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독 밀리어네어”, 내겐 사랑이 너무 써 …

그 수많은 시간들
그 수많은 역경들
그 수많은 사연들
그 수많은 노력으로

그 마약같은 사랑은
이제 종착역 없는 열차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2008)

감독: 대니 보일
출연: 데브 파텔, 프리다 핀토, 아닐 카푸르, 미아 드레이크

28일의 사회 좀비 영화의 대니보일이 드디어 사고를 쳤습니다.
발리우드의 충실한 각본을 가지고 아카데미를 휩쓴 것입니다.

한국식으로 이야기 하면 산동네 판자집 출신이라는 슬럼독의 이야기로 인도를 가로지르는 아니 현재의 제3세계를 가로지르는
영화인 슬럼독 밀리어네어는,
일상의 장면들은 아주 아주 우울한 영화이지만 헐리우드와 발리우드의 공식에 철저하게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무거우면서 가벼운 위트의 영화입니다.

인도의 빈민가 출신의 고아 형제가 근대화와 맞물려 가면서 변화하는 인도사회의 현상을 투영하면서도 위트와 유모로 빈민가의
필요악일지도 모르는 기업형 구걸, 매춘, 조폭들의 생활을 바로 눈 앞에서 표현합니다. 암흑의 나락에서 희망은 보이지 않아도 그들
고아 형제들은 인생의 최선을 다해 매일 매일 역경을 헤치어 나아 갑니다.

시간이 흐르고 그들이 성인으로 들어가는 10대의 길목에서 형은 현실을 선택하고 동생은 사랑을 선택합니다. 형은 경제적으로 성공하지만 사랑을 선택한 동생은 현실의 고난에서 꿈을 꾸고 있을 뿐입니다. 결국 동생의 지고 무상한 사랑은
형과 주변사람들의 희생으로 그 빛을 보고 영화는 가슴따뜻한 결말을 추구하지만 결국 현실에서도 사랑이 모든것을 대신할만한 가치가
있는 걸까요. 제가 20대였다면 아무 의심없이 당연히 선택했을 길이지만 세월이 하수선하고 나이가 드니 겁부터 나는게 인생이고
사랑은 아프고 힘들어 그냥 외면하고 싶을때가 너무 많습니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역 배우들의 맑은 눈들을 보면서 다시 한번 영화의 감동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어차피 일장춘몽 인생이면
마약보더 더 강렬했던 그 사랑에 인생을 맡기어 보는것도 백만장자가 되는 진정한 해답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영진공 클린트
슬럼독은 미국에 인도열풍을 가지고 올 영화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몇 년 전 “와호장룡”이 중국영화의 미국 진출을 가져 왔듯이
슬럼독이 발리우드 상륙의 교두보가 될 수 있을지 사뭇 궁금합니다.  이미 발리우드의 인도댄스 교습소들이 미국에서 인기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한국식으로 보면 손찌르기 막춤인 인도 춤에 저까지도 흥겨워 집니다.