경우에는 배역을 위해 새로 악기 연주를 익혀서 배우로서의 근성을 보여주는 좋은 계기로 삼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미야자키 아오이는 <소년 메리켄사쿠>(2008)에서 중년의 펑크 밴드와 함께 연주 여행을 다니는 밴드 매니저로 활약(?)하는 모습으로 처음 보았는데 <소라닌>에서는 드디어 기타 연주를 몸소 익혀 직접 동명의 주제곡을 연주하고 노래까지 소화해내고 있습니다. 영화는 20대 초반 인생의 갈림길 앞에서 고민하고 힘겨워하는 순간들을 포착해내는 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만 무대 위에서 땀에 흠뻑 젖은 채로 연주에 몰두하는 미야자키 아오이의 모습이야말로 이 담백한 영화의 백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그 곡을 유언처럼 남기고 떠난 나리오(코라 켄고)의 안타까운 죽음이 무대 위에 선 이들과 객석에서 지켜보는 이들의 마음 한 구석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그 의미가 더욱 클 수 밖에 없는 것이겠지만요. 마지막 연습을 위해 드러머 빌리(키리타니 켄타)가 자전거에 메이코(미야자키 아오이)를 태우고 달리던 중에 터뜨리는 오열은 나리오의 죽음에 대해 영화 전체적으로 억제해왔던 슬픈 감정의 표현이 거의 유일하게 직접 드러났던 장면이었죠.

영화를 보는 관점에 따라 내러티브의 구성이 매우 산만하게만 느껴질 여지가 있는 작품입니다. 자잘한 에피소드들이 적잖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이 이야기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하지만 이런 방식의 에피소드의 배열이 영화 전체의 정서를 전달하는 데에 크게 방해가 되지는 않기 때문에 나름 담백함의 매력이 있는 편이라고 받아들일 수도 있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한 일본 영화라고 해서 이런 연출 방식을 보여주는 작품이 그리 흔한 편은 분명 아니고 오히려 이런 담백한 청춘 영화를 거의 보기 힘든 우리나라 영화의 현실을 감안한다면 조금 부러운 심정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소라닌>은 미야자키 아오이의 새 영화로서 가장 많이 입담에 오른 편입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상대역 타네다로 출연한 코라 켄고가 가장 인상적, 이라기 보다는 그가 <피쉬 스토리>(2009) 에서 펑크 록밴드의 보컬을 연기한 배우와 동일 인물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상당히 놀랐습니다.

<피쉬 스토리>에서 삭발한 머리에 눈썹마저 밀어버린 채 에너지가 충만하게 노래하던 그 배우가 머리를 기르고 안경을 쓰니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보이더군요. <피쉬 스토리>에서는 신장도 상당히 큰 편인 듯 했는데 얼굴이 워낙 작으니 착시 현상을 만들어내기도 쉬웠던 것 같습니다.

그외 <크로우즈 제로> 시리즈로 낯이 익은 키리타니 켄타의 드럼 실력도 상당히 인상적이더군요. 극중 밴드의 음악을 ‘팔리지 않는 음악’으로 만들고 있는 이유 중에 하나는 비트를 잘게 쪼개서 치고 있는 키리타니 켄타의 현란한 드러밍도 한 몫을 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영진공 신어지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